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정신장애인과 정신보건전문가가 보는 정신장애인의 욕구비교연구

Title
정신장애인과 정신보건전문가가 보는 정신장애인의 욕구비교연구
Authors
이은연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인간이 출생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많은 욕구를 가지고 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살아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먼저 가장 생존에 필요한 음식과 옷, 집을 들 수 있으며,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과 서로 관계를 맺고자 하는 사회적 관계에 대한 욕구, 이성에 대한 욕구, 성적인 욕구, 병이 들면 치료하고자 하는 욕구, 일하고자 하는 욕구 등등 인간은 많은 욕구를 가지고 살아간다. 이와 마찬가지로 정신장애인도 인간이기에 많은 욕구와 그 외에 질병으로 인한 그들 자신만의 중요한 욕구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도 정신장애인을 위한 낮병원과 센터들이 운영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단편적인 재활시설과 프로그램도 거의 외국에서 들어온 서비스를 바탕으로 실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995년 12월에 정신보건법이 제정되었고 부족하게나마 지역사회정신건강으로 그 기본방향 설정과 정신장애인의 법적인 권리를 가지게 되었다. 지역마다 있는 보건소를 활용하는 방안을 가지고 왔으며 이러한 보건소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가 시범사업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주간재활프로그램을 살펴보아도 기존의 낮병원의 프로그랭과 별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실제로 정신장애인들이 가지고 있는 욕구와 문제를 파악하여 프로그램개발과 정부의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 중심의 욕구가 아닌 일반적인 욕구에 중점을 두어 정신장애인이 진정으로 어떠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경기도에서 시범사업으로 실시되고 있는 정신보건센터의 주간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들과 그 정신장애인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거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나 정신보건간호사)들을 대상 으로 정신장애인의 일반적인 욕구를 22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즉 정신장애인의 욕구가 무엇이고 그 욕구의 충족과 미충족, 욕구가 없는 상태(아무 문제없음)를 파악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제도와 서비스설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를 정신장애인과 전문가 두 집단으로 분석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욕구가 없는 상태 즉, 아무 문제없는 상태가 정신장애인과 전문가 두 집단 다 약물남용, 아동양육, 전화이용, 음주, 기본적 교육, 거주지, 대중교통수단이용, 타인에 대한 안전, 신체적 건강, 위생관리, 자신에 대한 안전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욕구 충족에서는 두 집단 다 마찬가지로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주간활동, 경제상태, 사회적 교제, 정신병적 증상, 식사, 약물치료정보, 심리적 상태, 위생관리, 자신과 타인에 안전에서 상당히 도움과 서비스를 받고 있거나 받고 있지 않아도 욕구가 충족됨을 보여주고 있다. 욕구 미충족에서는 아무 문제없음이나 충족보다는 훨씬 낮게 나타났다. 정신장애인은 약물치료정보에 높은 미충족을 보이고 있으나 전문가는 낮게 나타났다. 두 집단 다 이성적 관계와 성생활의 미충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교제에 있어서도 두 집단 다 미충족 순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장애인등록과 관련된 서비스의 잠재적 욕구의 분석에서는 장애인등록에 대하여 등록을 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응답을 한 수는 50명(40.3%)이고 등록을 할 것이다라는 응답은 70명(56.5%)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통계학적인 요인과 질병관련 요인으로 분석해보아도 대체적으로 과반수가 넘게 등록을 할 것이다라는 응답을 보였으나 등록을 하지 않겠다는 응답자의 이유가 그들의 병이 알려지는 것을 꺼리며 낙인과 사회적 불이익을 받을 것 같다는 것과 장애인이 아니다라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으로 정신장애인에 대한 낙인과 편견의 분위기ㅏ 서비스나 복지혜택을 받기보다는 차라리 들록을 하지 않겠다는 이유가 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실행되는 서비스의 평가와 앞으로의 제도와 서비스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일시적인 경제적 도움이 아니라 경제적으로 독립하기 위하여 정신장애인의 욕구와 기능에 맞는 직업재활프로그램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직업재활프로그램을 할 수 없을 정도의 기능적 손상을 입은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하여 경제적인 생계보조수당 등 법적 대책이 세워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간활동이나 사회적 교제를 위한 프로그램들이 시간을 보내기 위한 차원이 아니라 실제로 정신장애인들이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반인들과 마찬가지로 사회에 통합되어 살아나갈 수 있는 사회화와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약물 및 치료정보와 정신병적 증상에 대하여 정신장애인과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필수적이며 중요하다. 정신장애인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약물 및 치료정보의 전달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전문가는 정신장애인의 우울상태 등 심리적인 문제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상담이나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정신보건센터에서나 가정에서나 정신장애인이 스스로 요리를 결정하고 장을 보고 다듬고 요리할 수 있도록 장을 만들어주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이성관계나 성에 있어서 건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성 교육과 사회기술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앞으로 독립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주거프로그램들이 생겨야 하며 정책적으로 적극적인 거주지에 대한 지원이 있어야 한다. 여덟째, 학력이 낮은 정신장애인을 위하여 교육프로그램이나 대중교통이용에 대한 사회적응훈련 및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Human has many desires and live to satisfy his desires from birth to death. Human desires include survival needs as foods, clothes and houses as well as desires of social relationship, the other sex, sex, treatment of illness and working, etc. Likewise, mental disordered person, who is a human being like others, has many desires as a man and special needs to treat his mental disease. In Korea, now has some day-time hospitals and center for mental disordered person. This rehabilitation programs and institutes are working on the basis of foreign services. In December, 1995,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law of mental health for basic direction of mental health in community and legal right of mental disordered person. This law provided for application of pubic health center in each community. From this, mental health center in community began to work as public exhibition program. The rehabilitation program in day-time of mental health center in community, however, has not a wide difference to one of existing day-time hospital. That is, the program couldn’t grasp what is the desire of mental disordered person and develop suitable program. Moreover, the government has not proper intervention about this matter.