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소현-
dc.creator박소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2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7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264-
dc.description.abstractOur generation is currently faced with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As a fundamental solution to this problem more and more importance is being placed on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environmental education exists not as an individual curricula, but as part of the larger Social Studies division, as the two share similar traits. Therefore, establishing a means to more efficiently teach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is of great importance. Furthermore, with the recent stress on action rather than words when it comes to environmental issues,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affective domain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fore, the following study aims to provide a fundamental base to maximize the effects of teaching by developing a method of teaching - learning to make students better understand the affective domai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has conducted actual classes to prove this point.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students in the comparative group who took traditional lecture-type classes, students in the test group who underwent a research-presentation type of class showed a much higher interest in the environment, seemed to take the environmental issue more seriously, and felt a higher sense of responsibility. Second, more students from the test group answered that they would act more environment-friendly in the future. Another words, more students from the test group than the comparative group decided to actively alter their everyday behavior to be more environment-friendly post-class. Third, in a valuation test after the classes had been conducted, students from the test group scored much higher than those from the comparative group. From this,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the traditional lecture-type teaching is not always the most effective when it comes to acquiring information. Fourth, in answer to a questionnaire post-class, students from the test group answered that they had fun during class, that their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s increased a lot, that the research and presentation method of class helped in their concentration during class, and that they would actively participate the next time a class like this was held. Meanwhile, students from the comparative group answered in the negative to the same questions, showing again that the traditional lecture type teaching has its limits when getting students more interested in what they are learning. Fifth, in a study to see whether the sex had any relation to the outcome, we found that only answers to questions which were more relevant to women did it show a difference in the sexes. The rest showed no re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ints. First, considering the fact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takes place largely within another related department, more effort should be put forth to develop program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ithin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Second, the goals and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more on the affective aspect rather than the intellectual aspect. Therefore, greater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education activities which influence the values, behaviors and actions of the affective domain. Third, the education system in Korea focuses on the traditional lecture-type of teaching in classroo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thod of teaching which can maximize the effects of the affective domain and apply these methods in the field, thereby implanting in students the value and ability to solve environmental issues effectively. ; 우리는 현재 심각한 환경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으로 환경교육이 중요시 여겨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학교 환경교육이 독립교과에서보다 관련교과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사회과는 환경교육의 목표나 내용에서 많은 연계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사회과에서의 환경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은 우리나라의 환경교육에 있어 큰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지식보다 실천이 중요함을 강조하게 되면서 환경교육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에서 환경교육의 정의적 영역을 효율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교수 - 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학교 환경교육에서의 교육효과 극대화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정의적 영역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에 알맞은 교수 - 학습 방법을 이용해야 그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실제 수업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 강의식으로 수업을 받은 비교반 학생에 비하여 조사·발표 수업을 받은 실험반 학생들이 환경에 대한 관심정도도 많이 증가하였고, 환경문제를 보다 심각하게 인식하게 되었으며, 환경문제 발생에 대한 책임감을 더 많이 느끼게 되었다. 둘째, 비교반 학생들보다 실험반 학생들이 환경친화적 행동을 더 많이 할 것이라고 응답을 하였다. 즉, 수업을 받고 난 후에 보통의 생활에서 하고 있던 행위들을 환경친화적인 행동으로 변화시켜 나갈 것이라는 생각을 실험반 학생들이 비교반 학생들보다 더 많이 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업을 받은 후에 지식 습득에 관한 평가 점수에서도 실험반 학생들이 비교반 학생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전통적 강의식 수업이 지식 습득에는 가장 효과적이라고 하는 통설이 언제나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실험반 학생들은 수업을 받고 난 후에 수업도 재미있고, 환경에 대한 관심도 많이 증가했다고 하였으며, 조사·발표 수업이 수업을 받을 때의 집중력에 도움을 주며, 다음번에 이런 수업을 하면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는 응답을 하였다. 그러나 비교반 학생들은 실험반 학생들의 견해에 비하면 부정적인 의견이 많아서, 전통적 강의식 수업이 학생들이 흥미를 자극하거나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사후조사 결과에서 성별 차이가 나고 있는가를 조사한 결과, 여성에게 관련성이 더 많다고 보여지는 행위에 대한 응답만이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고, 나머지 문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환경교육의 많은 부분이 독립교과보다는 관련교과에서 행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연계성이 높은 사회과에서의 환경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많은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환경교육의 목적과 목표가 인지적인 부분보다는 정의적인 측면에 더욱 많은 의의를 두고 있으므로, 정의적 영역에 해당하는 가치·태도, 행동(실천)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육활동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재 우리나라의 환경교육이 대체로 교실에서 행해지는 전통적 강의식 수업 위주로 진행되고 있으나, 정의적 영역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 방식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능과 가치관을 학생들에게 심어주도록 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 3 1. 수업 시기, 대상과 방법 = 4 2. 설문 방법과 설문지의 구성 = 5 Ⅱ. 환경 교육의 이론적 배경 = 8 A. 환경교육의 발전 = 8 1. 세계와 우리나라의 환경교육 발전 과정 = 8 2. 사회과에서의 환경교육 변천과 현황 = 9 B. 환경교육의 특성 = 13 1. 환경교육의 의의 = 13 2. 환경교육의 목적과 목표 = 14 C. 환경교육의 정의적 영역과 교육 방법 = 16 1. 정의적 영역의 환경교육 = 16 2. 정의적 영역의 환경교육 교수 방법 = 19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 23 A. 학생들의 일반적인 환경의식 분석 = 23 1. 사전조사 결과 분석 = 23 (1) 조사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환경의식 = 23 (2)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지식 수준 = 25 (3) 학생들의 특성과 성별에 따른 환경의식의 차이 = 26 2. 환경친화적 행동점수(실험반) = 27 B. 수업 결과 분석 = 32 1. 수업을 받은 후의 환경의식 변화 = 33 2. 수업을 받은 후 환경친화적 행동에 대한 의식 변화 = 37 3. 환경에 대한 지식 평가 결과 = 43 4. 수업방법에 대한 견해 = 44 5. 사후조사 결과의 성별 차이 = 46 Ⅳ.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3 영문초록 = 56 부록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187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사회과에서 효율적인 환경교육을 위한 수업 방안 연구 : 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