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4 Download: 0

기혼 여자재소자에 관한 연구 : 자녀관계를 중심으로

Title
기혼 여자재소자에 관한 연구 : 자녀관계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female married inmates :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inmat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uthors
신연희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to assist incarcerated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maintaining a good family through understanding their current situations and the reasonable policy recommendations. The good family could be a firm base for inmates to reintegrate into society, and could motivate them to start a new life after release from prison. In the meantime, if the family is disintegrated by incarceration, it can hardly be expected for the children alone to grow normally in the society. The study observed two things related to these issues. First, it investigated de facto status of incarcerated parents and their children before and during incarceration, and how the inmat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ffects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inmate parents. As a result, the study sought to verify the negative effects of incarceration and search for the specific contents of effective programs and policy implementation techniques. The analysis included principally three parts; first, the statistical analysis of questionnaire survey; second, the interviews with inmates, their family members and the correctional field officers; and third, the review of the programs for inmates and their families, and the interviews with the program directors in the United States.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inmates in 4 correctional facilities(n=510; women 308, men 202). 14 inmates(women 6, men 8), 4 families, and 5 correctional officials were interviewed. The programs for inmates and their families in the United States had been identified through correctional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program directors in Virginia Department of Correc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most of the adult inmates had children, and many of the children were young and were supported by the inmates before incarceration. The separation from their children was very painful for the inmates themselves, as well as for their families. Specifically, the impact of incarceration could be articulated in three dimensions: the children, the inmate parents, and the inmates-family relationship. The children usually suffered from poverty and emotional instability, as they moved into another residence with a new care giver or stayed alone with no adult custodians. The second observation was that incarceration severed the inmate-children relationship and dissolved the family emotionally. That was much worse in the cases of the mother s incarceration, which implied that most of the spouses of female inmates didn t take care of their children and custodians did not play a kinship network role between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prison. Also, the longer the period of incarceration lasted, the worse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carcerated mother and her children became. The third impact of incarceration was that the inmates families were legally disintegrated. That occurred more frequently among female inmates, who were more likely to be divorced than male inmates, so that the former showed even higher family dissolution rate than the latter. Second, the study analyzed how the inmate-children relationship had an influence on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of the married inmates.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to evaluate the negative psychological impacts entailed by incarceration. The inmat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 the relationship before incarceration, the relationship during incarceration, and the children s misbehavior during their parents incarceration. The study presented four major findings of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es on the effects of inmate-children relationship on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among the married inmates. First of all, it appeared that the inmat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during incarceration was mostly related to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which the married inmates experienced during incarceration. During incarceration, inmates who had kept no or unstable relation with their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have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than those who had kept a good relation with their children. Second, the children factors worked quite prominently in female inmates. The effect of the children factors on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was found among female inmates only. Third, the children factors worked more during-incarceration than before-incarceration on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among the married inmates. It meant that there was little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burden of prison life,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before incarceration. It was also noticed that keeping continuous ties and positive emotional bonds with the children during the parents incarceration could lessen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among the married inmates. Fourth, it was prominent that the effect of the children factors on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of the married inmates was "stable attribution". It showed that inmates who did not good relations with their children and those who had delinquent children tended to maintain even more helpless and pessimistic attitudes for the future. Finally, this study recommended policies that could improve relations between the married inmates and their families. There