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7 Download: 0

서울 목동 지역에서 당뇨병과 고혈압 환자의 식생활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서울 목동 지역에서 당뇨병과 고혈압 환자의 식생활 특성에 관한 연구
Authors
박지민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ood habit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in Mokdong. Anthropometry and biochemical values, food intake patterns, food frequency, preference for sweet and salty taste were measured in 322 adults of both sexes aged over 30 years in Mokdong county in Seoul from October 1997 to January 1998. Diabetes mellitus group(DM) and diabetes mellitus risk group(DMR)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blood glucose level and family diabetic history, respectively. Hypertension group(HP) were chosen on the basis of blood pressure. And age-matched 129 healthy person were included as a control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rom the blood glucose, DM(n=25) and DMR(n=52) were identified. Male DM and DMR subjects showed BMI of 25.9kg/m2 and 27.7kg/m2, respectively. They tended to have higher Waist Thigh Ratio(WTR) than controls. And DMR had lower HDL-cholesterol(41.6mg/dl) and higher triglyceride(270.8mg/dl) than controls. In female, the body weight and thigh circumference of DMR were higher than controls. And BMI of DM(32.1kg/m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s. DM had higher serum cholesterol(223.7mg/dl) than controls. And DMR had higher systolic blood pressure(148.0mmHg) than controls. The more frequent overeating and shorter meal time were found in DM, which suggest that DM has undesirable food habits. DM and DMR tended to take higher amount of total foods and animal foods. In female significantly higher cereal intake was found in DM. In sweet and salty taste preference test, DM and DMR showed no difference from controls, however, DM had a tendency of saying "not enough salt" than controls to given salt concentration of soup. DM of both sexes prefered meat group and ate between meals more frequently. And DMR tended to prefer fried foods, cakes, and snacks. From the blood pressure, HP(n=119) were identified. In male hypertension group(HP), body weight and thigh circumference, biceps skinfold thick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s. And HP had higher LDL-cholesterol. In female HP, body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 higher than controls. And HP had higher serum cholesterol than control. The shorter meal time and larger portion size of rice were found in HP. Food and nutrient intake of HP were not differ greatly from controls. But female HP ate less potatoes, beans and mushrooms. HP preferred meat and salty taste and ate between meals more frequently than controls. From the above results, it seems that overweight is property of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especially in women. DM and DMR showed a tendency high blood concentration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HP also showed a tendency high blood concentration of LDL-cholesterol and cholesterol. An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disease, controling body weight by nutritionally adequate diet is necessary. This data support the concept that multiple dietary factors influence diabetes and blood pressure; hence broad improvements in nutrition can be important in preventing and controlling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당뇨병과 고혈압 환자의 식생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목동 지역에 거주하는 30세 이상의 성인 남녀 322명을 대상으로 체위조사, 생화학적 검사, 식이조사, 미각 기호도 검사가 1997년 8월부터 약 6개월간 수행되었다. 체위조사로는 신장, 체중, 허리둘레, 둔부둘레, 대퇴부 둘레, 견갑골하 피부두께, 상위 이두근 피부두께를 측정하였다. 생화학적 검사로는 공복 혈당과 식후 혈당, 혈중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지방산과 중성 지방 농도를 측정하였다. 