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0 Download: 0

의복 충동구매 경향성 유형별 특성 비교 : 20, 30대 여성을 중심으로

Title
의복 충동구매 경향성 유형별 특성 비교 : 20, 30대 여성을 중심으로
Authors
차정아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충동구매를 다차원적인 구조로 파악하고 충동구매 의류제품 구매결정시 제품의 속성평가를 연구함으로써 충동구매의 합리적 기저를 밝혀 충동구매에 대한 인식전환의 계기로 삼는 한편, 충동구매 유형별 인구통계적 특성, 의류제품 속성평가, 구매 후 만족 및 구매의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문제 1 충동구매 의류제품의 일반적 특성을 밝힌다. 문제 2 충동구매와 계획구매시 의류제품의 일반적인 특성, 제품평가, 만족의 차이를 밝힌다. 문제 3 충동구매 경향성의 유형을 세분화한다. 문제 4 충동구매 경향성 유형별로 다음에 차이를 밝힌다. 4-1 인구통계적 특성 4-2 의류제품 속성평가 4-3 구매 후 만족 및 재 구매의도 문제 5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충동구매·계획구매 의류제품 속성평가의 차이를 밝힌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20-30대 서울 거주 여성 중 여성복 충동구매자 3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SAS 통계 Package를 이용하였으며 요인분석, 빈도, 백분율, t-test, 분할표 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동구매 의류제품에는 단품류가 주로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티셔츠류가 많이 구입되었다. 상표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충동구매 장소는 백화점이 가장 일반적이었고 일반 패션가의 거리상점과 의류 도매시장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둘째, 충동구매와 계획구매는 상표, 구매점포, 의류 제품평가,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충동구매 경향성에 따른 충동구매 소비자는 부정적 기분형, 인지적 속성형, 주변 권유형, 디자인 속성형, 긍정적 기분형, 비 계획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넷째, 충동구매 경향성 유형별 인구통계적 특성에는 혼인기간, 의류제품 속성평가, 재 구매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중 연령, 혼인기간, 학력, 월평균 의복비, 월평균 가계소득은 충동구매와 계획구매시 모두 의류제품 속성평가에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직업은 충동구매시 의류제품 속성평가에서만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케팅 전략 수립시 충동구매 유형별 의류 제품평가와 만족 특성에 관한 결과를 참고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충동구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전환의 계기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보다 현명한 구매를 위한 구매의 한 방편으로써 적극적인 활용을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nge negative cognition of impulsive buying, finding reasonable base of impulsive buying through cognitive reaction on impulsive buying, on concept of mutifle substance of impulsive buying,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characteristics on impulsive buying by clas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clothing attributes, satisfaction after buying and intention of repurchase.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loth on impulsive buying. 2. to comp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loth, evaluation of clothing attributes, satisfaction between impulsive buying and planned purchase. 3. to classify the impulsive buying tendency factor oriented groups 4. to stud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clothing attributes and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purchase on impulsive buying tendency factor oriented groups. 5. to stud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are evaluation of clothing attributes. The data used in this thesis were obtained from 302 cases, the women living in Seoul who bought impulsively woman’s wear in their 20’s or 30’s. SAS Package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nd various methods such as factor analysis, frequency, percent, χ²-test, t-test, ANOVA, Scheffe grouping, Duncan’s grouping were follow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of all, what people buy on impulse are usually the single item. T-shirts are most wanted. Brand name was not important. Place was generally the department store, and the second choice was stores in fashion street, wholesale markets. Second, both impulsive buying and planned purchase are different by brand name, purchase store, evaluation of the clothing attributes and satisfaction after buying. Third, The classes by impulsive buying factors are negative-mood impulsive buying tendency group, cognitive property impulsive buying tendency group, encourage-relevance impulsive buying tendency group, image-matching impulsive buying tendency group, positive-mood impulsive buying tendency group, unplanned impulsive buying tendency group. Fourth, impulsive buying tendency factor oriented groups are different by marital period, evaluation of clothing attributes, and intention of repurchase. Fifth, there are different in evaluation of clothing attributes both of impulsive buying and planned purchase, ages, marital period, educational ground, average of monthly costs for the cloth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job and average of monthly income per family are different by evaluation in clothing attributes on impulsive buying. As for the result, this study is to use, when developing a marketing strategy, impulsive buying characters with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clothing attributes. This study helps people to change their negative minds about the impulsive buying, and make it possible to use for more clever buying one of the way of buy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