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67 Download: 0

사회복지사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Title
사회복지사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elf-empowerment program for social workers : focusing on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uthors
최명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Docto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셀프-임파워먼트에 목적을 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실천을 통해 그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사회복지사의 셀프-임파워먼트란 주관적 인식과 심리과정에 중점을 두어 인간적, 전문적 강점들을 강화하고 자기 활용성을 높여 가는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과정이자 이를 통해 달성되는 상태로 정의되며, 이는 인간적 측면과 전문적 측면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인간적 측면에는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 대한 지각, 윤리성에 대한 지각이, 전문적 측면에는 전문적 유능감,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 대한 평가, 전문적 목적의식, 전문적 가치와 윤리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인간적, 전문적 강점 요소들을 개발하고 훈련시키는 일, 즉 사회복지사가 셀프-임파워먼트되도록 하는 것은 사회복지사 개인의 임무일 뿐 아니라 전문직 자체의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는 어떤 대인 전문가보다도 클라이언트에 대한 자기 자신의 활용성이 높은 전문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이런 훈련의 기회가 매우 제한적인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사회복지사의 인간적, 전문적 차원에 대한 강점 중심의 이해와 성장에 목적을 두고 구조화된 집단 프로그램으로 접근 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 을 개발하고,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을 위해 구체적인 사회복지사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그 효과성을 검토함으로써 앞으로 사회복지사에게 셀프-임파워먼트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서의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프로그램의 개발, 프로그램 실시 및 효과성 검증, 그리고 프로그램 평가 및 수정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는 사회복지사를 인간적, 전문적 차원에서 임파워링하여 지속적인 자기 발전과 성장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둔 사회복지사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셀프-임파워먼트 방법을 기초로 기존 프로그램의 응용 및 고유 프로그램의 구성을 통하여 사회복지사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은 형식적으로는 구조화된 경험적 집단 프로그램이며 내용 면에서는 주로 사회복지사의 인간적, 전문적 강점 및 탄력성 인식, 가족 및 성장경험 이해와 통합, 그리고 윤리, 영성, 문화적 가치탐색을 다루도록 하였다. 각 세션은 1회 목표설정, 2회 나의 이야기, 3회 내 인생의 실패와 성공, 4회 성공사례·실패사례, 5회 가족으로의 여행Ⅰ, 6회 가족으로의 여행Ⅱ, 7회 가족으로의 여행 정리, 8회 문화적 가치, 9회 윤리와 영성, 10회 새로운 관점, 그리고 사전, 사후 모임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는 지침을 구체적인 매뉴얼로 제시하였다. 둘째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실제로 이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통제집단과 비교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효과성 검증을 위한 실험집단은 6명씩 두 집단, 총 12명이었으며, 통제집단도 실험집단과 같은 12명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A, B 두 집단으로 나누어 2001년 4월부터 6월까지 같은 기간동안 실시되었으며, 통계처리에서는 각 6명씩 두 집단의 성원을 합친 12명을 함께 실험집단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사의 셀프-임파워먼트의 인간적 측면과 전문적 측면으로 설정된 8가지 요소에 대한 사전·사후 변화량과 변화된 내용에 대한 비교를 시행하였다. 이 중 양적 척도를 사용한 연구질문 1, 2, 3, 4 그리고 6은 비모수적 통계를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문장완성형 질문에 대한 응답을 요구한 연구질문 5, 7, 및 8에 해당되는 항목은 내용분석을 포함한 질적방법을 통해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관련하여 설정한 8가지 연구질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복지사 셀프-임파워먼트의 인간적 측면 연구질문 1.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을 구성하는 첫 번째 하위 개념인 자신감 에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자신감 변화량이 통제집단에서의 사전·사후 변화량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이 유의도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두 번째 하위 개념인 자기조절감 에서도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자기조절효능감 점수의 증가량이 통제집단에서의 사전·사후 변화량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도 .05수준에서 입증되었다. 반면 자기효능감을 구성하는 세 번째 하위 개념인 적극적 도전정신 을 측정한 과제난이도선호에서는 실험 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도 미미할 뿐 아니라 통제집단과도 별 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아 프로그램으로 인한 실험집단의 변화가 입증되지 않았다. 이 세 가지 하위 개념을 통합한 자기효능감에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이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에 비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더 크다는 것이 유의도 .01 수준에서 입증되었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연구질문 2. 자아존중감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에 참석한 대상자들의 사전·사후 자아존중감 점수의 증가량이 통제집단에서의 사전·사후 변화량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도 .05수준에서 입증되어 본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질문 3. 대인관계에 대한 지각 사회적 자아로 측정된 대인관계에 대한 지각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의 차이가 다르다는 것이 입증되지 않았다. 숫자상으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사전·사후 평균 변화치가 약간 더 증가했지만 이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연구질문 4. 윤리성에 대한 지각 도덕적 자아로 측정된 윤리성에 대한 지각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을 순위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우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윤리성 지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2. 사회복지사 실프-임파워먼트의 전문적 측면 연구질문 5. 전문적 유능감 전문적 유능감을 구성하는 첫 번째 하위 개념인 전문적 자신감 에 대한 응답내용을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석한 성원들의 사회복지사로서 자신 있는 영역이 증가하였을 뿐 아니라 자신감의 표현도 좀 더 구체적으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문적 유능감을 구성하는 두 번째 하위 개념인 도전적 사례에 대한 대응 에 대한 응답 내용의 분석 결과, 실험집단의 응답에서는 프로그램 이후에 도전적 사례를 새로운 도전으로 인식한다는 범주와 힘들게 느끼는 이유를 탐색한다는 범주가 새로이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적극적이고 탐색적인 반응이 증가된 것이 관찰되었다. 반면 소극적이고 회피적인 반응은 급격히 감소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도전적 사례에 직면하여 나타났던 부정적 감정반응이 사후에 긍정적 개념으로 재 규정되고 수퍼바이저에 대해 의존하려던 성향이 스스로 해결책을 모색하는 노력으로 변화된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프로그램 참여 후 실험집단에서 통제집단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바람직한 질적 변화가 나타났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구질문 6. 