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나연-
dc.creator안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6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4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6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466-
dc.description.abstractThe result of changes in the view of value with priority given to human has enabled us renew our cognition of the quality of environment and its aesthetic value. Furthermore, the general tendency of thoughts based solely on functional and mechanical view of the world has eventually caused a result of alienation of man from the affinity of his surrounding environment, predomination materialism and sense of alienation among the people. Immediately ahead the advent of 21st Century the changing process of varied and complicated culture is in status in quo uncertain enough to predict its future; thus man has consequently caused disorders and confusions to himself. In this connection, information is not only a sourec of energy so vitally act to minimize the uncertainty and the feeling of uneasiness but also the concepts and values of i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nvironmental disorders and has the potentiality of upgrading the level of its quality directing toward nega-entropy.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is purposed to present a deign methodology which would stir man to take aesthetic and favorable reactions, possibly by presenting a scientific and objective aesthetic attribute preferably by the majority on the basis of a human-centered paradigm; as a whole it would by possible to be secured by a method of academic approach. Furthermore, adopting display and cultural halls as objects which are forms of environment optimally reflection a status of the related times and view of value, the researcher has presented suitable models applicable to detailed designs, and hence by reflecting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also contained in the study procedure the methodology and process to configurate a practical structures. It is asserted that the matters related to environment and visual preference is relevant to the matters related to an aesthetic value of environment, and studying in an aesthetic value preferable by the majority, this study attempted securing an objectivity of a qualitative discussion of aesthetics based on an experimental aesthetics with objective validity along the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nature of man s aesthetic response. The matter of discussion about the sinmplicity and complexity which function as important aesthetic features in determination of aesthetic value ar recognized to be included with a formal and symbolic meaning and contents, and thus the researcher has searched the possibility based an academic study with inclusion of psychological and information theories. The information that has been focused on the common desires and capacities of man, determining it to be a possible theory in generalization of presupposing the preference under various circumstances, has been presented in this study its appropriateness as a theoretical frame for an abjective model. Man programs, processes and applies informations that help understanding, as a measure to minimize the uncertainty and disorder, searches for a new information for the expansion of scope of knowledge, and when a new information that help understanding and another new information that introduces a search are properly balanced and based on this basic point of view the researcher has presented a basis of determination of aesthetic value. Also, presented in this study the aesthetic referential model of Kaplan with such theoretical background, representing an aesthetic feature, which includes with a meaning of communication relative to movement in three-dimensional space, the researcher has recognized it to be a useful model approached from a point of view of a new perceptive information theory for the issues of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Also presented a concrete concept and method by reviewing objective data in order to apply the four information varieties as shown in Kaplan s preference model. Design concept has been presented in each case, such as the aspect of comprehension of meaning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focused on the formation of degree of recognition, and in the aspect of searching the information, focused on offering of visual clues that draws attention. As a means of conveying these two information varieties efficiently, the significance of surplus value of information theories are referred to in this study, and presented an applicable design. The researcher has chosen a exhibition/cultural hall as an object space in order to reflect optimally the view point of design and presented standard models in that space: because a premise space would require a considerable degree of public recognition regarding a particular