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찬경-
dc.creator안찬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9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6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999-
dc.description.abstract내독소유발 포도막염은 주로 눈의 전반부를 침범하는 것으로 알려져 사람의 급성 홍채모양체염을 연구하기 위한 모델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전포도막염뿐만 아니라 후포도막염의 모델로도 가치가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Lewis 흰쥐의 맥락막 전조직표본 조직을 면역조직화학 염색하여 MHC class II 양성세포와 대식세포의 분포 및 형태를 관찰하고, 내독소 주입 24시간 후 이 세포들의 분포 및 밀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OX6 양성세포는 망막색소상피세포 아래에 분포하였고 세포돌기를 내는 세포, 둥근 세포, 혹은 다형태의 세포 등이 관찰되었는데 이 중 세포돌기를 지닌 세포는 수상세포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ED1 양성세포는 가늘고 긴 두 개에서 네 개 사이의 수상돌기를 가진 세포가 대부분이었고 혈관주행을 따라 분포하고 있었다. ED2 양성세포는 맥락막에서 두 층으로 분포하고 있었는데 한층은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바로 아래에서 혈관주행을 따라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고, 대부분이 두 개의 수상 돌기를 가지거나 혹은 다형태성 세포였다. 또 다른 층은 공막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혈관주행과 관계없이 분포하고 있었고 세 개 내지 네 개의 수상돌기를 가진 세포가 대부분이었다. 내독소 주입 24시간 후 OX6, ED1, ED2 양성세포의 밀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내독소 주입 24시간 후 포도막염의 급성기때 맥락막에는 OX6, ED1, ED2 양성세포들의 형태, 밀도, 분포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없었다. 내독소유발 포도막염에서 이 세포들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시간별로 좀더 자세히 나누어 추이변화를 관찰하는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Endotoxin induced uveitis has been regarded as a model for acute anterior uveitis and until now little was known about choroidal involvement.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MHC class II positive cell and macrophage in the choroid of Lewis rat at 24 hours following LPS administration, immuno- histochemistry was performed on the whole mounts with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MHC class II antigens(OX6), resident tissue macrophages(ED2) and monocyte-macrophage lineage(ED1). A network of MHC class II positive cells was found beneath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RPE), and morphology of positive cells was dendritiform, round, or pleomorphic. OX6 positive dendritiform cells are presumed to be dendritic cells. ED1 positive cells exhibited a predominantly perivascular location and were pleomorphic or dendritiform. Two layers of ED2 positive cells were identified in the choroid; a layer located immediately beneath the RPE and a layer bordering the sclera. Based on morphology, positive cells were bipolar-pleomorphic or dendritiform. At 24 hours following LPS administration, no significant quantitative changes was observed in the density of OX6 positive, ED1 positive, and ED2 positive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sterior uveal tract is richly populated with MHC class II positive cells and macrophages and suggest that these cells undergo no significant alteration in the density at 24 hours following LPS administr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II. 실험 재료 및 방법 A. 실험 재료 = 2 B. 실험 방법 및 통계 분석 = 2 III. 결과 = 4 IV. 고찰 = 9 V. 결론 = 13 참고문헌 = 14 영문초록 = 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25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내독소유발 포도막염에서 맥락막에 침윤되는 MHC class Ⅱ 양성세포 및 대식세포의 분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