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온라인 성폭력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 여성의 PC통신 채팅경험을 중심으로

Title
온라인 성폭력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 여성의 PC통신 채팅경험을 중심으로
Authors
윤세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은 현재 PC통신 문화를 대표하는 채팅에서 나타나는 성적 언설들이 개인들간의 ‘성관계’의 문제로만 다루어지는 지배적인 담론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한다. 현재 PC통신 채팅에서 나타나는 성적 언설들은 사회적 맥락이 부재하는 사이버공간이라는 특수한 조건속에서 성도덕의 문제나 자유로운 개인들간의 합의의 문제로 다루어지며, 채팅에서 남성의 파트너가 되는 여성들에게 성적인 언설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제기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의 PC통신 채팅문화가 남성중심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채팅문화 속에서 남성의 성적 언설이 성폭력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여성이 온라인 성폭력의 피해자로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문제화하고 정치화해내고 있음을 보여주고, 여성이 사이버공간에서 성별권력관계의 변화를 가져오는데 주체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PC통신의 주이용 연령층이며, 온라인 성폭력의 피해자가 되고 있는 20-30대 여성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경험을 심층면접기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자의 채팅 참여 경험과 PC통신 토론실에 올라온 관련글을 보조자료로서 참고하였다.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C통신에 대한 사전지식이 부족한 상태로 PC통신에 접근한 여성들은 채팅을 통해 PC통신에 대해 배우고 적응해 나가는 한편, 채팅을 익명성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만남을 통해 현실공간의 경험과 자아가 확장되는 장으로서 기대하고 있었다. 그러나 미팅문화로 대변되는 PC통신의 채팅문화는 익명성이 큰 특징인 사이버공간에서 채팅 참여자들을 성별화하는 기술을 발달시키는 한편, 사이버공간의 만남을 현실공간으로 연결함으로써 사이버공간과 현실공간을 연결한다. 결국 채팅은 성별화된 이용자들의 만남으로서, 상대적으로 소수인 여성을 남성의 파트너로서만 존재하게 하여 여성의 채팅경험을 제한하는 한편 현실공간의 성별권력관계를 재생산하고 있다. 둘째, 온라인 성폭력은 물리적 접촉이 없는 사이버공간에서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채팅언어의 특성으로 인해 성폭력 상황의 체험으로 인식되며 현실공간의 여성의 자아에 충격을 가한다. 또한 개인에게 자율성이 부여되는 공간이라는 사이버공간에 대한 인식은 남성의 성적인 제안과 접근을 ‘동의’의 문제로 환원시키지만, 남성중심적 채팅문화 속에서 다수인 남성으로부터 무차별적으로 받게 되는 성적인 접근은 여성에게 폭력으로 인식되고 있다. 세째, 여성들은 온라인 성폭력 경험을 통해 사이버공간의 성별권력관계에 대해 인식하게 되고, 온라인 성폭력에 대한 집단적인 저항으로 나아가기도 한다. PC통신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이용자들의 자율적인 모임을 가능하게 하는데, 여성들은 여성모임에서 자신의 경험을 나누고, 온라인 성폭력에 대한 집단적인 저항을 하게 되면서 사이버공간에서 성별권력관계의 변화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여성들에게 남성중심적인 PC통신 채팅에서 나타나는 성적 언설들이 자신이 자유롭게 참여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성관계의 문제가 아니라 성폭력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온라인 성폭력이 현실공간의 성폭력이 일어나는 맥락과 다르지 않으며, 사이버공간에서 현실공간의 성별권력관계가 어떻게 재생산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사이버공간이 가지는 익명성과 자율성은 여성과 여성모임에게 온라인 성폭력을 정치화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현재 사이버공간에서 구성되고 있는 성별권력관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여성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 The thesis problematizes a conventional thought that regards sexual discourse in the chat among users of the personal computer network culture in Korea only as a matter of individual sexual relationship . Objects of the study include to verify that the chat culture of the personal computer network is based upon a male-centered context; and to prove that sexual discourses out of the chat culture can function as sexual harassment. In addition, this paper contests existing gendered relations of power in the cyberspace through providing contexts in which women respond not only as victims of sexual harassment but also as political agents to problemaize those sexually-harassing discourses. Main data for the research was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women in twenties to thirties, who participate in the chat and use personal computer network actively. In order to assist the main data, the researcher refers one s own experience to participate in the chat and some essays presented on the chat room that are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research. To summarize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is the followed: First, female users of personal computer network are usually not accustomed to the computer network system when they start to use. Rather, female users become more informed about the network system through chatting with other people after they get in the cyberspace. Many female users, mobilized by anonymity in cyberspace, expect to enlarge their experience through conversations in cyberspace engaging with a variety of people. Second, chat culture, being represented as another meeting (a way of making dating partner) , provides encounters among gendered users. In this culture, female users are considered only as assistants of male users, which limits the range of the chat experiences of women and reproduce a unbalanced power relations between genders in the reality. Third, online sexual harassment effects no less than a real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does in spite of taking place in the cyberspace where no physical contact exists. The reason why the effects are so real is related to the attribute that the chat language has. The language used in the chat culture plays a critical role to convey and revitalize emotional and sexual feelings of chat participants. Therefore, women sexually harassed in the cyberspace get shocked as much as they are in a real space. Forth, the recognition of the cyberspace as a place where all individuals are supposed to have their autonomy, is inclined to reduce the fact that male users sexually approach toward female users, to a matter of mutual consent among autonomous individuals. However, to female users, those issues of sexuality very depend on the relationships and situations that they are involved in. In other words, from a position of female users who perceive cyberspace as male-dominant space, indiscriminating sexual approach from male users signify harassment rather than a propose that female users can consent or not. Finally, female users come to realize the gendered relations of power in the cyberspace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the online sexual harassment. First they interprete their situations as victims of the sexual harassment. Further, a collective action against online sexual harassment is taken with this realization of gendered relational power so that female users create possibility of changing existing gendered relations of power in the cyberspace. Those conclusions of the study prove that online sexual harassment has basically similar context to real sexual harassment has. Both in cyberspace and in real space, there are similar context in which gendered relations of power is continued and reproduced. Nonetheless, anonymity and autonomy of cyberspace enable female users and their assemblies to politicize the issues of online sexual harassment. Therefore, gendered relations of power in the cyberspace is not a fixed structure with a male dominance, but a changeable process of construction with female users active particip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