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이-
dc.contributor.author박근혜-
dc.creator박근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6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8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60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s and take proper measures for helping adolescent in violent family. Family violences including parental abuse and marital violence bring adolescent physical and mental damages seriously. Adolescent who grew up in violent family shows diverse maladjustment of behaviors including the inclination of violence and they are easy to be offenders. That is, violence is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 The cycle of violence is the important cause of social crimes. But several studies show that adolescent in violent family do not always become offenders. Social supports plays a key role in mitigating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s. Social support system theory assumes that social support develops individual’s function and improves social adjustment capacity preventing him or her from being influenced adversely. Thus, social support provided by system is considered to influence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s in violent family. In Korea, the study has been continued separating parental abuse and marital violence. This made us understand parental abuse and marital violence separately, and we had trouble to understand family violence in the view of adolescent. But this study included parental abuse and marital violence at the same ti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8 high school students in violent family. Statistics were frequencies, percentile, Pearson’s r-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effects of family violence on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 in violent family.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abuse and adolescent’s aggressive behavior. Also father’s psychological and physical violence against mother have relation to adolescent’s aggressiveness. Among many types of family violence, mother’s physical violence against father has the highest relation to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 In mother’s violence against father, 95% were mutual violence. The family which occurs mutual violence between mother and father has the worst influence on adolescent. 2.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 in violent family. Peer and teacher’s support has an effect on the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 in violent family. This means that social worker had better improve peer and teacher’s support in managing adolescent in violent family. And it is suggested that social worker should develop ‘significant others’to improve peer’s support and the school social work is needed to improve teacher’s support In conclusion, social support provided by social support system is positively related to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 in violent family, and particularly social support furnished by peer and teacher is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other hands, parental support has no effect on the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behavior in violent family. But adolescent perceive parental support in high degree although they are abused by parents. Social worker should pay attention to this point and should refer to this in intervening adolescent who grew up in violent family. ; 가정폭력은 피해자에게 신체적·정신적 상해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청소년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심각하여 폭력가정에 있어서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 문제에 대처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부모의 자녀학대를 경험하거나 부부간의 폭력을 관찰하며 성장한 청소년 자녀는 여러 가지 심리·사회적인 부적응 문제를 지니게 되며, 이들은 부모의 폭력행위를 학습하여 다음 세대의 폭력의 가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알럭져 왔다. 그러나, 폭력을 경험하거나 관찰한 청소년이 모두 부적응 행동을 보이거나 폭력의 가해자가 되지는 아니며, 몇 몇 매개요인이 폭력적 환경에 노출된 자녀들의 부적응 행동을 완화시킨다고 보고되어 왔는데 그 중의 하나가 사회적 지지이다. 사회복지는 개인을 사회체계의 맥락 안에서 보는 특징이 있으며 사회적 지지는 사회복지 실천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기법의 하나로 알려져 왔다. 체계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가 개인의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사회지지체계론을 바탕으로 한 개입모델은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부적응 행동문제를 완화시키는 중요한 심리·사회적 변수로서의 사회적 지지가 폭력가정 청소년의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봄으로써 폭력가정 청소년의 문제에 개입하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폭력가정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부모의 자녀학대, 부부폭력의 발생빈도 및 폭력가정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이들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 행동 및 이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가정폭력이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폭력가정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회지지체계로는 부모, 형제 및 친척, 친구, 교사 등을 포함하였고, 부적응 행동으로는 사회적 위축, 과잉행동, 공격성, 강박성 등의 측면을 포함하였다. 