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일상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일상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미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s on the coping behavior of children.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or this study.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s depending on their sex and grade.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es in the coping behavior in different domains of daily stresses of children. There will b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coping behavior in different domains of daily stresses of children. Perceived social supports will have differernt effects on the coping behavior in different domains of daily stresses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students(96 boys and 104 girls) who selected from the 5th grade of two elementary schools and the 2nd grade of two middle schools in Seoul. As scales for this study, perceived social support measures and the coping behavior scale for children were taken.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ful regression, were used to examined the research guestion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otal scores of social supports, parents support, teacher s support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sex.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sex in friend s support. Girls perceived more highly than boys in friend s support. Socia1 supports perceived by children were significant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grade. 5th graders perceived more highly than 2nd graders in total social supports and teacher s support. 2nd graders perceived more highly than 5th graders in friend s support. 2. Coping behavior with daily stresses were signifcant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sex and grade in some domains. There were signifcant sex differences in'wishful thinking'of peer problem categories; and'avoidance'and'ignoring'of family problem categories. Each facotor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has in common that its average difference is greater in girls than in boys. This might lead to the fact that girls demonstrate their possible coping behaviors more conspicuosly than boys. There were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in'avoidance'and'self-isolating'of study problem categories; in'seeking support'of peer problem categories: and in'the emotional expression ,'avoidance'and'ignoring'of family problem categories. Each factor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is greater in 2nd graders than in 5th graders. 3. The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coping behaviors in the domain of study problem are as follows: The'avoidance'of coping behaviors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eacher s support(-.30) and total social supports(-.21);'the problem-focused'with parents supports(.24) and total social support(.22);'self-isolating with parents support(-.28). The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behaviors in the domain of peer problem are as follows: 'The problem-focused'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riend s support(.31) and total social supports(.26);'the wishful thinking'with parents support(.21), friend s support(.26) and total social support(.28);'seeking support'with friend s support(.29) The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behaviors in the domain of family problem are as follows: ‘The prolem-focused’has a high carrelation with parents support(.49), teacher s support(.33) and total social supports(.44); `the emotional expression with parents support(-.35) and total social supports(-.22);‘avoidance’with parents support(-.26); ‘ignoring’with parents support(-.47), teacher s support(-.20) and total social supports(-.30). The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coping behaviors in the domain of self-esteem problem are as follows: ‘The self-consolating’h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riend support(.25) and total social supports(.27);‘seeking support’with friend s supports(.22) and total social supports(.19);‘emotional expression’with parents support(-.26) and total social supports(-.21). 4.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different degrees of effects on chidlren s coping for each of different domains of their daily stresses. In the domain of study problem, teaeher s support showed the greatest explanation‘for avoidance’; parents support for‘the problem-focused’and‘self-isolating. In the domain of peer problem, friend s support showed the greatest explanation for‘the problem-focused,‘wishful thinking’and‘seeking support . In the domain of family problem, parents support and friend s support showed great explanation for ‘the emotional expression’,‘avoidance’,‘ignoring’and ‘the self-isolating’. Parents support and teacher s support had also significant effect on‘the problem-focused’. In the domain of self-esteem problem, friend s support showed the greatest explanation for‘the self-consolating’and‘seeking support’;parents support for‘the emotional expres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s have influence on the choice of coping behaviors for different domain of daily stresse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to the effects that the results could be used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chileren s stress coping.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일상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남·녀 아동 95명(남:44,여:50)과 중학교 2학년 남·녀 아동 103명(남:50,여:53)이었으며, 본 연구의 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박지원(1985)이 만든 척도를 윤혜정(1993) 수정한 사회적 지지 검사와 송의열(1995)이 만든 아동 일상 스트레스 대처행동검사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일상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성별 및 학년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초등학교 5학년이 중학교 2학년보다 교사지지 를 더 높게 지각하는 반면 중학교 2학년이 초등학교 5학년보다 친구 지지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성별에 의한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친구지지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일상 스트레스 대처행동중 학업문제 영역의 ‘회피’와 ‘자기고립’, 또래문제영역의 ‘거리두기’, ‘지지추구’, 가정문제 영역의‘감정표현’,‘회피’,‘무시’를 중학교 2학년이 초등학교 5학년보다 자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다른 차이는 가정문제 대처행동 하위요인인 ‘회피’와 ‘무시’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문제 영역의 ‘문제중심’, 또래문제 영역의 ‘소망적 사고’와 ‘지지추구’에서는 성별과 학년의 상호작용에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일상 스트레스 영역 각각의 대처행동 하위요인과 상관관계를 스트레스 문제영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학업문제 영역의 ‘회피’는 교사지지와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 전체 점수와도 의미 있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문제중심’은 부모지지, 사회적 지지 전체 점수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고립’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2. 또래문제 영역의 ‘문제중심’과 친구지지는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사회적 지지 전체 점수와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소망적 사고’는 친구지지, 부모지지, 교사지지, 사회적 지지 전체 점수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는데, 특히 친구지지, 사회적 지지 전체점수와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다. 3. 가정문제 영역 대처행동의 하위요인은 모두 부모지지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특히, 부모지지와 ‘문제중심’, 부모지지와 ‘무시’는 각각 높은 정적,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모지지와 ‘감정표현’도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문제중심’은 친구지지를 제외한 부모지지·교사지지·사회적 지지 전체 점수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4. 자존심문제 영역의 ‘자기위안’은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자기위안’은 사회적 지지 전체 점수,친구지지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지지추구’는 친구지지와 사회적 지지 전체 점수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감정표현’은 부모지지, 사회적 지지 전체 점수·교사지지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회피’도 친구지지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일상 스트레스 영역별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스트레스 문제 영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학업문제 영역 대처행동 중 ‘회피’에는 교사지지가 영향을 미치고 ‘자기고립’에는 부모지지, 친구지지가, ‘문제중심’에는 부모지지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또래문제 영역 대처행동에 있어서는 ‘문제중심’을 친구지지가 가장 많이 설명해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정문제 영역 대처행동에 있어서는 ‘문제중심’에 부모지지, 교사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정표현’, ‘회피’, ‘무시’, ‘자기고립’에 부모지지와 친구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자존심문제 영역 대처행동에 있어서는 ‘자기위안’과 ‘지지추구’를 친구지지가 설명해 주고 있고, ‘감정표현’은 부모지지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지지원에 따라 일상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선택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부모지지는 대부분의 스트레스 문제영역에서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문제에서는 교사의 지지를, 또래문제영역에서는 친구의 지지를 어떻게 지각하는가가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에게 있어서 부모의 지지는 중요하며 스트레스 문제상황에 관련된 지지제공자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해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