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혜-
dc.contributor.author이연호-
dc.creator이연호-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1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8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84-
dc.description.abstractAs social interest in domestic violence in Korea is increasing, elder abuse by family members is explosively becoming a social problem. Based on the realities of elder abuse in Korea,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1) risk factors of elder abuse at the individual, family, and sociocultural level and abuse characteristics 2) the effects of abuse in physical,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social dimensions, and 3) the channels of risk factors and the abuse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effects of elder abuse. Individual, family, and sociocultural risk factors were set up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physical,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social effects as dependent variables derived from domestic violence theory and model on ecological perspectives. Research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buse factors with specific abuse characteristics will affect on the results of elder abuse. A research target was restricted to elderly adults over 60 of community residents that had abuse history or experienced abuse from family members referred by social workers. A survey was conducted in elder abuse counseling centers, senior citizens welfare centers, and shelters based on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with size of 102 senior citizens. A SPSS/PC+ 10.0 package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s, factorial analysis of variance(ANOV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AMOS 4 program was used to conduct multivariate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focused on the research purpose and results of test of hypothesis were found in this research: 1. Major variable analysis based on demographical background variables Among demographical social variables within a sampling group, important risk factors are gender, age, a total number of dependents, and financial dependability. Age, a total number of dependents, and financial dependability except gender, and an education level have statistically influenced abuse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total number of dependents, and gender are variables influencing the effects of abuse. 2. Relationship analysis among variables An individual risk variable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 abuse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social effects. Among sociocultural risk and variables, a family risk variabl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ce with a psychological area. Among effects of abuse variables, a social risk variable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a psychological, a behavioral, and a social effect. 3. The result of test of hypothesis 1) Abuse risk factors influencing abuse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as an individual risk factor has influence on abusers relationship with the abused, while psychological abuse is influenced by cognitive functioning, gender, and financial dependability. Let-alone is influenced by physical functioning level. A family risk variable that affects abuse characteristics is family bonding. A sociocultural risk variable that affects length of abuse is a number of group participations, and relative contacts. A type of abuse that has effect on psychological abuse was influenced by a number of contacts with dependents, and with relatives and let-alone was influenced by support demand, a number of group participations and relative contacts. 2) Abuse risk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s of elder abuse (1) Individual risk factors influence on the effects of elder abuse When it comes to individual risk factors on physical effects, somatization declines with a physical functioning decrease. Education level and financial dependability was affected by a number of medical examinations after abuse. Depression and anxiety in psychological effects are influenced by cognitive functioning, a number of dependents, and education level. And cognitive functioning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fear. Hostile behavior factors such as behavioral effects are influenced by physical functioning, cognitive functioning, a number of dependents, and financial situation. The higher elderly dependability on dependents is, the suicide impulse is higher. Cognitive functioning as an individual risk factor has an impact on personal sensitivity as one of social risk factors. (2) Family risk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s