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0 Download: 0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서의 성차에 대한 교사의 인식

Title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서의 성차에 대한 교사의 인식
Authors
이경숙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 교육조직에 존재하는 여성에 대한 성차별 문제의 극복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 것으로서 특히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 행동에 대한 교사들의 지각수준과 기대수준은 남·여 학교장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에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여교사가 교장으로 승진하는 데 장애가 되는 요인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남.여교사의 의견을 통해 파악하고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모집단은 서울시내의 초.중.고등학교에 재직중인 남녀교사들로, 이들 중에서 총 29개교, 519명을 조사대상으로 표집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 측정을 위해서는 노종희(1994)가 개발한 초.중등학교 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 측정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여교사의 교장 진출에 대한 장애요인과 개선방안 조사를 위해서는 민무숙(1996)이 개발한 질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에는 χ²(Chi Square)검정, 두 독립표본 t검정, 두 종속표본 t 검정, 일원분산분석, 빈도분석과 요인분석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남.여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 대한 비교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남.여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고, 하위요인인 협력문화 조성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비전제시에서는 여교장이 교사들에게 더 높게 평가 받고 있었다. 둘째, 교사가 지각하는 남.여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는 요인별로 차이가 있고 여교장이 남교장에 비해 더 변혁 지향적인 것으로 지각되고 있었다. 셋째, 교사가 기대하는 남.여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는 차이가 없으며 남.여교사가 모두 남.여학교장에 대해 높은 기대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학교급별로 교사가 지각하는 남.여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사들의 지각수준은 초등학교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중학교에서는 여교장이 남교장보다 더 비전제시적인 반면 남교장들은 더 협력문화 조성적이고, 고등학교에서는 여교장이 남교장보다 두 측면 모두에서 더 변혁지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 성별에 따른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 대해 남교사들은 남교장의 지도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특히 남교장이 협력문화 조성적인 것으로 지각하였다. 또, 여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 대해서도 남교사들은 여교사들보다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교사들은 지각수준보다 기대수준이 높아서 남.여학교장 모두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 대해 미흡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여섯째, 교사들은 경력이 오래될 수록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 대해서 긍정적이고, 경력이 짧은 교사들은 높은 기대수준을 보이고 있어서 학교장의 지도성이 젊은 교사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 대한 교사의 기대수준과 지각수준은 큰 차이가 있어서 교장들은 성별에 관계없이 교사들의 변혁지향적 지도성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여교사의 교장 진출에 대한 장애요인과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면, 여교사 비율에 비해 여교장 비율이 낮은 이유로 남녀교사들이 지적한 것은 (1) 여교사들의 이중적인 역할 수행, (2) 우리사회에 남아 있는 여교사에 대한 편견 즉, 여성이 행정직이나 관리직에 진출하는 것을 기피하는 풍조, (3) 여교사들의 자기발전 노력과 의욕부족, (4) 남교사 위주의 현행 승진제도와 근무성적 평정 및 승진기회에서의 불리함 등이 있고, 여교장 비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1) 여성의 이중적인 역할 해소를 위해서 보육.탁아 등을 위한 사회복지시설 설치, (2) 교원에 대한 남녀평등의식 교육 실시, (3) 시.도교육청에 여성정책 담당관제 도입, (4) 공개경쟁 시험을 통해 교장.교감의 일정비율을 여성으로 선발.임용하는 방안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교사의 교장직 진출 장애요인으로 제시된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 능력이나 소양이 부족하다’는 항목에 대해서는 남.여교사가 모두 강한 부정적 반응을 보였고, 또, 여교장 비율을 늘리기 위해서 여성계 에서 주장하고 있는 잠정적 우대조치인 인사상의 할당제 도입에 대해서 남교사들은 대부분이 필요성을 인정하지 않았으나 여교사들의 절반 정도가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여교장의 변혁지향적 지도능력은 남교장에 비해 부족하지 않으며 오히려 교사들에게 더 변혁지향적이고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교육조직에 존재하는 근거 없는 성차별적인 인식은 타당성이 인정되지 않으므로 여교장의 비율을 늘리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것과 같이 가장 시급한 것은 여교사의 이중적인 역할 해소이고, 다음으로 사회에 남아 있는 여교사에 대한 편견을 제거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여교사들이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사회복지 시설의 설치와 남.여교사를 대상으로 한 부단한 남녀평등의식 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 또, 교장선발.임용을 위해서 공개경쟁 시험을 도입하고, 교사들에 대한 공정한 평가가 병행해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 인사상의 할당제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여교사 자신들도 보다 적극적인 직무자세를 갖추도록 해야 하며 부단한 자기발전 노력과 승진을 위한 준비에도 적극적으로 임할 필요가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starts from the interests how to cope with sexual discrimination of women in the educational system in Korea, especially this thesis aims to actually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recognitions and prospects of the innovation oriented leadership behavior of school principals. In addition, Also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and analyze the factors of preventing female teachers from promoting to school principals and the positive methods to improve the factors. 