식이조사로는 설문지로 식습관을 조사하였고 식품 섭취 빈도지를 이용하여 식품의 섭취량과 영양소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1차 미각 검사는 단맛과 짠맛에 대한 기호도 검사를 9점 척도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생화학적 검사의 결과와 혈압을 기준으로 하여 당뇨병군과 당뇨병 위험군, 고혈압군과 대조군을 나누고 군별로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들 선별된 환자군을 대상으로 자세한 식습관 조사와 지방과 당, 나트륨을 많이 함유한 대표식품에 대한 선호도를 9점 척도로 조사하고 당뇨병환자와 당뇨병 위험군을 대상으로 단맛과 짠맛의 각각 3가지 농도에 대하여 2차 미각 기호도 조사를 하였다. 생화학적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한 당뇨병군과 당뇨병 위험군의 체위측정 결과에서 남자가 당뇨병군과 당뇨병 위험군이 체질량지수(BMI)가 각각 25.9와 27.7로 과체중에 속하였고 BMI, 허리둘레와 둔부둘레의 비(WHR), 허리둘레와 대퇴부 둘레의 비(WTR), 상위 이두근 피부두께값이 당뇨병 위험군이 당뇨병군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위 이두근 피부두께값은 당뇨병 위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자는 체중이 당뇨병위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고 당뇨병군의 BMI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컸다. 또한 대퇴부 둘레는 당뇨병 위험군이 대조군보다 컸다. 생화학적 검사 결과 남자가 HDL-콜레스테롤이 당뇨병 위험군(41.6mg/dl)이 대조군(47.5mg/dl)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고 중성지방은 유의적으로 높았다. 여자는 당뇨병군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223.7mg/dl로 대조군(182mg/dl)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고 수축 혈압이 당뇨병 위험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당뇨병군과 당뇨병 위험군의 1차 식습관조사 결과 당뇨 환자가 대조군에 비하여 과식을 많이 하고 식사 속도가 빨라 좋지 않은 식습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한 끼에 먹는 밥의 양과 육류의 기름기를 많이 섭취하는 경향을 보여 탄수화물의 섭취량과 동물성 지방의 섭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조사 결과 식품군별 섭취량에서 남녀 모두 총 식품 섭취량이 당뇨병군과 당뇨병 위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특히 여자는 곡류의 섭취량이 많고 남녀 모두 동물성 식품의 섭취비율이 각각 23%와 25%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소의 섭취량도 당뇨병군과 당뇨병 위험군이 대조군보다 전반적으로 많았다. 당뇨병군과 당뇨병 위험군의 미각 기호도 검사에서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당뇨병군과 당뇨병 위험군이 짠맛을 약하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당뇨병군과 당뇨병 위험군을 대상으로 2차 식습관 조사를 한 결과 당뇨 환자가 육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식이 잦고 다른 가족보다 짜게 먹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특정 식품에 대한 선호도에서 당뇨병 위험군이 젓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고 튀긴 음식, 볶은 음식, 케??, 과자 등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뇨병군과 당뇨병 위험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3가지 농도에 대한 미각 기호도 검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짠맛은 당뇨병군이 세 농도에서 싱겁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고혈압군을 중심으로 한 체위조사의 결과에서 남자는 체중과 대퇴부 둘레, 상위 이두근 피부두께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컸고 여자는 체중과 허리둘레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컸다. 혈액검사의 결과는 남자가 LDL-콜레스테롤이 156.6mg/dl로 정상수준보다 높았고 여자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208.5mg/dl로 대조군(182mg/dl)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고혈압군의 식이조사 결과 식습관은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나 고혈압군이 식사 속도가 빠르고 한 끼에 먹는 밥의 양이 많아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고혈압군의 남자는 식품군별 섭취량에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는 감자류, 콩류, 버섯류의 섭취가 대조군보다 낮았다. 영양소별 1일 섭취량은 남녀 모두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고혈압군의 1차 미각 기호도 검사 결과 고혈압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고혈압군의 2차 식습관 조사에서 고혈압군이 대조군보다 육류를 선호하였고 간식과 외식을 하는 빈도가 더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가족들과 비교하여 본인이 더 짜게 먹는다고 답한 사람이 많아 음식을 짜게 먹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정 식품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튀긴 음식, 볶은 음식, 사탕, 초콜렛, 케??, 과자, 쥬스, 청량음료 등의 식품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조사 결과 당뇨병 환자는 성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대조군과 체중, WTR, WHR에서 차이를 나타내었고 생화학적 검사에서는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농도의 상승이 특징적이었다. 또한 당뇨병군과 당뇨병 위험군은 과식을 자주하고 육류를 선호하며 짜게 먹는 식습관을 가져 좋지 않은 식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고혈압군은 과체중과 높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LDL-콜레스테롤 농도 등이 특징적이었으며 빠른 식사 속도, 육류를 선호하고 간식과 외식이 잦은 식습관, 짜게 먹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