클라이언트와의 전문적 관계 평가 사회복지사의 자기 점검 척도를 통하여 측정한 클라이언트와의 전문적 관계 평가에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증가량이 통제집단에서의 사전·사후 변화량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도 .05수준에서 입증되었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전문적 관계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 연구질문 7. 전문적 목적의식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목적의식에 대한 답변내용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프로그램 이후에 강점강화와 자원활용의 응답범주가 새로이 추가되었으며 목적의식과 관련된 표현이 증가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강점중심으로의 목표 전환과 전문적 목적을 향한 노력 및 그 과정이 강조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별다른 질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본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사회복지사로서 전문적 목적의식에 긍정적인 질적 변화에 기여한 것으로 해석된다. 연구질문 8. 전문적 가치와 윤리 전문적 가치와 윤리를 구성하는 첫 번째 하위 개념인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간 가치관 차이 대응 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답변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사후에 가치관 차이에 대한 탐구와 모색의 답변이 형성되고 개방적 반응이 증가되었으며 내용도 더 구체화된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사전에는 부정적 감정반응이 회피와 가치주입으로 연결되었으나 사후에는 극복을 위한 노력의 답변으로 연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두 번째 하위 개념인 경제·문화·사회적 영향 인식 에 대한 응답을 내용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이런 영향을 인식하는 범주의 답변이 증가하고, 영향을 부인하던 답변의 범주는 사라졌으며, 이 세 측면이 미치는 영향의 실체를 좀 더 구체적인 개념으로 묘사하게 된 것이 관찰되었다. 세 번째 하위 개념인 종교적 영향 인식 에서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실험집단의 종교적 영향력을 인식하는 답변이 2배 이상 증가하고, 종교적 차이에 대한 부정적 반응을 경계하는 응답 범주가 형성되었으며, 영향력을 부인하던 답변의 범주는 사라졌다. 또한 사전에 비해 사후에 자신과 클라이언트의 종교를 강점으로 인식하게 되는 변화도 볼 수 있었다. 네 번째 하위 개념인 성별의 영향 인식 에 대한 답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프로그램 이후에 자신의 성을 사회복지사로서의 강점으로 인식하는 답변이 증가된 것과 강점 요소를 더 구체적으로 서술하게 된 변화가 관찰되었다. 한편 사전에는 자신의 성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서술한 것과 성별의 영향력을 무시하는 응답이 나타났었으나 사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들이 통제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본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전문적 가치와 윤리 측면에서 긍정적인 질적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는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결과와 이에 따른 프로그램의 수정 보완이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중간 평가와 종결평가 및 집단 성원들의 참여 평가, 그리고 개별 목표평가로 이루어졌다. 개별목표 평가를 제외한 모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5점 척도로 이루어졌는데, 모든 항목에서 3점 이상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중간평가에서보다는 종결평가에서 전반적으로 점수가 상승하였으며, 특히 참가자들은 이 프로그램을 권유하고 싶은 정도에 가장 높은 점수를 주어 본 프로그램의 활용성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였다. 또한 집단 성원들은 프로그램 전에 프로그램과 관련된 개인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1에서 10까지 기준 안에서 평가하여 프로그램 종료 후의 점수와 비교하도록 하였는데 그 결과 각 성원들은 자신의 개인 목표에서 1점에서 6점까지 향상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참가자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주관적 만족감와 긍정적 평가는 본 프로그램이 대상 사회복지사들의 욕구에 부응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이 곧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효과성으로 연결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프로그램의 진행과정 및 평가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 요구사항들을 기초로 사회복지사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정보완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이는 첫째, 전체 시간의 조정, 둘째, 개별 선택 프로그램을 집단 선택 프로그램으로 전환, 셋째, 각 세션 후반에 정리 시간 추가 등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 강점 관점에 기초하여 사회복지사의 셀프-임파워먼트 개념과 그 구체적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 이에 개입하는 구체적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의 구체적 실천과정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성장과 발전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집단 훈련 프로그램으로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훈련 및 성장의 기회가 제한되어 있는 우리 현실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 뿐 아니라 앞으로 사회복지사를 위한 프로그램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In this study, self-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is defined to be the active and voluntary process focused on subjective cognition and psychology where enhancing not only personal but also professional strengths, and the state accomplished through this process. This concept consists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aspects. The personal aspects include self-efficacy, self-esteem, perception of one s ow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erception of one s own morality. The professional aspects include professional competence, perception of professional relationship with clients, concerns about purpose in social work, and conception of professional beliefs and ethics. To develop and strengthen those 8 components, that is, to train social workers for self-empowerment is social worker s personal duty and the task of social work profession. The reason is there is no profession who should use themselves more than social workers. But the reality is that Korean social workers could access few opportunities of training for the purposes. In this contex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Self- Empowerment Program for Social Worker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rough applying it to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nd this study includes these major contents : 1. Development of Self-Empowerment Program for Social Workers. To develop this program, prior training programs were adapted and new programs wer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way to self-empowerment for social workers suggested by pri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he style of this program is a structured experiential group program. The content is composed of recognizing strengths and resilience both in personal and professional, of understanding and integrating individual and family experiences, and of exploring ethical, spiritual, and cultural values. Session titles are 1. Goal Setting, 2. My Story 3. Success and Failure in My Life 4. Success Case·Failure Case 5. Trip to My FamilyⅠ, 6. Trip to My FamilyⅡ, 7. Wrap-up Trip to My Family, 8. Cultural Values, 9. Ethics & Spirituality, 10. New Perspective, and Pre-Post meetings. The manual is presented to guide practicing the each session. 