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숙-
dc.contributor.author원지영-
dc.creator원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5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6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7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60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 abuse, to analyze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 abuse on emotional maladjustment of children s behavior, and to screen their causes. The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composed of sex, parents academic career, parents job, father s unemployment in these year, number of children. The raw score from the subscale(frequency, strength, solution)of the Children 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CPIC; Grych, 1992) was used as child report measure of marital conflict. Child abuse was classified with physical abuse and verbal abuse. Emotional maladjustment of children s behavior were composed of five subdimention : withdrawn behavior, hyperactive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regressive behavior, compulsive behavior.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mong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marital conflict, child abuse and emotional maladjustment of children s behavior 2. The relation between marital conflict, child abuse, and emotional maladjustment of children s behavior. 3.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marital conflict and child abuse on emotional maladjustment of children s behavior. The subjects were 401 5th,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Kyung-gi.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were done by T-test, One-Way ANOVA,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Pearson s r, path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ata were as follows: 1. Marital conflic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elations with father s academic career, drinking, and unemployment among the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2. Physical child abu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elation with father s age, parents academic career, father s drinking and unemployment among the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Verbal child abu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relation with father s age, parents academic career, father s drinking and unemployment among the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3. Emotional maladjustment of children s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elations with father s job, parents drinking and father s unemployment among the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4. Marital conflict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to child abuse. Marital conflict and child abuse influence emotional maladjustment of children s behavior. That is, Marital conflict had the direct influence on emotional maladjustment of children s behavior and had shown the indirect moderating effect through child abuse. 5. Marital conflict and verbal abuse influence the emotional maladjustment of children s behavior, had relatively more significant effects on withdrawn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In addition, physical abuse influence withdrawn behavior. Among the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parents drinking were found a important factor to predict hyperactive, regressive, and compulsive behavior. Child s sex influence regressive behavior. And father s age influence aggressive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rital conflict bring about child abuse, and marital conflict and child abuse influence emotional maladjustment of children s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provide basic sources to develop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of child abuse. ; 부부는 성장배경과 경험의 차이로 인해 어느 정도의 갈등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부부간의 갈등이 해결되지 못할 경우 이는 당사자에게는 물론 다른 가족성원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 때 가장 영향을 받기 쉬운 대상은 아동이다. 부모의 갈등적 관계에 대한 아동의 지각은 아동의 정서 및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부부갈등이 아동에게 더 위협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부부사이의 갈등적 관계가 부모-자녀관계에까지 확산되어 극단적인 형태인 아동학대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부갈등과 아동학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이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가정환경변인 중 부부갈등, 아동학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아동학대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있어서 가정환경변인으로는 아동의 성별, 부모의 연령,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 부모의 음주, 아버지의 실직 경험, 자녀수가 포함되었다. 부부갈등 측정에는 Grych등(1992)이 개발한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척도(CIPC)중 일부(빈도, 강도, 해결)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아동학대는 그 유형중 신체적 학대와 언어적 학대만을 포함하였다.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은 Achenbach(1978)의 아동행동질문지(CBCL)와 Quay(1972)의 정서적 부적응 질문지를 근거로 하여 위축행동, 과잉행동, 공격행동, 퇴행행동, 강박행동의 5가지 하위영역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가족환경변인이 부부갈등, 아동학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2. 부부갈등, 아동학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3. 가정환경변인, 부부갈등, 아동학대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5, 6학년 아동 401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PC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으며 통계기법으로는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경로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정환경변인과 부부갈등의 관계에 있어서 부부갈등은 가정환경변인 중 아버지의 학력, 아버지의 직업, 부모의 음주, 아버지의 최근실직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아버지의 학력이 낮고, 부모의 음주 빈도가 높고, 아버지가 최근 실직을 경험한 가정에서 부부갈등이 더 빈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가정환경변인과 아동학대의 관계에 있어서 신체적 학대는 아동의 성별, 아버지의 음주, 아버지의 최근 실직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여아보다는 남아가 신체적 학대를 더 많이 받고 있으며, 아버지의 음주빈도가 높고, 아버지가 최근 실직을 경험한 가정의 아동이 신체적 학대를 더 많이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음으로 언어적 학대는 아버지의 연령, 부모의 학력, 아버지의 음주, 아버지의 최근 실직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아버지의 연령이 낮고, 부모의 학력이 낮으며, 아버지의 음주 빈도가 높고, 아버지가 최근 실직을 경험한 가정에서 아동에 대한 언어적 학대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가정환경변인과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은 아버지의 직업, 부모의 음주, 아버지의 최근 실직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아버지의 직업 수준이 낮을수록, 또 부모의 음주 빈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버지가 최근 실직을 경험한 가정의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정서적 부적응 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부부갈등, 아동학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부갈등과 아동학대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부부갈등과 아동학대가 모두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부갈등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아동학대를 매개로 한 간접적 영향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가정환경변인, 부부갈등, 아동학대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산출한 결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모든 하위 영역(위축, 과잉, 공격, 퇴행, 강박행동)은 부부갈등과 언어적 학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부갈등은 언어적 학대와 위축행동과 공격행동에 있어서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위축행동의 경우는 언어적 학대 외에 신체적 학대의 영향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환경변인으로는 부모의 음주가 과잉행동, 퇴행행동, 강박행동에 대해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변인으로 지적되었다. 또, 퇴행행동에는 아동의 성별이, 강박행동에는 아버지의 연령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있어서 부부갈등과 언어적 학대가 주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부부갈등이 아동학대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부부갈등과 아동학대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아동학대의 예방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치료적 개입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의 제한점 = 5 II. 이론적 배경 = 6 A. 부부갈등 = 6 1. 갈등의 개념 = 6 2. 갈등의 유형 = 7 3. 갈등이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 8 4. 부부갈등의 제요인 = 10 5. 부부갈등과 가정환경적 특성 = 12 B. 아동학대 = 14 1. 아동학대의 정의 = 14 2. 아동학대의 유형 = 17 3. 아동학대에 대한 접근론 = 18 4. 아동학대와 가정환경적 특성 = 20 C. 정서적 부적응 행동 = 24 1.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개념 = 24 2.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유형 = 25 D. 관련 선행연구의 고찰 = 28 1. 부부갈등과 아동학대 = 28 2. 부부갈등과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 = 30 3. 아동학대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 = 31 E. 연구분석틀 = 33 1. 연구문제 = 33 2. 용어의 정의 = 34 III. 연구방법 = 37 A.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 37 B. 측정 도구 = 38 C. 자료 분석 = 41 IV. 연구결과 및 해석 = 43 A. 가정환경변인과 부부갈등 = 43 B. 가정환경변인과 아동학대 = 47 C. 가정환경변인과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 = 52 D. 부부갈등, 아동학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간의 관계 = 56 E.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대한 부부갈등, 아동학대 및 가정환경변인의 영향력 = 61 V. 결론 및 제언 = 66 A. 결론 = 66 B. 제언 = 72 참고문헌 = 75 부 록 = 83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203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부부갈등이 아동학대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