519 male and female teachers in 29 schools in Seoul area are chosen as a sample from the model population of male and female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 school teachers. The instrument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For researching the transformation-oriented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Noh Jong Hee(1994) are used, while for the impeding and improving factors of female teachers promotion to principals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Min Mu sook(1996) are used, modified and co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n processing the data, χ²(Chi Square)test, t test for two independent samples, t test for two subordinate samples, unitary dispers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foctor analysis are appli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omparativ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I see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renovation-oriented leadership between male principals and female principal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novation-oriented leadership between male principals and female principals and was no difference in creating a cooperative culture, subfactor. But female principals were more highly evaluated in suggesting a vision by teacher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y factors in the renovation oriented leadership of male principals and female principals which teachers perceived, and female principals we perceived as renovation-oriented compared with male principals.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novation-oriented leadership of male and female principals which teachers expected, and both male and female leachers had high expectation about male and female principal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novation-oriented leadership of male and female principals which teachers perceive by the class of schools. That 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in elementary schools. But, in middle schools, female principals tended to suggest a vision compared with male principals, while male principals were renovation oriented in both aspects than male principals. Fifth, male teachers evaluated male principals s leadership highly on the renovation-oriented leadership of principals by teachers sexes, especially they perceived male principals tended to create a cooperative culture. Also, they evaluated the renovation-oriented leadership of female principals highly than female teachers did. But female teachers fell not quite satisfied on the renovation oriented leadership of male and female principals because they had a high expectation compared with the level of perception. Sixth, the longer careers teachers have, the more positive opinions they have on the renovation oriented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so for teachers with short careers. the leadership of principals did not satisfy their high expectation. Seventh, principals, regardless of their sexes, did not satisfy teachers expectation on the renovation-oriented leadership becau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expectation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renovation-oriented leadership of principals. As for the opinions on obstacles and reform measures of female teachers advance to the position of principal, male and female teachers has pointed out as the reasons there is low percentage of female principals compared with the percentage of female teachers; (1) female teachers performance of double roles. (2) prejudice on female leaders on our society, that is, trend to dislike females launching into administrative and managerial careers, (3) lack of efforts for self-development and motivation of female teachers, (4) present promotion system putting first male teachers, disadvantage in efficiency rating and promotion opportunity. As any plans to increase the percentage of female principals, (1) establish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child-care to settle the double roles of female teachers, (2) education of consciousness on equality of the sexes in the profession of teachers, (3) introduction of the system of females policy section in education offices of cities provinces, (4) a plan to select a given rate of females as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through an open competitive test, which they perceived as important things. But, male and female teachers have showed a strong negative response in the item. female teachers are inferior to male teachers in ability or grounding suggested as one of obstacles of female teachers advance to the position of principal. Also, most of male teachers and the half of female teachers have not accepte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quota system in personnel management, a tentative preferential measures which is claimed in a section of female society to increase the percentage of female principals. The conclusion through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enovation-oriented leadership of female principals is not inferior to male principals, rather, is evaluated as more renovative as positive by teachers. Therefore, as groundless recognition of sexism exists in a education system is lacking its appropriatenes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ore positive measures to increase the percentage of female principals. Especially, as showed in this study, the most urgent thing is to settle the double roles of female teachers, then, to remove prejudice on female teachers in a society. To achieve these,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which female teachers commit their children with confidence should be established and constant education of consciousness on equality of the sexes for male and female teachers should be conducted. Also, an open competitive test in select principals should be introduced and a fair evaluation should be don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female teachers themselves should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works and try hard for self-development and promo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