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주성은-
dc.creator주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0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2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9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19-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test a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job security among secretaries in Korea. At this model, anticipated downsizing and role ambiguity were established as antecedents of job insecurity. In addi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established as consequences of job insecurity. To test the model,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177 secretaries who work at companie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anticipated downsizing was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job insecurity. Second, ambiguity of role performance s condition was not related to job insecurity. Third, ambiguity of role performance assessment was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job insecurity. Besides, influence of ambiguity of role performance assessment on job insecurity was assessed to be stronger than that of anticipated downsizing among secretaries in Korea. Fourth, job insecurity was found to be negatively related to affective commitment. Fifth, job insecurity was not related to calculative commitment. In summary, anticipated downsizing and ambiguity of role performance s assessment were major factors of job insecurity. In addition, job insecurity gave a negative effect to affective commitm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a need for establishing a system to control job insecurity of Korean secretaries. ; 90년대에 중반에 들어서면서 악화되었던 한국 경제는1997년 11월 IMF 구제 금융을 받게 되어 최악의 위기 상황에 처하게 되었고 IMF 자금 지원 조건의 하나로 기업들은 구조 조정을 요구받게 되었다. 기업 구조 조정과 반드시 동반하게 되는 조기 퇴직이나 정리 해고 등을 통한 인력 감축은 대량 실업을 초래하게 되어 기업의 조직 구성원들은 그 어느 때 보다도 직업 상실의 불안감을 느끼는 심리적 상태 즉, 직무 불안정성을 많이 느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IMF 체제 하의 경제라는 일시적인 상황 이외에도 산업 구조의 개편, 기술 변화 속도의 진척 등의 구조적인 상황 또한 기업 조직 구성원의 직무 불안정성을 야기시키고 있다. 직무 불안정성은 조직 구성원의 사기와 충성심을 저하시켜 조직 유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직무 불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고 비서학적 연구는 전무하였다. 이러한 비서의 직무 불안정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의하여 본 연구가 시작되었고, 비서의 직무 불안정성과 관련 변수 간에 대하여 검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던 선행 변수인 다운사이징의 가능성과 역할 모호성을 본 연구의 선행 변수로 설정하였고 조직 몰입을 결과 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가 예견하는 다운사이징의 가능성이 비서의 직무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둘째, 비서의 역할 모호성이 비서의 직무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셋째, 직무 불안정성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맞게 설정된 연구 가설을 실증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50여개 기업에 근무하는 비서를 대상으로 총 210부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고 SPSS/WIN 7.5를 이용하여 측정 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한 후, 상관 관계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비서가 예견하는 다운사이징의 가능성은 직무 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서가 예견하는 다운사이징의 가능성이 높을수록 직무 불안정성에 대한 지각의 정도는 높아진다는 결과를 얻었고, 직무 불안정성의 하위 차원인 직무 특성 상실의 위협과 직무 자체 상실의 위협, 무기력성에 대하여도 각각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비서의 역할 수행 조건의 모호성은 직무 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 불안정성의 하위 차원에 대하여도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서의 역할 수행 결과의 평가에 대한 모호성은 직무 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 불안정성 하위 차원 각각에 대하여도 역할 수행 결과의 평가에 대한 모호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견되는 다운사이징의 가능성 보다 평가에 대한 역할 모호성이 직무 불안정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비서가 지각한 직무 불안정성은 정서적 몰입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비서가 지각한 직무 불안정성은 계산적 몰입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 및 시사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비서학적 측면에서의 직무 불안정성에 대한 최초의 실증 연구라는 점이다. 둘째, 한국 경제의 위기 상황에서 고조되어 있는 직무 불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실증하였다. 한국 경제 사회의 전반에 거쳐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불안정성이 고조되어 이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요구되었지만, 직무 불안정성에 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셋째, 국내 최초로 직무 불안정성의 인구통계학적 변수 이외의 선행 요인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또한 역할 수행 결과의 평가에 대한 모호성이 다운사이징의 가능성 요인보다 직무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를 통하여 조직 내에 비서 역할 수행 결과에 대한 평가를 위한 공정하고 적절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직무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결과 변수인 조직 몰입이 저하하는 것을 실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조직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직무 불안정성의 관리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표본 추출 방법과 표본의 특성이 가지고 있는 한계로 인해 일반화에 무리가 따른다. 둘째, 직무 불안정성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할 수 있는 조절 변수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직무 불안정성의 관리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점이다. 따라서, 향후 직무 불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직무 불안정성의 다양한 선행 변수와 결과 변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직무 불안정성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조절 변수에 대한 검증을 하여 이를 근거로 한 직무 불안정성의 관리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 = 1 B. 논문의 구성 = 3 II. 이론적 배경 = 5 A. 직무 불안정성 = 5 1. 직무 안정성의 개념 = 5 2. 직무 불안정성의 개념 = 6 3. 직무 불안정성의 과정 모델 = 7 4. 직무 불안정성의 내용 = 8 5. 직무 불안정성의 관련 변수 = 11 B. 다운사이징 = 20 1. 다운사이징의 개념 = 20 2. 다운사이징 전략의 유형 = 21 3. 다운사이징의 기대 효과와 부정적 결과 = 24 4. 다운사이징과 직무 불안정성과의 관계 = 29 C. 역할 모호성 = 31 1. 역할 = 31 2. 역할 모호성 = 33 3. 역할 모호성과 직무 불안정성과의 관계 = 35 D. 조직 몰입 = 36 1. 조직 몰입의 개념 = 36 2. 조직 몰입과 직무 불안정성과의 관계 = 37 E. 비서 측면에서의 직무 불안정성 = 39 1. 다운사이징 = 39 2. 역할 모호성 = 41 III. 연구 방법 = 44 A. 연구 모형 및 가설의 설정 = 44 1. 연구 모형의 설계 = 44 2. 가설의 설정 = 45 B.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연구의 대상 = 49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 49 2. 연구의 대상 = 52 IV. 실증 분석 = 54 A.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 54 1. 정화 절차 = 55 2. 단일 차원성 확보 = 56 3. 신뢰성 검증 = 56 4. 타당성 검증 = 58 B. 가설 검증 = 60 1. 가설의 검증 = 60 V. 결론 = 74 참고 문헌 = 79 설문지 = 84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456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비서의 직무 불안정과 관련 변수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비서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