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혜-
dc.contributor.author안진-
dc.creator안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5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6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7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601-
dc.description.abstractSupporting the elderly in Korea is becoming a greater problem, due to the increase in elderly population and the changing attitudes of belongingness within Korean families. Also, the need to live separately between the elderly and younger generations is increasing. Nowadays, the idea of the elderly living in groups, according to social and economical levels, is becoming more desirable. However, there are only 108 elderly group homes in operation within Korea, and they are only operating at 60% of capac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services and welfare of elderly within a group home environment. The study will include, paid, partially subsidized and fully subsidized (free) group homes within Korea. This study classifies the needs of the elderly along the lines of Alderfer; into,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Also, environmental factors are considered.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workers, the elderly, and facilities. From this study, I can giv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 needs of the elderly should serve to satisfy relatedness and growth which are beyond, mere, existence. Existence being; the needs of the elderly to support their everyday life such as, meals, laundry, cleaning, and so on. Also, the workers of group homes should consider the needs of individual residents instead implementing a generic standardized care practice. Secondly, there should be more government funding to provide a greater degree of equipment. There is a disparity of equipment available between paid and subsidized facilities; where the less a resident pays the less equipment they have available to them. Government funding is needed to create a minimum standard of necessary and complimentary equipment for the elderly’s usage. Thirdly, an interconnection between elderly group homes and their local communities needs to be created, where residents from differing group homes can share activities, information and volunteering sources with their surrounding communities. This can help the residents sense of belonging and feeling of adequacy within society. ; 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나 가족 형태가 변화 혹은 약화되면서 부양문제가 심각하다. 또한 전체적으로 자녀 별거 욕구가 늘어나고 있어 경제·사회적 지위가 비슷한 노인들끼리 집단으로 거주하면서 필요한 서비스를 받는 것이 노후생활의 안락함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부양문제과 욕구는 다양하게 확대되어 정부는 무료시설 뿐 아니라 민간인들의 유료시설설립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양로시설은 108개에 지나지 않으며 입소율은 60%에 불과하다. 본 연구는 양로시설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는 서비스측면에서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서비스는 노인의 욕구를 근거로 제공 되어야 하며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소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노인의 욕구를 생존, 관계, 성장의 측면으로 나누어 이에 관한 서비스현황과 환경적 요소인 종사자, 입소자, 시설의 특성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양로시설 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력 충원 및 자질향상을 통하여 일상생활지원서비스 외에도 관계 및 성장의 욕구까지 전반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가 전문적으로 다양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이 때 무료시설노인들의 의욕저하와 타율성, 실비 및 유료노인들의 다양한 욕구와 자율성을 고려하여 각각 개입되어져야 한다. 둘째, 시설설비면에서 유료보다는 실비, 실비보다는 무료시설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이 요청된다. 이 때 시설현황을 바탕으로 시설별, 시설형태별로 차별화된 지원정책이 검토되어져야 한다. 세째,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있어 실비보다는 무료, 무료보다는 유료시설이 괴리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상호간 활발한 교류를 통하여 긴밀한 연계성을 확립할 수 있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져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양로시설의 개념과 현황 = 5 1. 양로시설의 개념 및 특성 = 5 2. 양로시설의 현황 = 9 B. 노인의 욕구와 서비스 = 12 1. 노인의 욕구 = 12 2. 서비스 = 16 C. 서비스 환경 = 19 D. 분석틀 = 22 Ⅲ.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연구방법 = 23 Ⅳ. 분석결과 = 24 A. 서비스 = 24 1. 생존의 욕구에 관한 서비스 = 24 2. 관계의 욕구에 관한 서비스 = 30 3. 성장의욕구에관한서비스 = 36 B. 서비스 환경 = 41 1. 종사자특성 = 41 2. 입소자 특성 = 44 3. 시설특성 = 48 Ⅴ. 결론 = 51 A. 분석결과 요약 = 51 B. 서비스개선방안 = 53 C. 연구의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58 참고문헌 = 59 영문초록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399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한국 양로시설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