was emphasis on the interactive role among the inmates, the family and the policy authority, and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The first goal was to establish and activate the tying programs between the inmates and their families. That included increasing contact programs between the two parties, and enhancing family conscientiousness through education. The second goal was to enhance the efficiency and flexibility of the correctional policies. The objectives were private participation in the correctional activities, the privatization of the correctional facilities, and the assistance for the family reunification. The third goal was the improvement of the economic condition and personal support for the family. The objectives were to support economic assistance to the poor inmate families including the children and the supporters of the family, and to improve the economic situations of those inmate families. This study described the difficult conditions experienced by the married inmates and their children, the negative impacts of incarceration on inmate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the importance of the children factors for psychological health among married inmates. It concluded that more assistance programs and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for the married inmates and their children. ; 본 연구는 기혼 재소자의 자녀관계의 실태파악과 이들을 위한 정책제언을 통해 기혼 재소자와 그 자녀들이 건강한 가정을 유지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건강한 가정은 기혼 재소자들에게 출소 후를 적극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동인이 되고 출소 후에는 사회인으로 다시 설 수 있는 단단한 기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구금을 계기로 가정의 안정이 해체된다면 재소자 자녀들의 건강한 성장은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다음의 사항들을 주목하였다. 우선 기혼 재소자와 자녀들의 구금 전·후의 실태를 파악하고 구금의 심리적 작용에 관한 자녀관계 요인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혼 재소자와 그 자녀들에 대한 구금의 부정적인 효과를 검증함과 아울러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구체적인 내용과 정책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은 설문조사 자료의 통계적 분석과, 재소자 및 그 가족들과 교정전문가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한 사례연구, 그리고 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소자와 그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세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는 교정시설 네 곳에서 수집된 자료 중 510부(여자재소자: 308명, 남자재소자: 202명)를 분석하였다. 심층면접은 재소자 14명(여자재소자: 6명, 남자재소자: 8명)과 재소자 가족 4 사례와 교정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재소자와 그 가족을 위한 미국의 프로그램 분석은 버니지아주 교정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문헌자료와 심층면접을 병행하였다. 주요 발견사항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구금전의 자녀관계를 보면 재소자들의 대다수가 자녀가 있고 이들의 상당수는 미성년인 자녀들의 직접적인 부양 내지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다가 구속되었다. 따라서 구금은 재소자 당사자뿐만 아니라 가족의 문제까지 동반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소자자녀, 기혼 재소자, 그리고 가족관계의 세 차원에서 발견되어진 구금의 효과는 먼저, 재소자 자녀들은 부모의 구금 후 불안한 양육환경에 처하게 되었다. 자녀들은 부모의 부재로 인해 정서적인 문제를 겪고 새로운 양육자를 따라 거처를 옮기게도 되는데 대개는 경제적인 어려움까지 겹치게 되며 심하게는 어른의 보호없이 자녀들끼리만 방치되는 경우도 상당수 있었다. 다음으로 기혼 재소자들은 구금을 계기로 자녀와의 관계가 단절되어 갔다. 이러한 현상은 구금으로 인해 가정이 해체되는 경우가 많고 자녀 양육자에게 자녀와의 연결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운 여자재소자들이 더욱 심각하였다. 구금기간이 경과할수록 여자재소자와 자녀와의 단절은 심화되었다. 마지막으로 구금으로 인해서 가족관계가 악화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여자재소자들은 구금 후 배우자와 법적인 혼인관계가 유지되는 비율이 남자재소자에 비하여 월등히 적어 구금으로 인해 가족관계가 해체되는 정도는 여자재소자들이 남자재소자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컸다. 다음은 기혼 재소자의 무기력한 귀인양식에 관한 자녀관계 요인의 작용을 분석하였다. 무기력한 귀인양식을 구금의 부정적 효과에 따른 재소자의 심리적 특성으로 설정하였고, 자녀관계 요인은 구금 전의 자녀관계와 구금 후의 자녀관계 그리고 부모의 구금 후 자녀들의 문제행동에 관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자녀요인들에 따라 구금으로 인한 무기력한 귀인양식의 경향이 달라지는지를 가설의 검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주된 발견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녀관계 요인의 대부분은 기혼 재소자들이 구금 후에 경험하게 되는 무기력한 귀인양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금 후 자녀와의 관계유지와 자녀들의 문제행동은 기혼 재소자의 귀인양식과 많은 관련이 있었다. 구금기간동안 자녀와의 관계가 단절되었거나 불안정해진 재소자들은 자녀와의 관계가 원만히 유지되고 있는 재소자들에 비하여, 그리고 자녀들의 문제행동이 많은 재소자들일수록 그렇지 않은 재소자들에 비하여 구금 후에 경험하게 되는 무기력하고 비관적인 귀인양식의 경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관계 요인의 이와 같은 작용은 특히 여자재소자에게 두드러졌다. 무기력한 귀인양식과 자녀요인들과의 관계는 대부분이 여자재소자에게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것이다. 셋째 구금 전의 자녀관계보다는 구금 후의 자녀관계가 기혼 재소자의 심리적 특성에 보다 많은 작용을 하였다. 이는 구금 전에 자녀와 어떠한 관계를 유지했느냐와는 상관없이 자녀와의 분리로 인한 기혼 재소자들의 심적인 부담은 비슷하다는 것을 알려 준다. 반면에 구금기간 동안 자녀관계가 단절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 자녀와의 감정적인 유대가 지속되는 것, 그리고 자녀들이 문제행동 없이 건강하게 성장하는 것은 구금의 부정적인 효과인 무기력한 귀인양식의 경향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자녀요인들의 기혼 재소자의 귀인양식에 관한 작용은 귀인양식의 영속차원(stable attribution)에서 두드러졌다. 구금 후에 자녀와의 관계가 원만하게 유지되지 않거나 구금 후에 자녀들이 문제행동을 많이 하고 있는 재소자들은 미래에 대한 무기력하고 비관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경향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기혼 재소자와 그 자녀 및 가족을 위한 정책제언을 하였다. 이는 재소자와 그 가족에 관한 프로그램들의 주체가 되는 재소자, 가족, 그리고 정책시행주체의 상호작용을 중시하여 세 가지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먼저 재소자와 가족과의 관계에 관한 프로그램은 재소자 부모와 가족과의 "유대강화 프로그램의 활성화"에 목표를 두고 가족과의 접촉을 활성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재소자들에게 가족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고려하였다. 아울러 여자재소자와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별도의 논의를 거쳐 접촉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것과 출소 후를 대비한 경제적인 대비책의 제공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정책시행주체와 재소자의 관계에 관한 프로그램은 "교정정책의 효율성·신축성의 확보"에 목표를 두고 교정활동에의 민간참여, 교정시설의 민영화, 아울러 가족과의 재결합을 위한 출소자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책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시행주체와 가족과의 관계에서는 "재소자가족의 경제적 여건개선 및 자녀들의 개별지원"을 목표로 하여 빈곤한 재소자 가족을 위한 경제적 지원, 자녀를 위한 지원, 자녀 양육자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혼 재소자와 자녀들의 어려운 상황 및 구금이 이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과 기혼 재소자의 수용생활에 관한 자녀관계의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기혼 재소자와 자녀를 위시한 가족들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