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공선림-
dc.creator공선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1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5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8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53-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eal the Confucian concept of Li as his principal idea, and to depart from the current trends that focus relatively more on the concept of Jen(仁), asserting that such a turn of emphasis is inevitable when we consider the sociological import of his thought. While the pre-Confucian concept of Li had more to do with rituals and customs like sacrifice, Confucius himself shed new light on its significance as regulating human relationships, hence reconstructing human society. Ch.2 examines these two different focuses and place the conceptual development in the historical context. Ch.3 shows the relation of jen(仁) and xue(學) as the two basis of Confucian li. jen, as the totality of various de(德)s, requires tien(天) and xing(性) for it to be achieved; tien is the religious requisite while xue is the de-acquiring means to be fulfilled, in order to be a human being situated in a society. Ch.4 reveals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li in the light of Confucius thought that abuse of which can result in the malfunctioning of the given society, that additions of yi(義), jing(敬), and qian(謙) are needed to prevent the possible social disorder. It was Confucius s intent to preserve the value of holiness, and that of respects for human fellows with the introduction of Li; only when Li is properly obtained does the society function in such a way that holiness is manifested, respects for human fellows are observed, and ultimately, Utopia is realized. It was in this context that Confucian Li was re-examined in this dissertation. ; 필자는 공자의 핵심적인 사상으로 “예”에 주목하였다. 공자 사상의 주개념은 仁이라는 것이 일반적이나 현재 그의 사상이 끼친 영향을 감안하여 볼 때 “仁”보다는 “예”에 촛점을 맞추어 생각할 필요를 가진다. 공자가 말하는 ‘예’는 공자 이전의 예 개념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새롭게 해석하여서 이전과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 공자 이전의 예 개념은 제사 등의 예식과 관습을 포함하는 법규였다. 여기에 공자가 새로 부여한 예의 의미는 예의 행위와 정신을 통한 인간 관계의 이해이다. 2장은 예의 연원을 살핌으로써 공자가 받아들이고 있는 이전의 예의 의미와 공자 당시의 예의 쇠퇴에 대해 고찰하였다. 예의 쇠퇴는 공자 당시의 혼란을 보여주는 것으로, 예에 대한 새로운 의미부여를 요구한다. 3장은 공자가 가지고 있는 예 개념과 인(仁), 학(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예는 인과 관련되어서 설명되어지며, 그렇기 때문에 인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였다. 인은 여러 덕의 총체이며, 인에 도달할 가능성은 천(天)과 성(性)에 의한다. 종교적인 성격을 가지는 천을 인간이 획득할 덕의 기반으로 두고 동시에 학을 통하여 인간은 인간임을 보여주는 덕을 획득할 수 있다. 4장에서는 예가 가지고 있는 사회 문화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예가 사회적인 성격을 갖기 때문에 예의 사용에 문제가 있으면 그것은 사회에 영향을 주며, 잘못된 영향은 인간 관계를 어지럽히는 원인이 된다. 공자는 예의 잘못된 사용에 의한 문제를 발견하고 예가 잘못 사용되는 것을 막기위해 경(敬), 겸양(謙讓), 의(義)라는 개념을 동원한다. 잘못된 예의 사용이 사라지면 인간은 예 속에서 자신에 대한 존중을 찾을 수 있다. 공자는 예를 통해 인간에 대한 존엄과 신성함을 지키고자 하였다. 예를 통해 당시의 어지러운 사회를 효과적으로 정돈하고, 인간의 신성함이 살아있는 이상적인 사회를 지향했다. 공자의 예 사상이 재조명되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이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공자의 문제의식과 예(禮)의 연원 = 3 A. 제(帝), 천(天) 개념과 예(禮)의 연원 = 3 Β. 시대적 배경과 예에 관한 문제의식 = 7 Ⅲ. 예(禮)와 인(仁)ㆍ학(學)의 관계 = 14 Α. 예의 근거: 인(仁) = 15 1. 인(仁)의 의미 = 15 2. 인(仁)의 가능적 근거: 성(性)과 천(天) = 17 3. 인(仁)의 사회적 실현 = 21 Β. 예(禮)의 습득 방법: 학(學) = 26 Ⅳ. 예(禮)의 문화 사회적 의미 = 31 Α. 예(禮)의 사회성 = 31 Β. 예(禮)의 실현조건: 의(義),경(敬),겸(謙) = 36 Ⅴ. 결론 =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732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공자의 예(禮) 사상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