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심리적인 임파워먼트가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 연구

Title
심리적인 임파워먼트가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 연구
Authors
배고은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기업의 대내외적 환경은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으며 기업들이 이러한 환경 변화를 개척하는데 있어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개인은 중요한 자산이 되고 있다. 구성원들이 창조적으로 일할 때 구성원들은 조직 발전을 위해 새롭고 유용한 제품, 아이디어, 절차 등을 제안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원의 창의적 성과는 조직으로 하여금 성장과 경쟁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행동은 조직구성원 개개인에서부터 시작되고, 창의성은 구체적으로 환경을 해석하고 조직화하는 개인의 지각에 좌우된다. 따라서 조직 혁신을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해서는 개인차원의 창의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규명하는 것 역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창의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작업 상황과 기업 내에서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창의성을 높이는 조건들에 대한 실증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사회심리학적 접근의 연구들은 창의적 행위를 조직상황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있어 개인특성을 중심으로 해 오던 기존 연구의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하고 있다. 그러나 실증연구 대다수가 상황적 요인과 창의성간의 직접적인 영향을 다루고 있을 뿐, 상황과 개인의 상호작용에 의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상호작용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인간의 행위는 환경이나 사람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 개인 특성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창의성은 성격이나 일반적 능력에 의해서 보다는 개인특성, 인지적 능력, 그리고 사회적 환경의 특정한 배열로부터 발생하는 행위에 의해서 가장 잘 개념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호작용주의적 관점에 입각하여 조직구성원의 창의성에 개인특성과 환경적 요인이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지스타일, 과업, 직접적인 작업환경의 세 가지 측면으로 원인을 구분하여 알아보고, 사회심리학적 연구에서 암묵적으로 인정되어 온 내재적 모티베이션의 매개효과를 심리적인 임파워먼트로 확인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와 창의적 행동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은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다. 조직구성원들은 자신의 개인적 특성이나 작업환경에 대한 지각으로부터 심리적인 임파워먼트를 느끼게 되고 이것이 창의적 행동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직구성원들이 자신의 과업에 대하여 자기결정감, 역량감, 의미성 등을 가질 때, 복잡한 인지과정이 필요한 창의적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된다. 그리고 개인의 심리적인 임파워먼트는 개인의 안정적 성향이 아니라 업무환경의 영향을 받는 개인의 인지적 해석과정임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인지스타일이 창의적 행동과 갖는 관계에 대한 가설은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에서 모두 지지되었다. 비록 개인특성으로 인지스타일의 단일 변수만을 고려하였으나, 이러한 분석결과는 기존의 성격심리학 및 인지심리학 분야에서 창의적 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중요하게 고려해 온 개인적 요인의 효과를 확인해 주는 것이다. 셋째, 창의적 행동에 있어 지각된 작업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한 사회심리학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도 확인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직무도전성, 상사의 격려, 자원접근성과 같이 지각된 작업환경은 창의적 행동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원분산분석에서 인지스타일과 자원접근성간의 상호작용효과도 확인되었는데, 이는 개인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상호작용주의적 관점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넷째, 상사의 격려나 자원접근성과 같이 창의성에 지원적인 환경요인은 업무집단마다 상대적인 중요성을 차지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종업원, 과업, 조직특성들 중 일부는 리더의 능력이 중화되거나 무력화시키는 요인이라고 보는 리더십 대체이론을 생각해서 해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개인의 창의적 능력을 실제 창의적 행동으로 발현시키는데 있어서 지각된 조직상황이 중요하므로 실제 작업현장에서의 창의적 조직환경설계에 이바지 할 수 있다. 단순히 창의적인 인재를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들이 창의적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직환경을 구축해야 하고, 구성원들이 이를 지각할 수 있게 하여야 할 것이다. 기업경영 차원에서 창의적 행동을 이해하고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성과 내재적인 과업 모티베이션을 연결지어서 구성원들을 자극할 수 있는 관리활동이 매우 필요하다. 조직의 관점에서 볼 때, 각 구성원들이 선호하는 인지스타일을 고려한다는 것은 효과적인 집단구성원들은 균형있게 선발해서 훈련시키고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 문제해결스타일에 있어서의 개인차는 해결할 과제의 특성에 따라서 구성원들의 상호이익에 효과적인 구성방법을 결정하는 기초를 제공해 줄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직무 자체가 개인의 관심사가 될 수 있도록 각자에게 적합하고 도전감을 유발할 수 있는 과제를 설계해 주어야 한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상사와 부하간의 지속적인 상호교류가 이루어지면서 관심을 기울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리더가 정보의 공유와 협력을 조성함으로써 여러 가지 접근과정에 구성원들을 노출시키고, 아이디어 수용에 있어서 계층적 평가절차나 성급한 비판으로 구성원의 창의적 노력에 악영향을 미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관리자가 인정과 격려, 새로운 아이디어나 문제해결을 위한 자유시간의 제공과 같이 심리적인 형태의 자원을 지원해서 창의적 행동을 격려함과 동시에 조직차원의 명백한 보상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 The rapidly accelerating rate of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nge demands much greater organizational adaptability. Creative person and his innovative actions are necessary for sustaining a firm s competitive advantage. But the topic of creativity received relatively little research attention in business. Most of creativity theories approach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 independently. Traditional psychologists focus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verlook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f creativity. Social psychologist or cognitive evaluation theorist emphasized the social and contextual environment in creativity. This research explores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creative actions.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ognitive style, the perceived task environment including work, supervisor and resource and their interaction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the interactional model.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gnitive Style -----------

Challenging Work ----------

----> Psychological Empowerment -----> Creative Actions Supervisory Encouragement--

^ Access to Resource---------

-----------------------------------------

1. The more innovative the cognitive style is, the higher the degree of creative actions is. 2. The more challenging work is, the higher the degree of creative actions is. 3. The higher the degree of supervisory encouragemen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creative actions is. 4. The higher the access to resource is, the higher the degree of creative actions is. 5. The higher the degre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creative actions is. 6. Cognitive style, challenging work, supervisory encouragement, and access to resource are mediated to creative actions by psychological empowerment. 7. There are interactions among cognitive style, challenging work, supervisory encouragement, and access to resour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in Korea including 256 employees of 13 firms. The above mentioned hypotheses were tested by using the statistical method of frequency test,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GLM factorial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Creative actions are proven to be the results of cognitive style, challenging work, supervisory encouragement, and access to resource. Psychological empowermen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style, challenging work and creative actions. The interactions of antecedents were partially supported. Cognitive style and access to resource have interaction effect on creative actions. More specifically, when classifying respondents according to work type, supervisory encouragement and access to resource have relative influence on employees creative ac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managers with some implications. From the standpoint of interactionist perspective, both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task environment are critical for creative actions. But the major source of creativity is empowerment through managerial intervention of organizations. So to make their subordinates feel psychological empowerment, managers should offer them interesting work and positive, informative recognition and supply resource such as flexible time to develop ideas.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s in accurate measurement of creative actions because of common method variance.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future studies should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Key Words : creativity, psychological empowerment, cognitive style, challenging work, supervisory encouragement, access to resour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