feature of space for an efficient delivery of exhibi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s. The researcher thus has drawn a conclusion in this study that the issues related to an aesthetic value not a matter to be treated in a simply way, but it is a matter closely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directly related to the significant meaning of the relations between man and his environment, and eventually convanced that an information theory would work as a primary framework of methodological theory for an optimal design. Consequently, this study has designed to present theoretical methods to upgrade the design environment having an aesthetic value favorable to the majority, in a way of presentation of the means of an objective approach with respect to the aesthetic and visual qualities related to environmental values. ; 인간 중심적인 가치관으로의 변화는 환경의 질, 미적 가치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기능적, 기계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사고는 인간소외, 물질 만능주의 등 인간과 환경을 유리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21세기를 눈앞에 둔 현 상황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인류 문화의 변화과정은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인간에게 혼란과 불안함을 야기시킨다. 정보는 이러한 상황에서 불확실성,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에너지이며 이러한 정보의 개념과 가치는 환경의 무질서를 개선하고 역엔트로피를 지향하여 환경의 질적 수준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는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인간에게 미적 반응, 선호반응을 일으키는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으로 이는 인간 중심적인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다수에 의해 선호되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미적 속성을 제시함으로써 가능하며 학제적 접근 방법으로 그 가능성과 타당성을 갖는다. 그 시대의 상황과 가치관을 가장 잘 반영시킬 수 있는 환경인 전시·문화관을 대상으로 구체적 디자인 적용사례를 제시하여 이러한 이론적 관점을 반영하여 실제적 구축물로 형상화될 수 있는 방법론과 과정을 연구의 진행에 포함시켰다. 환경과 시각적 선호에 관한 문제는 환경의 미적 가치에 관한 문제와 관계되며 다수가 선호하는 미적 가치를 연구하는데 있어 객관적 근거를 갖는 경험미학을 토대로 인간의 미적 반응의 본성을 이해하며 미의 질적 논의의 객관성을 갖고자하였다. 미적 가치 판단의 중요한 미적 특성으로 작용하는 단순성과 복합성에 관한 논의는 형식적, 상징적인 의미와 내용을 포함하여야 함을 인식하고 정보이론, 심리학적 이론등 학제적 연구를 바탕으로 그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정보이론을 인간 공동의 욕구, 능력 등에 초점을 두어 여러 상황에서 선호를 예측하는데 일반화가 가능한 이론으로 판단하고 다수에게 선호되는 미적 질에 관한 본 연구에서 객관적인 기준이 되는 이론적 틀로 타당함을 제시하였다. 인간은 불확실성과 무질서를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를 돕는 정보를 조직, 처리, 활용하고 지식의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정보를 탐색하며, 이 때 이해를 돕는 정보와 탐색을 유도하는 새로운 정보가 적정 수준에서 균형을 이룰 때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갖게된다는 기본 관점을 토대로 미적 가치 판단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틀을 배경으로 환경에서의 미적 특성을 제안하기 위해 카플란의 미적 선호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3차원 공간에서 ‘움직임’ 과 관련된 커뮤니케이션의 의미를 포함하므로 건축 환경의 지각과 표현의 문제를 새로운 시각-정보이론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유용한 모델임을 인식하였다. 카플란의 선호모델에서 제시된 4가지 정보변수를 디자인에 적용시키기 위한 구체적 개념과 방법을 객관적 자료의 검토를 통해 제시하였다. 환경정보의 의미 이해 측면에서는 환경정보 처리과정에 의한 인지도 형성을 중심으로, 관심과 참여를 유발하는 정보의 탐색 측면에서는 주위를 끄는 시각적 단서제공을 중심으로 디자인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 두 가지 정보변수가 인간에게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위한 방법으로 정보이론의 잉여적 가치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디자인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관점을 반영시키기 위한 대상공간으로 전시문화관을 선택, 모형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공간의 특성상 인지도 형성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공간으로 전시정보, 환경정보들의 효율적 전달이 이루어져야 하는 공간이므로 본 연구를 위한 대상공간으로 선택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미적 가치의 문제는 단순한 차원의 문제가 아닌 인간과 환경과의 의미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관계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디자인을 위한 방법적 이론의 틀로 정보이론이 그 가능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환경의 질과 관련된 미적 질, 시각적 질에 관한 객관적 접근방법을 제시하여 다수에게 선호되는 미적 가치를 지닌 환경을 디자인하기 위한 방법의 이론적 모델을 제시함에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목차 그림목차 사진목차 논문개요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2. 이론적 준거로서의 경험미학 = 4 2.1 경험미학의 내용과 구조 = 4 2.2 경험미학에서의 미적 가치 = 7 2.3 미적 지각원리와 반응과정 = 9 2.4 미적가치 평가 모델에 관한 기존의 연구와 한계점 = 12 3. 디자인 접근방법으로서의 정보이론 = 17 3.1 정보이론의 개요와 미학과의 관련성 = 17 3.2 정보적 접근에 의한 미적 선호 모델 = 22 3.3 선호 반응을 일으키는 정보변수 = 26 3.3.1 공간적 이해를 돕는 예측적 정보 변수 = 26 3.3.2 공간적 탐색을 유도하는 비예측적 정보 변수 = 33 4. 건축공간 구성을 위한 디자인 개념 적용방안 = 36 4.1 공간이해 정보 : 단순성과 명료성 = 36 4.2 공간탐색 정보 : 복잡성/호기심 = 42 4.3 잉여 가치를 갖는 환경정보 = 45 4.4 디자인 개념 적용 방안의 종합 = 47 5. 인간과 환경과의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디자인 프로그래밍 단계 = 48 5.1 대상지 분석 = 48 5.2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성에 의한 대상 공간분석 = 53 5.2.1 전시문화관의 공간적 의미 = 53 5.2.2 전시 문화관계획 = 54 5.2.3 Program Analysis = 57 6. 디자이닝 단계 = 67 6.1 디자인 종합 및 개념적 발전단계 = 67 6.2 디자인 개념적용 및 도출 = 70 6.3 디자인 개념 적용에 의한 공간계획 = 73 6.4 최종 디자인 = 83 6.5 디자인 평가 = 105 7. 결론 = 107 참고문헌 = 109 영문초록 =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967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시각적 선호특성에 의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 정보이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