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혜-
dc.contributor.author은보경-
dc.creator은보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9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4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9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496-
dc.description.abstractEvery year, in our nation, approximately thirty thousand(30,000) newly disabled laborers from industrial accident are produced. Consequently, the countermeasure at the society level is very significant with respect to basic social security for laborer and social welfare for disabled. Unlike a person with congenital disability or who has beome disabled before reaches his maturity age, the disabled laborer from sudden industrial accident faces difficulty in accepting his disability and, as reported, suffers from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chronic stress, depression due to sudden loss of body functions and low motivation towards rehabilitation due to the loss of self-esteem. Thus, rehabilitation of disabled laborer can not be achieved by the conventional medical treatment and monetary compensation alone but requires a process of social integration through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However, the current social services for the disabled laborers from en industrial accident are limited to medical treatment and monetary compensation and completely lacks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service which would be essintial in aiding them back to society practically. In order for any disabled laborer to become a productive in a society again, he must recover not only from the physical disability but requires a more comprehensive recovery including mental, social and employment stability. Subsequently, the ultimate goal of rehabilitation that is the social integration will be attained. Sinc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is indispensable for the disabled to return to the society, the most preliminary research on this subject should be to dermine the variable factors that affect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Therefore, this research is aimed to present and examine a collective data composed of various factors that affect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which could serve as a basis of administrative clinical invention program that will help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effective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omposed of 168 disabled male from industrial accident who reside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and 129 out of 168 were analyzed. Among the psychological problems suffered by these individuals, self-esteem, degree of stress and depression were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divided into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charteristic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may affect dependent variables are categorized by ages, marital status, employment status, degree of education and degree of labor loss. Family characteristics are measured by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characteristics are evaluated by the attendance to self-help group meetings and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 group as a variable. The survey was composed of 55 questions. The main resur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 1. The variabl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ich might influence the feeling of self-esteem, degree of stress and depression are employment status and degree of labor loss, that is, a subject with lower degree of labor loss or holds employment shows high self-esteem and low degree of stress and depression. 2. It is noted that family support is shown as a positive variable that may alleviate psychological problems of disabled. It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the feeling of self-esteem and to lower the degree of stress and depression. 3. It is manifested that self-help group meetings are very closely related with the feeling of self-esteem, degrees of stress and depression. The participant of self-help group meeting has higher feeling of self-esteem and lower degree of stress and depression in comparison with non­participant. Also, the result of analysis among the participants about whether the satisfaction of self-help group could affect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shows that the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s the feeling of self-esteem and stress, yet fails to lower the degree of depression. 