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여고생의 대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여고생의 대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명재원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Eating disorder which had been considered to be prominent phenomenon in western countries, nowadays is emerged frequently in Korea due to change of ideal standard of women s beauty and attractiveness. According to epidemiological studies, the prevalence of eating disorder including bulimia nervosa in Korean adolescents is shown to be similar or even more serious than that of western adolescents. In spite of the seriousness of this problem, studies about eating disorder a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sufficient in Korea. Especially, most of previous studies focused on only intrapsych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ich a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eating disorder. Therefore influence of sociocultural factors which have been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causes of eating disorder couldn t be examined empirically. Consequently, it is hard to understand this problem entirely and to intervene to the clients properly. Most of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shown to striking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prevalence rates for eating disorder. Also, this porblem has been found to typically emerge during late adolescents with remarkable consistency. Normal female sex-role socialization which renders girls and women vulnerable to excessive pursuit of thinness is considered to be main cause of this problem. The Socialization of concern with beauty and thinness occurs in virtually every social context. Hereupon, this study is focused on bulimia nervosa which is reported to emerge most frequently, and has serious influence over biopsychosocial well being of patients. Also, it is attempted to explain sociocultural factors that have effects of high school girls bulimia nervosa, especially focused on pressure of family, peer, and mass media. Finally, This study have a purpose to suggest a ground of intervention to bulimics and potential clients who have risk factors to be developed to bulimic in nonclinical setti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 1. Grasp situation of high school girls bulimia and body dissatisfaction. 2. Examine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actors on high school girls bulimia and body dissatisfaction. 3.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ocultural factors on high school girls bulimia and body dissatisfaction. 4.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consciousness on high school girls bulimia and body dissatisfaction. 5. Examine the influence of body dissatisfaction on high school girls bulimia. 6. Examine discriminant factors which classify groups into high level of bulmic symtomatic group and low level of bulimic symtomatic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high school girl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in Seoul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level of body dissatisfaction is shown to be high, especially dissatisfaction level of body area related to weight is very high. Also, 8% of whole subject are diagnosed to bulimic, and this results is found to be much more serious than results of other studies than used same assessment inventory in western countries. 2.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examined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s on body dissatisfaction, demographic factors, family pressure to thinness, peer pressure to thinness, mass media, self-consciousness are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Among these variables, weight, frequency of conversation about diet, social anxiety, private self consciousness, show program are found to have effects on body dissatisfaction of high school girls. 3.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examined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s on bulimia, demographic factors, family pressure to thinness, peer pressure to thinness, mass media, self-consciousness are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Among these variables, weight, number of brother, frequency of conversation about diet, number of peer who want to be thin, mother pressure to thinness, body dissatisfaction are shown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high schools girls bulimia. 4. Discriminant variables which discriminate groups into high level of bulimic symtomatic group and low level of bulimic symtomatic gruop are found to be frequency of conversation about diet, number of brother, body dissatisfaction, number of peer who are on a diet, father pressure to thinness, sitcom program. The final suggestions are as follow. 1. Considering the seriousness of this problem, professional intervention for bulimic in nonclinical setting like school is needed. 2.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familial factors and family pressure to thinness have important effects of high school girls bulimia, social workers need to consider familial factors carefully when they assess and intervene to this problem. 