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제2형 당뇨병환자의 엽산섭취와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준

Title
제2형 당뇨병환자의 엽산섭취와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준
Authors
김지명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혈장 총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대조군과 비교하고, 아울러 대혈관 질환 합병증, 엽산섭취량, 흡연 및 기타 다른 요인이 혈장 총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인슐린비의존성 환자 127명과 정상대조군 111명으로 총 238명이었다. 이들 중 12명을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이섭취 실태를 조사하였다. 혈장 총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HPLC-Fluorescene detector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당뇨병군의 비타민 B₁(p<0.5), B₂(p<0.1), 엽산 섭취량(p<0.01)과 1000㎉당 비타민 B₁(p<0.05), 엽산 섭취량(p<0.01)이 대조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1일 식품군별 섭취량에서는 당뇨병군의 과실류(p<0.05)와 어패류(p<0.05)의 섭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또한 곡류(p<0.1), 채소 및 과일류(p<0.001)로부터의 엽산섭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당뇨병군을 대혈관 합병증 유무에 따라 나누어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대혈관 합병증을 동반한 당뇨병군(MA군)에서 비타민 B₁, B₂, 엽산의 섭취량이 대혈관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군(nMA군)이나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1000㎉당 엽산의 섭취량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 및 과일류로부터의 엽산섭취량은 nMA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장 총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MA군에서 nMA군이나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연령, 체중, BMI, 이완압, 콜레스테롤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nMA군과 대조군의 흡연자에서 혈장 호모시스테인인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독립적인 동맥경화 유발인자인 호모시스테인은 최근 당뇨병환자의 동맥경화성 혈관질환을 유발시키는 독립인자로서 부각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볼 때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엽산의 섭취량의 감소가 혈장 총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증가시키고 대혈관 합병증 유발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 당뇨병환자의 혈장 총 호모시스테인 수준과 만성 대혈관 합병증 및 미세혈관 합병증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e critical role of homocysteine in vascular diseases has been well documented. Recently hyperhomocysteinemia has been proposed as a major independent risk factor for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s in diabetic pati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plasma total homocystein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folate intakes, smoking and other factors on plasma total homocysteine levels in patients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NIDDM). Plasma total homocysteine was determined in 127 diabetic patients and 111 non-diabetic control subjects. Dietary intakes of nutrients were determined by a 24-hour recall method. Plasma total homocysteine levels were analyzed by a HPLC-fluorescence detection method. Total vitamin B₁(p<0l.05), B²(p<0.1) and folate(p<0.001) and vitamin B₁(p<0.05) and folate intakes(p<0.01) adjusted for 1000kcal of energ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diabetic patients than non-diabetic subjects. A daily fruits(p<0.05) and fish&shellfish intakes(p<0.05) was significantly lower in diabetic patients than non-diabetic subjects. Also, folate intakes of grains(p<0.1), vegetable&fruits(p<0.00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diabetic patients than non-diabetic subjects. Total vitamin B₁, B₂and folate intak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diabetic patients with macrovascular disease(MA) than in those without macrovascular disease(nMA) or non-diabetic subjects. Also, folate intakes adjusted for 1000kcal of energ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A than nMA or non-diabetic subjects. Also, folate intakes of vegetable&fruits was significantly lower in nMA than non-diabetic subjects. The levels of total homocysteine in plasm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 than nMA or non-diabetic subjects. Among all diabetic patients, Peasr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alyses for age, weight, BMI,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omocysteine. Also, plasma total homocystein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MA with smoking than non-smok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hyperhomocysteinemia could be induced by insufficient folate intakes and wa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macrovascular diseases in patients with NIDDM.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plasma homocysteine levels with the incidence of vascular diseases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ic patients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