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비서직 종사자의 학습화수준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Title
비서직 종사자의 학습화수준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Authors
온해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비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급변하는 기업 환경 및 조직의 변화 속에서 확고한 경쟁력을 지니기 위한 비서직 종사자의 학습력은 한 사람의 인격으로 거듭나고 인정받으면서도 최고의 품질(quality)과 서비스를 유지하도록 하는 경쟁적 대안으로 제시된다. 이에 본 연구는 비서직 종사자의 학습화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구성차원을 제시하고 이들 구성차원과 직무만족·조직몰입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서학 연구에서 이제까지 접근하지 않았던 비서의 학습화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직학습이론의 학습 개념 및 학습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비서의 학습화 수준을 구성하는 차원으로 인간차원, 업무차원, 지식관리차원, 조직차원의 학습 네 가지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과 직무만족·조직몰입과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총 337부의 표본을 토대로 실증분석하였다. 가설검증시 사용된 통계기법으로는 빈도분석과 회귀분석, T-test, ANOVA 등이 사용되었고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의 학습화수준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업무차원, 인간차원, 조직차원의 학습화수준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는데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보인 차원은 업무차원의 학습화 수준이었다. 이는 업무와 학습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고 업무의 성격이 실험적이고 도전적일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비서의 학습화수준은 조직몰입에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조직차원의 학습을 제외한 인간차원, 업무차원, 지식관리차원의 학습화 수준 모두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영향의 정도에는 인간차원의 학습화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능력위주의 인사관리, 비서의 학습에 대한 상사의 격려 및 관심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개인특성변수를 선행변수로 하여 학습화수준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력을 제외한 경력과 기업형태에 따라 유의한 평균의 차이를 고찰할 수 있었다. 국내기업이 외국기업보다 조직차원의 학습화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차원의 학습화 수준은 외국기업에서 더 높은 평균값을 보임으로써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비서의 학습에 대한 중요성과 비서의 경쟁우위의 대안으로 학습인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실증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했다는 데에 연구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불어 비서의 학습능력은 조직에게는 생산성 증대를 비서 개인에게는 인적자산가치를 높이는 지속적인 원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cretaries’ learning level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which focused on pers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research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concept of learning and on the building blocks of learning organization were examined, and four dimensions to compose secretaries’ learning level were classified as human, task,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 dimension. In the second stage, as the part of the empirical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was collected from 337 samples. SPSS was used and analyzed by the methods of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 tendencies. First, the human, task, and organization dimension of secretaries’ learning level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factors in improving job satisfaction. Second, the human, task, and knowledge management dimension of secretaries’ learning level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in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career and company style(domestic/foreign company) were proved to influence secretaries’ learning level. In conclusion, as was seen from the research finding, this study indicates the importance of secretaries’ learning. It also suggests that learning give competitive advantage to secretaries and effectiveness to organ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