of elder abuse The level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has an impact on psychological effects. The lower the level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dependents,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anxiety, and fear after abuse. Level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level have statistically impact on social avoidance in social effects. (3) Sociocultural risk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s of elder abuse Family support expectation, and number of group participation have an impact on depression and anxiety as a psychological effects. Family support expectation, group participation availability, and number of group participations have an impact on hostile behaviors as behavioral effects. Family support expectation, support demand, and a number of relative contacts have an impact on social avoidance as a soicocultural risk factor. 3) Abuse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effects of elder abuse Types of abuse and relationship with abusers have influence on physical effects as a characteristics variable. Depression and anxiety are influenced by types of abuse and relationship with abusers and fear by psychological and financial abuse. Level of psychological abuse has influence on social effects. So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abuse, the higher personal sensitivity is. 4) Abuse risk factors, and abuse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effects of elder abuse The test of hypothesis 6 was conducted in 2 steps. First,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whether abuse characteristics were working as a modifying variable or not. As a result of the test, abuse characteristics were proved to work toward a moderator or mediator. Second, as the result of model test through multi-variable analysis, a simple linear model was relatively conforming to data for this research. The channel factors were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buse risk factors as channels of abuse characteristics have indirect influence on the effects of abuse. The non-linear model is relatively conforming to data. As the channel factor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buse characteristics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upported partially. Therefore, abuse characteristics were proved to be functioning as a mediator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practical prevention and clinical intervention for abused elderly and their family were discussed. First,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alities of elder abuse population compared to the research that used to make a partial assumption about general elder abuse from an elderly population. The foundation of policy-making and clinical prevention to decrease and control elder abuse should be established from this kind of objective research. Elder abuse is currently a hidden issue that nobody wants to reveal from any level of society like elderly themselves, families, and the nation. Immediate intervention should be followed to have the hidden issue out of the closet. Second, clinical intervention for abused elderly and their family members is required to control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risk factors based on this research. A system that examine, find, and supervise elderly vulnerable to abuse should be created to decrease individual risk factors. With family prevention service provided for those who support dependent elderly, family risk factors will be decreased and controlled. Finally, extension of social network will decrease and prevent elder abuse, functioning as a cutter of connection with elderly isolation. The social network can be formed from expansion of social support, community contacts, and formal and informal support. And emergency shelters, tangible support service, outreach programs are suggested in an urgent manner, and the right of defense, power of attorney, and an mandatory report law are required by law. ; 최근 한국은 가정폭력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는 가운데 가족구성원에 의한 폭력의 형태로 나타나는 노인학대에 대한 우려가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상황에서 나타나고 있는 노인학대의 실태를 기반으로 실제적인 노인학대 위험요인(개인, 가족, 사회문화적 요인)및 학대의 특성은 무엇이며 이 요인들이 학대의 결과로 노인에게 나타날 수 있는 제반 피해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학대 위험요인, 학대의 특성이 어떤 경로를 거쳐 학대피해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한 생태학점 관점 및 가정폭력 노인학대 이론 및 모델에 근거하여 개인적, 가족적, 사회문화적 위험요인을 도출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학대 피해노인에게 학대의 결과로 발생하는 신체적, 심리적, 행동적, 사회적 피해영역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학대의 위험요인이 발생한 학대의 특성을 경로로 하여 학대의 피해영역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즉 학대의 위험요인 및 학대의 특성이 학대피해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변인들의 관계구조 검증을 목적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문사회복지사가 가족 구성원에 의한 학대를 경험했거나 경험하고 있음으로 판단하여 추천한 60세 이상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원칙으로 하였다. 