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focus on general desire of mental disordered person, not on service-centric and understand what is real desire of mental disordered person.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general desires of mental disordered person by 22 of spheres. Objects of this study are mental disordered person who are using the rehabilitation program in day-time of mental health center in Seoul and Kyong-gi-do and mental specialists as registered social welfare specialist for mental health and nurse for mental health. I intended to grip what is real desire of mental disordered person and the status of satisfaction of the desires as completely satisfaction, unsatisfaction and having no desire or no problem. Thus I intended to provide some basic data for effective system and service management for treatment of mental disordered person. The summary of analysis of the result from this study, as the comparison between mental disordered person and mental specialist, is like below. The status of having no needs or problem is following the order as medicinal abuse, care for children, telephone use, drinking, basic education, place of residence, use of public means of transportation, security for other, physical health, sanitary care and security for himself. Two groups showed the similar results about the status of satisfaction, They has given considerable help and service or has satisfied without help or service in the items following the order, as day-time activity, economic state, social relationship, symptom of psychosis, eating information of medicinal therapy, mental state, sanitary care, security for himself and others. The status of unsatisfaction shows lower degree than the status of no problem or satisfaction. Mental disordered person group showed high degree of the status of unsatisfaction about the information of medicinal therapy. But mental specialist group showed low degree about it. Two groups showed high degree about unsatisfied status of the other sex or sexual life. In the status of social relationship, two groups also showed high degree of unsatisfacti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potential desires relating to registration of handicapped person are like these: About registration of handicapped person, 50 persons(about 40.3%) answered that they won’t register, 70 persons(about 56.5%) answered that they will register. From the analysis by socio-vital statistics factor and factor relating to disease, more than 50% of objects answered that they will register to handicapped person. The reason for they won’t register to handicapped person is that they have fear of being known about their disease and branding as the handicapped person. They are also afraid of social disadvantage, for they supposed that the society has some prejudice about handicapped person. Thus they seemed to decide that they would rather un-register to handicapped person than owe benefit or service to the societ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 intend to make some propositions for examination of current service and development of system and service for mental disordered person. Firstly, it is urgent that establishing rehabilitation of working program suitable for the desires and ability, as meaning of economic independence, not of economic supporting. Especially for chronicle mental disordered person who has functional disease and can’t work, legal countermeasure should be work out for as support for living cost, etc. Secondly, day-time activities or social relationship programs should provide chances for socialization and communication in order that they can be integrated into the society as general person, not merely for time spending. Thirdly,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that education for mental disordered person and his family about information of medicinal therapy and treatment and of psychosis symptom. Information of medicinal therapy and treatment, that is suitable for the desires for mental disordered person, should send to them. Fourthly, counseling and service about psycho state like a melancholia should be conducted by mental specialist, continually and prolonged. Fifthly, the mental health center or their home should make a condition in the mental disordered person can make decide their favorite dishes, go to market and cook. Sixthly, in order that mental disordered person can access the other sex or sexual life soundly, various education about sex and social program should be given to them. Seventhly, various residential program should conduct in order that mental disordered person can stand alone.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make frame policy about residential place. Eighthly, education program should be conducted as special program for mental disordered person who has low scholastic ability, education about use of public means of transportation and social accommodation, et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