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창의성 및 지능과 학업 성취간의 상관

Title
창의성 및 지능과 학업 성취간의 상관
Authors
배윤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력 신장 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면서, 학교 현장에서 학업 성취를 예언하는 창의성과 지능간 관계의 일반적인 경향성을 확인하고, 성공적인 학업 성취에 기여하는 구체적인 변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른 문제는 다음과 같다. <문제 1> 창의성과 학업 성취간의 상관은 지능과 학업성취간의 상관보다 낮게 나타날 것이다. <문제 2> 창의성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지능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교과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문제 3> 창의성의 하위 요인과 지능의 하위 요인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교과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문제 4> 지능 수준이 낮을수록 창의성과 지능은 높은 상관을 보일 것이다. 위에서 제시한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1998년 9월 28일부터 10월 2일까지 서울 강남에 있는 J초등학교 6학년 학생 24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창의성 측정은 이영덕과 정원식이 제작하고 코리안 테스팅 센터에서 발행한 표준화 간편 창의성 검사(국민학교 4·5·6학년용)를 사용하였고, 지능 측정은 정범모와 김호권이 공동으로 제작하고 코리안 테스팅 센터에서 발행한 일반 지능 검사(국민학교용 A형)를 사용하였으며, 학업 성취는 국어·수학·음악·미술 과목의 학기말 총괄 평가 성적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창의성 및 지능과 학업 성취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 변인간의 상관분석과 상관 계수 차이의 유의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창의성 및 지능과 학업 성취간의 상관 관계 행렬에서 모든 상관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어, 수학, 음악, 미술을 포함하는 전체 학업 성취와의 상관은 창의성보다 지능이 더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창의성과 학업 성취간 상관은 지능과 학업 성취간 상관보다 낮은 것임이 지지되었다. 2. 창의성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지능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교과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교과별로 살펴보면 국어, 수학, 미술과목에서는 지능이 학업 성취를 더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악과 학업 성취는 창의성이 더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검증되었다. 즉, 창의성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지능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교과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3. 창의성의 하위 요인과 지능의 하위 요인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교과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단계적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국어과 학업 성취에 대한 의미있는 예측 변인은 언어 추리, 산수 추리, 독창성, 융통성인 것으로 나타났고, 수학과 학업 성취에 대한 의미있는 예측 변인은 산수 추리와 유창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과 학업 성취에 대한 의미있는 예측 변인은 융통성, 언어 추리, 유창성, 도형 추리인 것으로 나타났고, 미술과 학업 성취에 대한 의미있는 예측 변인은 언어 추리, 융통성, 독창성, 유창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위 요인별로 창의성과 지능이 각 교과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른 것임이 지지되었다. 4. 지능 수준이 낮을수록 창의성과 지능은 높은 상관을 보일 것이라는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 분석과 상관 계수의 차이의 유의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지능 수준별 창의성과 지능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지능 上집단에서 창의성과 지능간의 상관이 지능 下집단에서 창의성과 지능간의 상관보다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집단에서의 창의성과 지능간 상관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능 수준이 낮아질수록 창의성과 지능간의 상관이 높아질 것이라는 문제는 지지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아동의 창의성과 지능은 학업 성취와 상관이 있으며, 특히 지능과 학업 성취의 상관이 창의성과 학업 성취의 상관보다 높게 나타났다. 창의성 및 지능의 하위 요인과 교과별 학업 성취의 상관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지능 수준이 높을수록 창의성과 지능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창의성 및 지능의 하위 요인과 각 교과목과의 상호 관련성에 비추어 지도한다면 아동의 학업 성취 향상은 물론 창의성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o relationships of creativity, intelligence, and academic in elementary schoolers. For the above purpose of the study, the specific hypotheses proposed in this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 < Hypothesis 1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s of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will be lower than that between the measures of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 Hypothesis 2 >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creativity and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will vary with subjects. < Hypothesis 3 > The Effect of sub-factor of independent variables, creativity and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will vary with subjects. < Hypothesis 4 > As the intelligence level of group becomes low,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telligence will become increased.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proposed, the following instrument were constructed and administered to the sample : Standardized Compact Creativity Test and General Intelligence Test both published by Korean Testing Center. As the index of academic achievement, the researcher used the results of most recent comprehensive tests administered in school. Subjects were 247 sixth graders and all the students were given the both tests to measure creativity and intelligence in their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It was founded that the simple and multiple correlations between the measures of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lower than those between the measures of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rom examination of those results the contention of the first hypothesis is sustained. 2. Inspection of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creativity and that of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vary with the subjects(Korean, Mathematics, Music, Art). The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mathematics & Art was mostly influenced by the factors of intelligence.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usic was mainly influenced by the factors of creativity. 3. Inspection of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sub-factors of creativity and that of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vary with the subjects(Korean, Mathematics, Music, Art). The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was mostly influenced by verbal reasoning facto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was mostly influenced by Arithmetic reasoning facto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usic was mostly influenced by flexibility facto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Art was mostly influenced by verbal reasoning factor. 4. Examination of the simple correlations of creativity,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shows different significance by groups. As the intelligence level of group becomes high,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telligence will become increased. Following points summarized the main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1. The dominancy of on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creativity and intelligence, in predicting of academic achievement appears differently by subjects(Korean, Mathematics, Music, Art) and groups. Generally, intelligence is dominant in accounting for the variance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n creativity-related subjects, creativity produce much more greater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2.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research, these findings provide some explanatory studie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emphasis in the divergent thinking reflected on both planning and developing programs and instructional material to meet the needs of gifted children. 3. It is suggested that the further studies of this type should involve a large number of measures from the domain of creativity,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valid interpretation and generalization, random sampling on various grade levels and the standardaized ability tests which have up-dated norms ar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