표집 방법은 주로 목적적 표집방법을 활용하였다. 표집기관은 접근성의 제한으로 서울 경인 지역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먼저, 노인학대 상담센터 사회복지전문가에 의하여 학대임이 판명되고 상담을 진행중이거나 종료된 23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음, 서울 경인 지역의 모든 노인종합복지관에 사례협조를 의뢰하고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이 중 재가담당 사회복지사가 학대로 판단하여 추천한 61명의 노인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쉼터, 빈곤 지역 및 철거지역 종합사회복지관, 노인전화상담 기관 등의 18명의 노인을 포함하여 총 102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측정도구로는 개인적 위험요인으로 신체, 인지기능; 가족적 위험요인으로 가족기능, 가족결속력, 자녀관계만족도; 사회, 문화적 위험요인으로 부양기대감, 원조요청, 사회적 지원; 학대의 특성으로 학대유형, 기간, 가해자와의 관계; 학대피해영역으로 신체화 현상, 우울, 불안 및 공포, 대인 예민성, 사회적 회피, 적대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0.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적 통계, t검증 및 ANOVA, 정준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4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및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구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주요변수의 분석 연구대상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위험요인에 차이를 주는 요인은 성별, 연령, 총 자녀수, 경제상태 의존도로 나타났다. 성별, 교육수준을 제외한 연령, 총 자녀 수, 경제상태 의존도 등이 학대의 특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대피해 영역에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은 교육수준과 총 자녀수 남, 녀로 조사되었다. 2. 연구변인들간의 관계 분석 개인적 위험요인은 학대특성, 학대피해영역 중 심리영역, 행동영역, 사회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음, 가족적 위험요인은 사회위험요인, 학대피해요인 중 심리영역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회, 문화적 위험요인은 학대피해요인 중 심리영역, 행동영역, 사회영역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설검증 결과 1) 학대의 위험요인이 학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위험요인 중 교육수준이 가해자와 평소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인지기능, 성별, 경제상태 의존도가 심리적 학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 기능은 방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대의 특성에 영향을 주는 가족적 위험요인은 가족결속력으로 노인학대가족의 경우에는 가족의 결속력이 높아질수록 오히려 가해자와의 평소관계는 저하되었다. 사회, 문화적 위험요인 중 학대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체 참여 회수와 친척접촉회수였다. 학대 유형 중 심리적 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녀접촉회수와 친척 접촉회수이며, 방임의 경우 원조요청, 단체 참여회수, 친척 접촉회수가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조사되었다. 2) 학대의 위험요인이 학대피해영역에 미치는 영향 (1) 개인적 위험요인이 학대의 피해영역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위험요인이 신체적 피해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신체기능이 저하될수록 신체화 현상이 심화되었다. 노인의 학대 후 진료회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육수준과 경제상태 의존도였다. 심리적 피해영역인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지기능, 자녀수, 교육수준이었다. 또한 인지기능은 공포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학대의 행동적 피해영역인 적대행동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위험요인은 신체기능, 인지기능, 자녀수, 경제상태로 나타났다. 노인의 자녀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높을수록 자살충동이 증가하였다. 학대의 개인적 위험요인 중 인지기능이 사회적 피해영역인 대인 예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2) 가족적 위험요인이 학대의 피해영역에 미치는 영향 대상노인의 가족적 위험요인은 학대의 신체적 피해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학대의 심리적 피해영역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관계만족도로, 노인이 자녀와의 관계만족도가 낮을수록 학대결과 노인의 우울, 불안 및 공포가 증가되었다. 대상노인의 가족적 위험요인은 학대의 행동적 피해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학대의 사회적 피해영역 중 사회회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관계만족도와 의사소통기능으로 조사되었다. (3) 사회, 문화적 위험요인이 학대피해영역에 미치는 영향 사회, 문화적 위험요인은 학대의 신체적 피해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심리적 피해영역인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양기대감과 단체 참여정도였다. 행동적 피해영역인 적대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부양기대감, 단체 관련여부, 단체 참여정도로 조사되었다. 사회, 문화적 위험요인 중 사회회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부양기대감, 원조요청, 친척 접촉정도로 나타났다. 3) 학대의 특성이 학대피해영역에 미치는 영향 학대의 특성 변인 중 신체적 피해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대 유형과 가해자와의 평소관계로 나타났다. 심리적 피해영역인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대유형과 가해자와 평소관계, 공포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학대유형 중 심리적 학대와 재정적 학대로 나타났다. 학대의 특성은 행동적 피해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대피해의 사회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대유형 중 심리적 학대로 심리적 학대가 증가할수록 대인예민성이 증가되었다. 4) 학대의 위험요인, 학대의 특성이 학대피해영역에 미치는 영향 학대위험요인, 학대의 특성, 학대피해영역의 관계검증은 두 단계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먼저, 학대의 특성이 매개/ 조절 변인으로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대특성이 매개/조절 변인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학대의 특성은 학대피해의 심리, 사회적 피해영역에 매개/조절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다음, 공변량분석을 통한 모형검증결과를 보면, 직선적 매개모형(간접영향)의 경우 모델의 적합성이 비교적 자료에 부합하였다. 또한 경로계수의 경우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학대의 위험요인은 학대의 특성을 경로로 하여 학대의 피해영역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충만모형(직접영향)의 경우 모델의 적합성이 비교적 자료에 부합하였다. 