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정상 성인의 호흡과 발성 방법에 따른 공기역학적 및 음향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

Title
정상 성인의 호흡과 발성 방법에 따른 공기역학적 및 음향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
Authors
김문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목소리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에서 발생되는 음성장애는 대부분 잘못된 발성방법으로 인한 후두의 과긴장으로 인해 야기되는 것으로, 흡기 및 호기를 자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호흡방법과 성대 및 주변 근육의 긴장을 줄이도록 훈련하는 음성치료가 주된 치료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지금까지 음성치료의 효과는 주로 주관적인 평가법에 의해 많이 논의되어 왔으며 객관적인 자료는 아직까지 별로 없는 상태이다. 더욱이 호흡 및 발성 방법에 따른 음성 분석은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후두병변이 없는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목소리의 강도와 높낮이를 달리하면서 보통 호흡, 복식 호흡, 복식 호흡 및 공명 발성 등 세 가지 호흡 및 발성 방법에 따른 공기역학적 및 음향학적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최대 발성 지속시간은 남녀군 모두에서 보통 호흡, 복식 호흡, 복식 호흡 및 공명 발성의 순으로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2. 남녀군 모두 보통 호흡에 비해 복식 호흡, 복식 호흡 및 공명 발성을 하였을 때 기본 주파수, 강도, 호기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편한 발성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증가하였다(p<0.05). 3. 여자군에서는 복식 호흡 및 공명 발성일수록 jitter, shimmer는 감소하였고 noise-to-harmonic ratio(NHR)은 증가하여 음향학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폐활량을 증가시키고 성문 내전력을 감소시키는 호흡 및 발성 방법으로 성문저항이 감소하고 호기류율은 증가하여 음원생성능력의 증가와 음향학적 개선을 관찰할 수 있었다. ; Many patients who have voice disorders simply use too much effort and strain when they speak or sing and create too much laryngeal muscle tension. Therefore, voice therapy techniques have been a viable adjunct to surgery and pharmachological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voice disorder. More recently, a physiologic orientation to voice therapy has evolved ; improvement in the balance among laryngeal muscle effort, respiratory effort and establishment of a healthy vocal fold. The efficacy of techniques used in voice therapy has been tested perceptually, not objective data. Moreover, aerodynamic and acoustic analysis according to respiration and phonation method has seldom been reported. In this study, healthy adults were asked for natural breathing, abdominal breathing, and abdominal breathing with resonant phonation ; on each method, aerodynamic and acoustic analysis were do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the order of natural breathing, abdominal breathing, and abdominal breathing with resonant phonation, maximum phonation times were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methods. 2. In male and female, the fundamental frequency, mean airflow rate, intensity were increased and glottal resistance was decreased at abdominal breathing and abdominal breathing with resonant phonation than natural breathing, but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only in easy voice (p<0.05). 3. In female, jitter and shimmer were decreased and NHR was elevated at abdominal breathing with resonant phonation and the improvement of acoustic aspects was significant (p<0.05). In conclusion, a change of mode of respiration and phonation which inspire more air and control subglottal pressure properly was found to reduce the glottal adduction and increase the vocal efficiency. This respiration and phonation method appear to enhance normal vocal function especially in female who is apt to have more voice disorders than ma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