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성이-
dc.creator조성이-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2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6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7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의 성 특성에 대해 교사가 실제로 인식하는 내용은 무엇이며, 남아와 여아, 중성적 특성에 대한 교사의 가치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의 성별적 특성은 무엇인가? 2. 유아의 특성에 대한 교사의 가치 인식은 어떠한가? 3. 여아와 남아, 중성적 특성에 대한 교사의 가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현직에 있는 교사 189명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Hyun(1999)의 연구를 참고로 하여 우리 나라 실정에 맞게 항목을 재구성하였으며, 유아교육 전문가 3인에게 안면 타당도를 검증 받아 사용하였다. 본 연구 도구는 유아교사 30명을 대상으로 남아와 여아의 특성을 질문하여 나온 응답으로 항목을 구성하였다. 질문지는 단어에 대해 교사가 인식하는 성별적 특성을 묻는 부분과 단어가 기술하는 특성에 대한 교사의 가치 인식을 묻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 부분에 대한 응답이 다음 부분의 응답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고려하여 질문의 순서를 달리한 두 가지 유형으로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남아의 특성은 “과격하다, 공격적이다, 블록놀이를 즐긴다, 힘이 세다, 운동을 좋아한다, 컴퓨터 게임을 즐긴다, 달리기를 잘한다, 성급하다, 활기차다”이다. 여아의 특성으로 인식된 항목은 “역할놀이를 좋아한다, 시샘한다, 외모에 관심을 갖는다, 예쁜 것을 좋아한다”이며, 중성적 인 특성으로 인식된 항목은 “경쟁적이다, 상상력이 풍부하다, 만들기를 잘한다, 발표력이 좋다, 적응력이 좋다, 캐릭터에 관심이 많다, 사교적이다, 잘 운다, 도움을 준다, 집중력이 좋다, 모방을 잘한다, 친절하다, 부끄러워한다, 동정심이 많다”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의 긍정적 특성은 “만들기를 잘한다, 상상력이 풍부하다, 운동을 잘한다”이고, 부정적 특성으로 인식된 항목은 “경쟁적이다, 수다스럽다, 시샘한다, 성급하다, 잘 운다, 토라진다, 과격하다, 공격적이다”이다. 교사들이 중립적 특성으로 인식하는 유아의 특성은 “역할놀이를 좋아한다, 블록놀이를 즐긴다, 동정심이 많다, 캐릭터에 관심이 많다, 차분하다, 세심하다, 예쁜 것을 좋아한다, 외모에 관심을 갖는다, 온순하다, 컴퓨터 게임을 즐긴다, 힘이 세다, 정적인 놀이를 한다"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가치 인식에서 “만들기를 잘한다, 운동을 좋아한다, 캐릭터에 관심이 많다, 힘이 세다”는 다른 항목에 비해 표준편차가 크게 나타나, 개인의 신념에 따라 가치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교사의 가치 인식에서는 교사가 남아와 여아의 특성에 대해서 비슷한 수준의 가치 인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아와 여아의 특성보다 중성적 특성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preschool teachers actually perceive in the matter of young children s gender-based characteristics, and how they perceive the evaluations of boys , girls , and neutral characteristics. For the above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gender-based characteristics which preschool teachers perceive? 2. How does preschool teachers evaluate each characteristic children have?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preschool teachers on boys , girls , and neutr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89 preschool teachers in the active list,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study of Hyun(1999), and its items were reorganized in harmony with the real circumstances of our country. After it passed through the process of correcting and adding, its facial validity was finally verified by the three experts of children education. This tool were extracted from the answers of questionnaires on boys and girls characteristics, which had been carried out on 30 preschool teachers. Its questionnaire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one is composed of the questions to ask what gender-based characteristic preschool teachers perceive on the descriptors is; and the other to ask how preschool teachers evaluate on each characteristic the descriptors suggest. Considered on the probability of whether the former has influence on the latter, the questionnaire is made of two types to change the order of these sec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oys characteristics are found as being "violent," "aggressive," "enjoying play with blocks," "strong," "liking playing sports," "computer games," and being "good runners," "hasty," and "active." On the other hand, girls characteristics preschool teachers perceive are to enjoy "role plays," to be "jealous," "to concern for physical appearance," and "to like something pretty." The characteristics considered as neutral are to be "competitive," "imaginative," "to make well," "to have good ability of expression," to be "well adaptive," "interested in characters," "social," "very crying," "helpful," "concentrative," "mimical," "kind," "shameful," and "sympathetic." Secondly, children s positive characteristics are "to make well," "to be imaginative," "to like playing sports." while their negative characteristics preschool teachers perceive are "competitive," talkative," "jealous," "hasty," "very crying," "sulky," "violent," and "aggressive." And the neutral characteristics teachers perceive are "to enjoy role plays," "to enjoy play with blocks," to be "sympathetic," "interested in characters," "modest," "scrupulous," "to like something pretty," "to concern for physical appearance," "to be docile," "to enjoy computer games," "to be strong," "to enjoy quiet activities." In their perception of children s characteristics, such four characteristics as "to make well," "to like playing sports," "to be interested in characters," and "to be strong" have a higher standard deviation than others. This shows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valuation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beliefs. Thirdly and finally, in the perceptive evaluation on children s gender preschool teachers perceive boys and girls characteristics with a similar level, while they perceive more positively on neutral characteristics than on those of boys and gir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II. 이론적 배경 = 4 A. 성(gender) 특성의 형성 = 4 B. 성 역할 형성이론 = 7 C. 성 편견의 발달과정 및 교육적 방안 = 11 D. 관련연구 = 17 III.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연구도구 = 23 C. 연구절차 = 24 D. 자료분석 = 25 IV. 결과 및 해석 = 27 V. 논의 및 결론 = 38 A. 논의 = 38 B. 결론 및 제언 = 41 참고문헌 = 43 부록 = 51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86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아의 성 특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