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윤경-
dc.creator한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2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6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7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고,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학교 급(유치원, 초등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는 학교 급(유치원, 초등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1. 연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2. 연계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79명과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01명이었으며, 연구를 위하여 유치원 교사용 설문지와 초등학교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연계교육의 정의 4문항, 필요성 3문항, 현황 및 저해요인 5문항, 개선 및 증진방안 12문항을 내용으로 총 24문항을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나 정, 장명림(1997)의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방안 연구 를 토대로 5개의 하위요인을 구성한 뒤, 교육부(1992)의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교육부(1992, 1995)의 제6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는 총 46문항,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는 총 24문항이며, 교육목적과 목표, 교과와 편제,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내용과 방법을 하위요인으로 하여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t검정,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학교 급에 따라 전반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교사가 초등학교 교사보다 연계교육의 정의, 필요성, 개선 및 증진방안에 대한 인식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는 학교 급에 따라 전반적으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목적과 목표, 평가의 내용과 방법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가 초등학교 교사보다 상대교육과 정의 교육목적과 목표에 대한 인지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초등학교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상대교육과정의 평가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인지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와의 관계에 있어, 유치원 교사는 연계교육의 정의, 현황 및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이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와 전체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는 연계교육의 필요성, 현황 및 저해요인, 개선 및 증진방안에 대한 인식이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와 전체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높을수록 상대 연계교육 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를 높임으로써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높일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of the counterpart. For this research, concrete questions were selected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and tha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of the counterpart and tha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3.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of the counterpart? 3-1.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3-2.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 Two kinds of questionnaire - one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other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were distributed to total 179 kindergarten teachers and 201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rea. To measure teache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total 24 questions were made up and given to teachers: 4 questions on the definition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3 questions on the necessity of it, 5 questions on the present situations of and impeditive elements against it, and 12 questions on plans to improve or promote it. And to measur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of the counterpart, 5 subordinate elements were derived from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written by Na, Jung and Jang, Myung-lim(1997), and then questions were made up centering around "The 6th Curriculum for Kindergarten" and "The 6th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1992). So total 46 questions were given to kindergarten teachers to investigate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hile total 24 questions were given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nvestigate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 Five subordinate elements were the aim and target of education, subject and compilation,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contents of edu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ontents of evaluation and evaluative methods. And the 5-point scale was used to measure those elem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eneral difference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and tha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higher degrees of perception in knowing the definition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necessity of it, and plans to improve or promote it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there weren 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of the counterpart and that of elementary teachers in general, but some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understanding the aim and target of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evaluation and evaluative methods.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higher degrees of understanding of the aim and target of the counterpart s curriculum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i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degrees of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evaluation and evaluative methods in the counterpart s curriculum than kindergarten teachers.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of the counterpart,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definition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and the present situations of and impeditive elements against it had a correlation with their understanding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n the whol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present situations of and impeditive elements against it, and plans to improve or promote it had a correlation with their understanding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on the whole.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degrees of teache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the better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of the counterpart. This implies that teache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can be enhanced by heighten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of the counterp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연계교육 = 5 1. 연계성의 정의 = 5 2. 연계교육의 필요성 = 7 3. 연계교육의 저해요인 및 증진방안 = 9 B. 우리 나라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의 비교 = 12 III. 연구 방법 = 19 A. 연구 대상 = 19 B. 연구 도구 = 22 C. 연구 절차 = 24 D. 자료 분석 = 25 IV. 결과 및 해석 = 26 A. 학교 급에 따른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 = 26 B. 학교 급에 따른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 = 34 C.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와의 관계 = 35 1. 연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와의 관계 = 35 2. 연계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와의 관계 = 37 V. 논의 및 결론 = 39 A. 논의 = 39 B. 결론 및 제언 = 41 참고문헌 = 43 부록 = 47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675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