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애리-
dc.creator유애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3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9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6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97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신세대 주부의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 및 가사 수행 그리고 가정생활 만족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가치인식 및 가사노동 수행이 가정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에서 점점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온 가사노동이 주부들에 의해서 얼마나 가정에서 행하여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풍조 속에서 가사를 담당하고 있는 주부들은 자신들이 수행하고 있는 일에 대해 어떠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고자한다.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주부들이 수행하는 가사노동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는 동안에도 우리 주부들은 가사노동을 끊임없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렇게 가정에서 주부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노력이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 왔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나아가서는 가사노동과 관련하여 주부들이 느끼는 만족감과 그로 야기되는 가정생활에 대한 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앞으로 오랜 세월 동안 우리 가정의 가사노동을 담당할 것이라고 여겨지며, “신세대”라는 용어가 등장할 만큼 기성세대와는 다르다는 신세대 주부는 가사노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며, 어느 정도의 가사노동 수행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부분들은 그들이 지각하는 가정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과제이다. 조사대상은 서울시, 대전 광역시, 전북 전주시, 그리고 전북 익산시에 거주하는 자녀가 있는 35세이상의 주부 3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PC SPSS Window 7.5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계수에 의해 내적일치도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신세대 주부들이 가사노동에 가지는 가치는 그다지 높은 편도 낮은 편도 아니었다. 대다수의 주부들이 척도의 중간 정도 수준으로 가사노동의 가치를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신세대 주부들의 가사노동 수행능력은 척도의 중간 정도 수준이었다. 그리고, 개인·가정환경적 변인과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과 가사노동 수행능력을 분석한 결과 막내자녀 연령과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의 정도가 가사노동 수행능력에 대한 유의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세대 주부들의 가사노동 선호도는 척도의 중간이하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가정환경적 변인 및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과 가사노동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월평균 수입, 거주지역,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의 정도가 가사노동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세대 주부들의 가사노동 수행시간은 평균 6.3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가정환경적 변인 및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과 가사노동 수행시간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막내자녀연령, 거주지역, 취업여부, 그리고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의 정도가 가사노동 수행 시간에 대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세대 주부들의 가정생활만족도의 수준은 척도의 비교적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80.6%에 해당하는 주부들이 가정생활만족도가 높은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다. 여섯째, 가정생활 만족도에 대한 제 변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의 정도, 가사노동 수행능력, 가족수, 막내자녀 연령, 월수입, 결혼지속년수, 그리고 가사노동 조력자 여부가 영향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일곱째, 가정생활 만족도에 대한 제 변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인식의 정도, 가사노동 수행능력, 가족수, 막내자녀 연령, 월수입, 결혼지속년수, 그리고 가사노동 조력자 여부가 영향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여덟째, 신세대주부의 개인·가정환경적 특성 및 가사노동가치인식과 가정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가사노동수행요소(가사노동수행능력, 가사노동선호도, 가사노동수행시간)가 매개하는지를 살피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사노동수행시간이 막내자녀연령과 가정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우리 사회의 신세대 주부들의 가사노동 실태를 제공하고, 신세대 주부들의 가정 생활에서 그들의 가정생활 만족도를 결정짓는 요소가 어떠한 것들인지를 밝혀주었다. 이는 가사노동을 담당하고 있는 주부들의 복지와 나아가서는 가사노동의 혜택을 받고 있는 가족 구성원 즉, 사회구성원들의 복지와 관련된 분야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The major questions of this study are whether and how the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and the performance of housework are related to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in young housewives. The understanding of how housework is performed and how important young housewives may think housework is would be obtained by the results acquired, hence an opprotunity to improve housewives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while the importance of housework, still performed by housewives, has been ignored, the fact that housewives have kept performing housework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ir home and how they have contributed to society s wellbeing should be reminde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tudy, I examined the following : 1) whether and how a housewife s personal characters and he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were related to her performance of housework 2) how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sidered in the study were related to the dependent variable, housewives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3)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a housewife s personal characters and he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and her family life satisfaction were meditated by the housewife s performance of housework. A wife s performance of housework has been defined by three sub-variables throughout the study, the ability of housework,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housework, and the amount of time she performs housework. For those issues stated above, a theoritical framework was set by literature reviews and applied to an empirical test. 320 housewives, ranging in age from 27 to 35, were studi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ercentile,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 s alpha value, t-test,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housewives ability to perform housework are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and the degree of their consciouness of value to housework. The older their youngest child is, and the more the degree of thei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is, the better they may perform housework. 2. The degree of young housewives preference for housework may be influenced by the monthly income of their household, the area in which each of them lives, and the degree of thei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3. The amount of the time that young housewives perform housework can influenced by the age of their youngest child, the area in which each of them lives, whether they are employed, and the degree of thei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Whether a young housewife is employed or not is epecially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even among those significant variables stated above. For example, when a young housewife has a job, she tends to spend less time on housework than an unemployed housewife does. 4. Th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degree of young housewives family life satisfaction are the number of their family member, the age of their youngest child, the monthly income of their household, whether they have anyone helping their household labor, the degree of thei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and their ability to perform housework. Among those significant variables, the degree of a housewife s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her family life satisfaction. The more the degree of a housewife s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is, the more she may be satisfied with her family life. To conclude,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young housewives tendency toward housework and their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especially support that a housewife s life satisfaction and her housework performance are influenced by her consciousness of value to housework.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exploring the symbolic meaning of housework in attempts to understand women s current and future position in the household and their life satisfa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Ⅰ. 서 론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4 Ⅱ. 이론적 배경 A. 신세대 주부와 가사노동 = 5 B. 가사노동 수행요소 = 9 C. 가사노동과 가정생활 만족 = 18 Ⅲ. 연구방법 A.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 22 B. 측정도구의 구성 = 23 C. 조사대상 및 자료의 수집 = 27 D. 자료의 분석방법 = 28 Ⅳ. 결과 및 해석 A. 기초자료의 분석 = 29 B. 개인·가정환경적 변인 및 가사노동 가치인식과 가사노동수행요소와의 관계 = 41 C. 가정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 47 D. 신세대 주부의 개인·가정환경적 특성 및 가사노동가치인식과 가정생활만족도간의 인과관계 = 50 Ⅴ. 결론 및 논의 = 57 참고문헌 = 63 부 록 = 73 영문초록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800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신세대주부의 가사노동가치인식 및 가사노동수행과 가정생활만족-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