또한 가정폭력의 유형으로는 부모의 언어적/신체적 학대, 부부간의 심리적/신체적 폭력 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폭력가정의 청소년 으로 경기도 내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총 500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서 그 가운데 폭력가정에 해당하는 21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시에는 SPSSWIN 6.2.1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정폭력이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정폭력이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가정폭력의 유형과 부적응 행동과의 단순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폭력과 배경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순상관관계 분석결과 아버지 학대의 경우 언어적 학대와 신체적 학대는 자녀의 공격성과 정적 상관인 있었고, 부모의 자녀학대 전체가 자녀의 공격성 및 강박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아버지의 어머니에 대한 심리적 폭력은 자녀의 공격성 및 부적응 행동 전체와, 신체적 폭력은 공격성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어머니의 아버지에 대한 싱리적 폭력은 자녀의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과 부적응 행동 전체와, 신체적 폭력은 자녀의 공격성, 사회적 위축, 강박성 및 부적응 행동 전체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어머니의 아버지에 대한 신체적 폭력은 자녀의 과잉행동을 제외한 부적응 행동의 모든 영역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가정폭력이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가정폭력 유형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아버지 폭력이 자녀의 사회적 위축, 공격성, 부적응 행동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자녀학대는 과잉행동에, 아버지의 자녀학대는 자녀의 공격성, 강박성 및 전체 부적응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사회적 지지가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가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과잉행동과 공격성 및 전체 부적응 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강박성 및 부적응 행동 전체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위축을 제외한 부적응 행동의 모든 영역에 사회적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부모나 형제, 친척의 사회적 지지는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친구, 교사의 지지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사회복지사는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문제를 다를 때 친구와 교사가 청소년에게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를 향상 시키는 것이 중요한 측면임을 암시한다. 따라서 또래의 지지를 높여주기 위해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타인 의 개발이 필요하고, 교사의 지지를 높여주기 위한 한방안으로 학교사회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부모 및 형제/친척이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도는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대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가정폭력의 문제를 다를 때 폭력을 행하는 부모가 제공하는 지지는 주의 깊게 다루어져야함을 암시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연구대상자들은 부모로부터 언어적,신체적 학대를 당함과 동시에 이들로부터 많은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어머니의 경우 언어적, 신체적 학대의 빈도가 전반적으로 아버지보다 높았지만, 자녀는 어머니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었는데 이는 청소년 자녀가 어머니의 학대와 애정을 일부분 동일시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자녀가 어머니의 학대를 내가 잘못을 해서 , 엄마가 나를 사랑하기 때문에 등으로 이해하게 될 때 어머니로부터 받는 지지의 정도 또한 높게 인식할 수 있으나, 어머니의 학대가 자녀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이 부분에 대한 심각성의 인식이 필요하다. 학대 의 개념에 대한 명확화 및 부모와 청소년들에 대한 교육·홍보작업을 통해 학대와 훈육적 체벌의 구분을 명확히 하는 작업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내에서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하고, 부부폭력을 관찰한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이들의 부적응 문제를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부부간의 폭력이 청소년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혀냄으로써 부부간의 폭력 문제를 청소년 자녀의 입장에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아버지 폭력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심각함을 보여주었으며, 이 중 대부분이 아버지와의 상호폭력임이 밝혀져 부부간의 상호폭력이 있는 가정의 문제의 심각성 및 이들 가정의 자녀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가정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모의 자녀학대와 부부폭력을 동시에 분석하고 이들간의 관계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폭력가정의 특성 및 역동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폭력가정의 역동성을 발견하여 다음 세대로 폭력이 전이되지 않도록 사회복지사사 개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세째, 사회적 지지가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수 있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또래지지와 교사지지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지지가 가정 내 폭력으로 인해 정서 및 행동문제를 가지게 된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폭력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의 토대를 마련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부모의 자녀학대를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지지정도 및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를 밝혀냄으로써 부모의 자녀학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역기능의 심각성을 보여주어 폭력가정 청소년에게 음성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특성을 이해하는 시각을 제공한 것도 큰 의의라고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가정폭력과 청소년 = 4 1. 가정폭력의 개념 및 유형 = 4 2. 가정폭력의 원인 = 9 3. 가정폭력이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11 B. 사회적 지지 = 18 1. 개념 = 19 2. 청소년기 사회적 지지의 기능 = 23 3. 사회적 지지체계개입 = 23 C.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부적응과의 관계 = 25 D. 연구분석들 = 26 1. 변수의 개념 = 26 2. 연구가설 = 31 3. 연구모형 = 31 Ⅲ. 연구방법 = 32 A. 연구대상 = 32 B. 연구도구 = 33 1. 가정폭력 측정도구 = 33 2. 부적응 행동 측정도구 = 35 3.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 35 C. 자료분석방법 = 3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7 A. 연구대상자의 특성 = 37 1. 연구대상자의 연구 사회학적 특성 = 37 2. 변수별 분석결과 = 40 B. 가정폭력이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 55 C. 사회적 지지가 폭력가정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 60 Ⅴ. 결론 및 제언 = 66 A. 결론 = 66 B. 제언 = 71 참고문헌 = 76 부록:설문지 = 83 영문초록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395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폭력가정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