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은희-
dc.creator정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2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6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원의 장학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형식과 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장학요원 훈련 프로그램의 형식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2. 장학요원 훈련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2-1. 장학요원의 전문적 자질을 기를 수 있는 영역에서 교사들이 요구하는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2-2. 장학요원이 교사를 감정적으로 지원하는 영역에서 교사들이 요구하는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2-3. 장학요원이 교사를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영역에서 교사들이 요구하는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2-4. 장학요원이 알아야 할 기초지식 중에서 교사들이 요구하는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2-5. 장학요원이 알아야할 전문적 기술 중에서 교사들이 요구하는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있는 유치원에 재직중인 만 3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 190명이었으며, 연구를 위하여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장학요원 훈련 프로그램의 형식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정환, 이영자, 배소연(1991)이 제작한 연수 교육과정 체계화 연구의 설문지를 수정하여 장학요원 훈련 프로그램의 형식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는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문항구성은 11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장학 요원 훈련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여러 선행 연구를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의 문항구성은 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교육 내용영역에 관한 1문항, 장학요원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8문항, 감정적 지원역할에 관한 10문항, 전문적 지원 역할에 관한 6문항, 기초 지식에 관한 6문항, 전문적 기술에 관한 6문항으로 모두 37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장학요원 훈련에 대한 사전 교육 경험은 매우 적었지만 장학요원 훈련 프로그램의 실시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그 필요성을 인정하였다. 장학요원 훈련 프로그램의 형식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살펴보면 교육시기로는 겨울방학을 가장 선호하였고 교육기간은 2-6일 사이가 골고루 요구되었다. 하루의 교육시간은 3-4 시간이 적당하다고 하였고, 이러한 교육이 일년에 한번씩 이뤄져야 한다는 요구가 가장 많았다. 교육의 실시되는 단위는 구 교육청 단위로 실시되길 원하였고 장학요원 훈련의 교육결과가 승진이나 대우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교육비용은 정부와 소속기관에서 부담해야 한다고 했고, 교육후 대부분의 교사가 평가받기를 원했으며, 평가방법으로는 토의 참여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장학요원 훈련 프로그램의 각 내용 영역별 교사들의 요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장학요원 훈련 프로그램의 5가지 교육내용 영역 중에서 교사들이 가장 필요하다고 요구한 교육 내용은 장학요원이 알아야 할 기초지식에 대한 내용으로 나타났다. 장학요원의 전문적 자질을 기를 수 있는 영역에서는 다양한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과 기술에 대한 내용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장학요원이 교사를 감정적으로 지원하는 영역에서는 교사와 친밀하고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내용을, 장학요원이 교사를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영역에서는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내용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장학요원이 알아야할 기초지식 중에서는 장학요원의 역할에 관한 내용을, 장학요원이 알아야할 전문적 기술 중에서는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전략에 대한 내용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 s demand on the form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a training program for mentor teachers. Concrete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teacher s demand on the form of training program for mentor teachers? 2. What is the teacher s demand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raining program for mentor teachers? 2-1. What is the teacher s demand on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aspect of dispositions? 2-2. What is the teacher s demand on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emotional support? 2-3. What is the teacher s demand on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professional assistance? 2-4. What is the teacher s demand on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knowledge base? 2-5. What is the teacher s demand on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professional skill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0 teachers with 3 years or more experience working at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To see certain tendencies in teacher s demand the form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author of this study used a questionaire. As measuring tool for the teacher s demand on the form of a training program for mentor teacher, the tool devised by Lee Jung-hwan, Lee Young-ja, Bae So-hyun(1991) was revised to use in which there are 11 questions. As measuring tool for the teacher s demand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a training program for mentor teachers, this investigator devised the question referring to the preceding study. Question items were composed 37 question items that the professional dispositions had 8 question items and the emotional support had 10 question items and the professional assistance had 6 question items and the professional skill had 6 question items. And the collected data was undergone frequency analysis. Finding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teacher s lack in their preparatory experience of the training of mentor teachers, most of them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uch a training program. Regarding the demand of teachers on the form of such a training program, they preferred such a training to be in the winter vacation and evenly wanted a period for such a training to be 2∼6 days; they responded to that 3∼4 hours are most proper for the time per day taken for such a training; and most of them demanded that such a kind of education should be at least once per year. Regarding the unit(area) in that such a training be practically applied, they wanted for such a training program to be carried out by a unit of Gu Educational Office. Most of them responded to that the most important is that the result of such a training should be reflected in their promotion and treatment for them. Also, regarding the expenses of such a training, they responded to that the government and agencies concerned should be responsible for it; and most of them wanted to be evaluated concerning their training after they finished the training course; and regarding the method of evaluation, they preferred a form of discussion and participation in it. Second, demands by teachers for each area of the content of such a training program are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In the 5 areas of the content of such a training program, they insisted that some basic knowledge they should know to be a mentor teacher is the most important. they wanted most that they could acquire knowledge and skill about the method of various instruction in the area where they can foster their professional quality as a mentor teacher. In the meantime, in the area where teachers can be emotionally supported, they wanted to acquire the content which helps them to form close, reliable relations; in the area where the mentor teacher professionally supports teachers, they demanded mostly the content concerning the method of instruction. Regarding the basic knowledge that the mentor teacher should know, they demanded mostly the content about the role of the mentor teacher; regarding the expertise that the mentor teacher should know, most of them demanded the content of the strategy by which the teacher s reflective thought can be improv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 3 II. 이론적 배경 = 5 A. 장학의 개념변화 = 5 B. 장학요원 훈련 프로그램 = 7 C. 관련연구 = 18 III. 연구 방법 = 21 A. 연구 대상 = 21 B. 연구 도구 = 21 C. 연구 절차 = 24 D. 자료 분석 = 24 IV. 결과 및 해석 = 26 A. 장학요원 훈련 프로그램 형식에 대한 요구 = 27 B. 장학요원 훈련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 32 V. 논의 및 결론 = 39 A. 논의 = 39 B. 결론 및 제언 = 42 참고문헌 = 45 설문지 = 50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549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치원 교원의 장학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