3.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peer pressure to thinness have strong influence of girls bulimia and body dissatisfaction, it is recommended for social workers use group program rather than individual approach. 4. Since mass media have significant effects of high school girls bulimia and body dissatisfaction, it is necessary for social workers to show the harmful impact of certain program to society. ; 과거에 대식증을 비롯한 섭식장애는 주로 서구 선진사회에서 발생하는 정신장애로 간주되어 왔으나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과거와 달리 지나치게 마른체형을 선호하고, 여성들은 말라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이 커짐에 따라 무리한 다이어트를 하는 여성들이 폭증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섭식장애의 유병률이 서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여고생이나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일부 연구들에서는 우리나라의 섭식장애 문제가 이미 서구수준을 능가하고 있다는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대식증을 비롯한 섭식장애에 관한 연구는 양적으로 매우 부족하며, 내용 면에서 한정되어 있다. 특히 기존의 연구들이 대부분 섭식장애의 발병과 관련한 개인의 심리적, 정신내적 특성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일찍부터 섭식장애 발생의 주요한 배경으로 언급되어 오던 사회 문화적 환경의 영향력을 실질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고, 결과적으로 이 문제현상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와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에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는 섭식장애, 그 중에서도 특히 거식증이나 폭식증의 발병이 거의 대부분 후기 청소년에서 초기 성인기의 여성들에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에 대한 중요한 요인으로 규범적인 여성의 성역할사회화가 젊은 여성들로 하여금 ‘날씬함에 대한 극단적인 추구’를 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한 ‘아름다움과 날씬함에 대한 추구’를 이끄는 사회화는 거의 모든 사회적 환경에서 일어난다고 하였다. 이에, 미국에서는 특히 여성의 신체상과 섭식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 또래의 압력에 대해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매스미디어가 여성의 섭식장애에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섭식장애 중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이며, 환자들에게 심각한 신체, 심리, 사회적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대식증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나라의 여고생 집단의 대식증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할 것이며, 여고생의 대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환경적 요인을 특히 가족과 또래, 미디어의 압력에 초점을 두고 설명하고자 한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와 같이 비임상적 세팅에 있는 대식증 진단자 및 앞으로 대식증으로 진전될 위험요인을 갖고 있는 대상자들에 대한 개입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여고생의 대식증 및 체형 만족도의 수준을 파악한다. 2.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여고생의 대식증 및 체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3. 사회환경적 요인이 여고생의 대식증 및 체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4. 자기의식이 여고생의 대식증 및 체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5. 체형 만족도가 대식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6. 대식증 증상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판별해 낼 수 있는 판별요인들을 파악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에 위치한 3개교를 선정하여 여고생 1, 2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고생들의 체형 만족도는 보통 수준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몸무게와 관련된 신체부분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연구대상자의 8%가 대식증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서구에서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얻어낸 결과보다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여고생의 체형 만족도에 대한 각 변수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날씬함에 대한 가족의 압력, 날씬함에 대한 또래의 압력, 대중매체, 자기의식의 모든 변수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각 변수들의 하위변인들간의 최종적인 설명력을 검증한 결과, 체중, 다이어트에 대한 대화 빈도, 사회불안, 사적 자기의식, 쇼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체형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3. 여고생의 대식증에 대한 각 변수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날씬함에 대한 가족의 압력, 날씬함에 대한 또래의 압력, 대중매체, 자기의식의 모든 변수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각 변수들의 하위변인들간의 최종적인 설명력을 검증한 결과, 체중과 오빠의 수, 다이어트에 대한 대화 빈도, 날씬해지기를 원하는 또래의 수, 어머니의 압력, 체형 만족도가 여고생의 대식증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4. 대식증 증상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판별해 내는 판별변수로는 다이어트에 대한 대화 빈도, 오빠의 수, 체형 만족도,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 또래의 수, 아버지의 압력, 시트콤이 선별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 중 8%에 이르는 학생들이 대식증으로 분류되었다는 문제의 심각성을 감안할 때, 이들에 대한 전문적인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문제를 감추고자 하는 대식증 환자들의 소극적이고 회피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을 꾀할 수 있는 원조체계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섭식장애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풍부히 갖추고 있는 사회사업가가 학교에 상주하여 이들에게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여고생의 대식증에 대한 가족적 요소들과 가족 압력의 영향력이 크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이 문제를 다루는 사회사업가는 문제의 사정이나 개입 과정에서 가족적인 요소를 주의깊게 살펴야 한다. 3. 여고생의 대식증 및 체형 만족도에 대한 또래의 압력이 크다는 사실이 입증되었으므로, 사회사업가는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 개별적 접근보다는 또래집단을 대상으로 한 집단프로그램의 적극적인 활용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4. 대중매체가 여고생의 대식증 및 체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쇼 프로그램이나 시트콤과 같은 특정 프로그램의 영향력을 사회에 알리고 이들 프로그램의 형식상, 내용상의 변화를 꾀하기 위한 시민운동 차원의 접근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