View : 807 Download: 0

취업모의 사회지지체계와 격리불안과의 관계 연구

Title
취업모의 사회지지체계와 격리불안과의 관계 연구
Authors
이은숙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본 연구는 36개월 이하의 자녀를 어린이집에 맡기는 취업모의 격리불안에 관한 연구로서, 자녀를 어린이집에 맡기는 취업모의 사회지지체계와 자녀에 대한 가치관이 취업모의 격리불안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취업모의 격리불안 감소와 심리·사회적으로 안정된 상태의 유지 및 향상을 위해, 사회지지체계 개입과 적용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취업모와 자녀의 인구사회학적 특징과 취업모의 사회지지체계는 어떠한가? 2. 취업모와 자녀의 인구사회학적 특징에 따라 취업모격리불안은 차이가 있는가? 3. 취업모의 사회지지체계와 취업모의 격리불안에 관계가 있는가? 4. 자녀에 대한 가치관과 취업모의 격리불안간에 관계가 있는가? 5. 취업모의 격리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조사는 서울시에 소재한 18곳의 어린이집에 36개월 이하의 자녀를 보내는 취업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196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측정도구는 어머니 격리불안(조복희·박성옥,1992), 사회지지체계의 구조와 기능(성영혜, 1993), 자녀에 대한 가치관(박성옥,1993)과 취업모와 자녀에 대한 배경을 묻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t-test, Scheffe 검증, Pearson s 상관계수, 중다회귀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인구사회학적 변인들 중 연령, 직업, 근무시간에서만 집단간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나머지 변인인 교육수준, 평균월수입, 경력은 집단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였다. 둘째, 취업모 자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자녀의 월령,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취업모 격리불안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녀의 월령이 낮을수록, 여아일수록 그리고 출생순위가 첫째일 경우 취업모의 격리불안이 더 높았다. 셋째, 취업모의 사회지지체계의 구조 중 지지제공자의 수와 취업모 격리불안간에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지지제공자의 수가 적을수록 취업모의 격리불안은 높았다. 사회지지체계의 기능적 측면인 사회지지기능에서는 하위변인들 중 정서적 지지를 제외한 정보적지지, 평가적 지지와 취업모 격리불안 간에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취업모의 자녀에 대한 가치관과 취업모의 격리불안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자녀를 통해 사랑, 안정감, 가족결속감, 자랑스러움과 같은 심리적인 만족감을 느끼는 어머니일수록 격리불안이 높았다. 다섯째, 취업모 격리불안의 유의한 영향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취업모 격리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지지제공자의 수, 취업모의 자녀에 대한 가치관, 정보적지지, 취업모의 연령, 근무시간, 직업변인이며, 이들 변인의 전체 설명력은 63.3%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취업모의 격리불안은 취업모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변인들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취업모 격리불안과 사회지지체계, 자녀에 대한 가치관이 유의한 관계에 있었으며, 지지제공자의 수가 가장 큰 설명력 (64.8%)을 랒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취업모의 격리불안을 감소시키고 자녀양육을 돕기 위해, 첫째, 대리양육 시간 중 예측하지 못했던 상황에 대한 지원, 취업모 자신의 사회지지체계에 대한 구축과 활용기법에 대한 교육, 긍정적인 모성에 대한 개념 정립에 대한 교육 및 홍보와 어린이집, 종합사회복지관, 지역사회자원, 기업 등이 연계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을 위한 사회사업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취업모의 비공식지지자원에 의해 제공되던 체계에서 공적인 사회지지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법과 제도적인 뒷받침이 확충, 보강되어야 한다.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paration anxiety of employed mother who places her child under 36 months of age at a day care center. For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eparation anxiety of employed mother an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the numbers of supporters, the employed mother s age, kind of occupation, income, employment status, the child s age, gender, birth order, and the level of intimacy with the child. A sample of 196 mothers from 18 other day care centers in Seoul returned survey questionnaires. The measurement instruments ar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Maternal Separation Anxiety Scale(Cho bok-hee & Park sung-ok, 1992),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social network systems(Sung young-hae, 1993), the Value of children(Park sung-ok, 1993), and the personal background of the employed mother and her child. The data were analysed based on frequency, percentile, ANOVA, t-test, Scheffe test, Pearson 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indicat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eparation anxiety of employed mother according to the mother s age, kind of occupation and employment status. But the mother s educational level, monthly income and career had no correlation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eparation snxiety according to the child s age, gender, and birth order. In other words, the higher separation anxiety was shown when a child was younger, female, and the firth child. Third. the separation anxiety of employed mother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s of supporters. It means the fewer the supporters the higher the anxiety level was. The separation anxiety also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formative support and the evaluating support based on the child rearing by significant other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paration anxiety of employed mother and the level of intimacy with the child. Fifth, the major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separation anxiety of employed mother were numbers of supporters, employed mother s age, kind of occupation, employment status, level of intimacy with a child, and informative support by significant other. And these independent variables occupied 63.3% tota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