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7 Download: 0

수준별 과학과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조사

Title
수준별 과학과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조사
Authors
조미란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다가오는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대비하고 우리 나라 교육의 현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 교육체제가 구상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개정·추진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방안의 하나로서 수준별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정착과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 교육 상황에 대한 실태 조사와 이에 대한 인식 조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현재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의 중·고등학교 34개교에 재직중인 과학 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사들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목적이나 의의에 대한 인식 정도는 상당히 높았으나,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지침에 대한 인식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과학 교과에서 시행될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현재 수준별 교육과정이 대부분(96.7%) 중·고등학교에서 부분적으로 실시되고 있었지만 주로 영어와 수학 교과에서 실시되고 있었으며 과학 교과에서의 실시 비율(9.6%)은 매우 낮았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에 대해서는 찬성 의견이 우세하였고,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상 문제점으로는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상의 어려움이 가장 많이 지적되었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과밀 학급, 교사의 업무 부담, 교실 수 부족 등 현재 교육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높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수준별 교육과정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급당 학생 수를 줄이고, 다양한 수업 모형을 실시할 수 있는 시설 및 기자재를 갖추고, 수업 경감과 교사의 잡무를 줄여 교사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덜어주는 등 교육 제반 여건들이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에 따른 교원 및 학교 시설 규모 예측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The coming 21th century is the era of the globalization and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In order to prepare this era and to solve a pending problem, the educational system is planned a new idea. In this contex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presented as a one of the learner centered curriculum that is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 It i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this curriculum differentiation to study about the present circumstance of educational situation and the recognition of teachers. This study researched about the present state of the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and the recognition of scien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241 science teachers of 34 middle and high school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by purposive sampl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 ; ⑴ The most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carried out this curriculum differentiation, but they executed this curriculum focus on the few subjects ; English and Mathematics. The rate of execution of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is 96.7%, but the rate of execution of science subject is 9.6%. It is very lower rate. ⑵ The subjects presented a highly recognition about the goal and meaning of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However, they presented a lower recognition about the organization and guideline of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And they presented a lower understanding about the deepening and supplementary curriculum in science ⑶ Most of subjects agreed the introduction of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And they indicated the problem about administrating of curriculum differentiation that are the difficults to develop the material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o implement to the field. ⑷ The activating plan of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is to improve current conditions of the education that is the overcrowding class, the teacher s overburden and the lack of classroom. ▶ Key word : curriculum differentiation*, recognition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means that curriculum differentiation on the basis of students academic capability. In this study,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is used as an operational defin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