2. Effect of Self-Empowerment Program for Social Workers This study had 8 research questions to examin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applied it to 2 groups of 6 social workers each, from April to June, 2001, The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s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s, Mann-Whitney U test and descriptive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analysis including content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1) Personal Aspects of Social Worker s Self-Empowerment Self-efficacy: Self-efficacy consists of 3 sub-concepts; self-confidence, self- control, and active challenging attitude. It was proved that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in self-confidence and self-control after Self-Empowerment Program, while control group did not. But experimental groups did not mak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tive challenging attitude after the program. As a whole, in self-efficacy, improvement in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as proved by pre-post tes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y .01 level. Self-esteem: After Self-Empowerment Program, it was proved that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in self-esteem while control group did not. Perception of one s own interpersonal relationship : Experimental groups did not mak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rcep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fter the program. Although amount of experimental group s change was bigger than control group s, it was not proved statistically. Perception of one s own morality : After Self-Empowerment Program, it was proved that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in perception of one s own morality while control group did not. 2) Professional Aspects of Social Worker s Self-Empowerment Professional competence: Professional competences consist of professional self-confidence, and coping ability with challenging case. In experimental groups, categories of professional self-confidence increased and the ways to improve professional self-confidence were described after Self-Empowerment Program. And in experimental groups, positive or explorative responses increased while negative or passive responses decreased in front of challenging cases. But these changes could not be observed in control group. Perception of professional relationship with clients: It was proved that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in perception of relationship with clients after Self-Empowerment Program, while control group did not. Concerns about purpose in social work: After the program, response categories of enhancing strengths and mobilizing resources were described as purposes in social work, and concerns about professional goal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s. And Professional purposes of experimental groups became focused on strength perspectives as well as on endeavor or process to the goals, after the program. On the contrary, these phenomena were not observed in control group. Conception of professional beliefs and ethics : Professional beliefs and ethics were explained by 4 sub-concepts, how to cope with different beliefs from one s own, beliefs of economic·cultural·social effects, beliefs of religious effects, and beliefs of gender effects on the professional work. In those aspects, the responses were divided into open or closed attitude toward differences, and to aware or to ignore those effects. After Self-Empowerment Program, acceptive attitudes toward differences increased and awareness in the effects of those aspects enhanced in experimental groups, while those changes were not observed in control group. 3. Evaluation and revision of Self-Empowerment Program for Social Worker There were 4 evaluations of the program : program evaluation at midterm and final, attendants experience evaluation, and individual goal accomplishment check. Except individual goal accomplishment check, all of the items scored more than 3 in 5 point scales. Especially all the attendants gave the highest score to the item - I will recommend other social workers to attend this program. And scores of personal goal achievement improved from 1 to 6 in 10 point scale. Applying the program and analyzing the evaluation results, it was pointed out that some parts of the program should be modified. To be more useful program, adjusting time schedule, changing individual choice program to group choice program, and inserting summary time were suggested. In conclusion, this study drew out concept and components of social worker s self-empowerment and provided the way to self-empower social workers on the basis of strength perspective. By applying it, usefulness of this program was proven. This program can be an alternative to limited opportunities for social worker s growth and training in Korea and those findings can be basis of further studies on training for social work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