4. Upon the search of explanatory factors of psychological problems suffered by the subjec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elf-help group and family support are meaningful in terms of self-esteem ; self-help group, degree of labor loss and family support in terms of depression ; and family support, self-help group and employment status in terms of stress. While the statistics show self-help group and family support influence all dependent variables, i.e., self-esteem, the degree of stress and depression, effects of employment status and extent of labor loss is limited only to the degree of stress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respectively. These results strongly indicate that self-help group and family support are the main factors among all the variables that can influenc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The consensus that can be drawn from this research is that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calls for the disabled calls for the greater intervention of social services particularly designed to enhance self-help group participation and to increase family support. For such programs to be fully effective, they must be accompanied by activation of employment rehabilitation services and effort to prevent to industrial accident. ; 우리나라는 매년 약 3만명 정도의 근로자가 산업재해로 장애인이 되고 있어 이들에 대한 대책은 노동인력들에 대한 사회보장적인 측면과 산재장애인들에 대한 사회복지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산업재해로 갑자기 장애인이 된 산재장애인의 경우에는 장애이전 정상적 사회활동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선천성 장애인이나 조기 중도장애인과는 달리 장애수용의 어려움을 겪으며, 갑작스러운 신체기능의 상실 및 역할의 제한으로 만성적 스트레스, 우울, 자신에 대한 자존감의 저하로 재활동기가 낮은 등의 심리적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산재장애인의 재활은 의료적 치료나 경제적 보상만으로는 성취될 수 없어 심리적 재활을 통한 사회통합 작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산재장애인들을 위한 서비스는 의료적 치료와 금전적 보상에 한정되어 있어 산재장애인들이 사회에 복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심리재활서비스는 부재한 실정이다. 장애인이 사회에서 생산적인 참여자가 되기 위해서는 신체, 심리, 사회, 직업 전반에 걸쳐 회복이 되어야만 재활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회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산재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심리적 재활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산재장애인의 심리적 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무엇인가를 확인하는 것이 우선적인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재장애인의 심리적 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을 규명하여 심리적 재활을 효과적으로 돕는 정책적, 임상적 개입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장해등급을 받은 남자 산재장애인으로 총 168이었으며, 이중 12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산재장애인의 심리적 문제 중 자아존중감과 우울 정도, 스트레스 수준을 종속변수로 하였고, 이들 문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독립변수로는 개인적 특성에 연령, 결혼 상태, 학력정도, 고용상태, 노동력 상실정도로 구분하였고, 가족 특성은 가족지지도로 측정하였으며, 사회적 특성으로는 산재장애인 모임(자조집단)의 참가여부와 참가하는 경우 자조집단에 대한 만족도를 변수로 하여 총 55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재장애인의 개인적 특성 중 자아존중감 및 우울정도,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는 직업여부와 노동력 상실정도 였다. 즉, 노동력 상실정도가 작거나 직업(자영업 포함)이 있으면 자아존중감은 높고, 우울이나 스트레스는 낮았다. 2. 산재장애인의 심리적 문제에 가족지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가족들의 지지제공은 산재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우울정도와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산재장애인 모임(자조집단)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 스트레스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서, 자조집단에 참여하는 산재장애인들이 자조집단에 참여하지 않는 산재장애인들에 비해 자아존중감은 더 높고, 우울 정도는 낮으며, 스트레스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조집단에 참가하고 있는 산재장애인들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산재장애인 모임의 만족여부가 심리적 재활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결과는 산재장애인이 자조집단에 만족하면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우울 정도를 낮추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산재장애인의 심리적 문제에 설명력을 가지는 변수를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에는 자조집단과 가족의 지지가 유의미했으며, 우울정도에는 자조집단, 노동력 상실정도, 가족의 지지였으며, 스트레스에는 가족의지지, 자조집단, 직업여부로 나타났다. 자조집단과 가족의 지지가 자아존중감, 우울 정도, 스트레스 수준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에 반해 직업여부는 스트레스 수준에만 영향을 미치며, 노동력 상실정도는 우울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산재장애인의 심리적 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자조집단과 가족의 지지가 그중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산재장애인의 심리적 재활을 위해서는 자조집단을 통한 개입과 가족의 지지를 높이는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며, 직업재활 서비스의 활성화와 산재예방을 위한 노력이 수반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 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심리적 재활 = 5 1. 심리적 재활의 개념 = 5 2. 산재장애인의 심리적 재활의 필요성 = 7 B. 산재장애인의 발생현황 및 심리적 문제 = 11 1. 산재장애인의 발생현황 = 11 2. 산재장애인의 심리적 문제 = 14 C. 심리적 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9 D. 연구의 분석 틀 = 24 E. 연구질문 = 25 Ⅲ.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 27 A. 조사대상자의 선정과 조사방법 = 27 1. 조사대상 = 27 2.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27 B. 주요 연구개념의 조작적 정의 = 28 C. 측정도구 = 29 D. 자료분석방법 = 32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33 A. 조사대상자의 특성 = 33 B. 연구대상자의 심리적 문제의 정도 = 40 C. 산재장애인의 심리적 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5 Ⅴ. 결 론 = 60 A. 연구의 요약 = 60 B. 제 언 = 64 참 고 문 헌 = 68 < 부 록 > = 73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879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산업재해장애인의 심리적 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