경로계수의 역시 유의미하게 나타나 학대의 특성의 매개효과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즉 학대의 특성은 매개 변인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예방적 실천개입과 학대피해노인과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적 실천개입으로 나누어 함의를 논의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그동안 학대노인 사례발굴의 실질적 한계로 인하여 부분적 추정만이 가능했던 상황에서 직접적인 학대피해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통해 실제적인 학대위험요인이 어떠한 특성의 학대를 양산하며 피해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객관적 이론을 근거로 정책적, 임상적 학대개입의 기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현재 노인학대 문제가 노인, 가족, 국가 모두가 노출하기를 꺼리는 숨겨진 이슈 에서 벗어나도록 대중교육 및 홍보 등 학대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거시적 차원의 적극적 개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학대피해노인과 가족을 대상으로 개인, 가족, 사회적 위험요인을 조절하고 학대피해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실천개입이 요구된다. 개인적 위험요인을 감소를 위하여서는 학대에 취약한 노인을 조사, 발굴,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의존적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 개입 서비스가 지원된다면 가족적 위험요인을 조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족 및 확대가족을 포함하는 사회적 지지의 강화, 지역사회 접촉의 강화, 공식적, 비공식적 지원의 강화 등 궁극적인 사회적 관계망의 확대는 학대피해노인의 고립된 사회적 관계를 회복시키는 기능을 하여 학대를 방지,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응급쉼터, 신속원조 서비스, 아웃리치 프로그램 등이 시급하게 제안되며 또한 법적 조치로서 학대 전담법, 강제보고 법령, 변호, 대리 프로그램 등이 요구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 4 C.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 5 1. 연구의 의의 ------------------------------------------------------ 5 2.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9 A. 학대의 개념 및 유형 ----------------------------------------------- 9 B. 연구관련 이론 ----------------------------------------------------- 12 1. 생태학적 접근이론 ------------------------------------------------ 12 2. 가정폭력 접근이론 ------------------------------------------------ 15 C. 학대의 위험요인 --------------------------------------------------- 19 1. 외국의 선행연구 -------------------------------------------------- 19 2. 한국의 선행연구 -------------------------------------------------- 20 3. 주요학대 위험요인 ------------------------------------------------ 22 D. 학대의 피해영역 --------------------------------------------------- 30 E. 연구모형 및 가설 -------------------------------------------------- 33 1. 연구모형 --------------------------------------------------------- 33 2. 연구가설 --------------------------------------------------------- 34 Ⅲ. 연구방법 ---------------------------------------------------------- 37 A.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 37 B. 연구절차 ---------------------------------------------------------- 38 C. 측정도구 ---------------------------------------------------------- 39 1. 변수의 구성 ------------------------------------------------------ 39 2. 측정도구 --------------------------------------------------------- 40 3.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 44 D. 분석방법 ---------------------------------------------------------- 45 Ⅳ. 연구결과 ---------------------------------------------------------- 47 A. 주요 연구변인의 실태분석 : 학대의 실태 ---------------------------- 47 1. 학대의 위험요인 -------------------------------------------------- 47 2. 학대의 특성 ------------------------------------------------------ 60 3. 학대피해영역 ----------------------------------------------------- 65 B. 인구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주요변수의 분석 -------------------------- 70 1. 인구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위험요인의 차이 ------------------------- 70 2. 인구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학대특성의 차이 ------------------------- 72 3. 인구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피해영역의 차이 ------------------------- 73 C. 연구변인들간의 관계분석 ------------------------------------------- 74 D. 가설 검증 --------------------------------------------------------- 77 1. 학대의 위험요인과 학대의 특성에 관한 가설 ------------------------ 77 2. 학대의 위험요인과 학대피해영역에 관한 가설 ----------------------- 83 3. 학대의 특성과 학대피해영역에 관한 가설 --------------------------- 97 4. 학대위험요인, 학대의 특성과 학대피해 영역에 관한 가설 ------------101 Ⅴ. 결론 및 제언 ------------------------------------------------------119 A. 연구결과 요약 -----------------------------------------------------119 B. 함의 --------------------------------------------------------------129 1. 예방적 실천개입 --------------------------------------------------130 2. 임상적 실천개입 --------------------------------------------------132 C.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35 참고문헌 --------------------------------------------------------------137 부 록 --------------------------------------------------------------145 영문초록 --------------------------------------------------------------1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708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노인학대 위험요인과 피해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19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