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8 Download: 0

그림동화 등장인물의 전형성 연구 : 프러이드, 융, 그리고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Title
그림동화 등장인물의 전형성 연구 : 프러이드, 융, 그리고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Authors
김현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독어독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Das Ziel dieser Abhandlung ist es, durch die Untersuchung der von Jacob und Wilhelm Grimm gesammelten Einsichten in die Struktur von Maerchen zu gewinnen. Um die Stellung der Grimmschen Maerchensammlung in der Literaturgeschichte zu erlaeutern, werden zunaechstfruehere Urteile ueber diese Sammulung und die heutigen Tendenzen in der Maerchenforschung behandelt. In kurzen historischen und philosophischen Uberblicken zur Romantik, in der die bei den Voelkern ueberlieferten Maerchen gesammelt wurden, werden Grunde und Ziele der Maerchensammulung der Brueder Grimm vorgestellt. Dann werden die nach der psychologischen und der feministischen Methode, die heute die dominanten Methoden in der Maerchenforschung sind, untersucht. Als Beispiele werden Nr.29 ,ein Maerchen mit maennlicher Hauptfigur, und Nr.53 , ein Maerchen mit weiblicher Hauptfigur ausgewaehlt. Die Handlungsuntersuchung nach der psychologischen Methode ergibt, daß die Handlungen nicht nur den Reisevorgaengen, sondern auch den komplizierten seelischen Ablaeufen, vor allem bei den Reifungsvorgaengen entsprechen. Die Familienkonflikte, mit denen viele Maerchen beginnen, sind Darstellungen des unterdrueckten menschlichen Unbewußten, und die Hochzeit und die Erhoehung der sozialen Stellung sind die Konfliktloesungen. Die Charakteranalyse wird dann nach der feministischen Methode durchgefuehrt, weil es auffaellig ist, daß die dominierenden Gestalten in den beruehmtesten Grimmschen Maerchen ueberwiegend weibliche Figuren sind. Bei dieser Analyse setzen wir die Akzente entsprechend der dualistischen Sicht von den als Koenigstoechtern oder Hexen sortierten weiblichen Figuren und von ihren geschlechtsspezifischen Eigenschaften, die eigentlich gesellschafts- und kulturspezifisch begruedet sind. Zum Schluß dieses Teils wird es betrachtet, welches Rollenverstaendnis und welche Tugenden von positiven weiblichen Figuren gefordert werden. Bei diesen Maerchenanalysen wird auch gefragt, welche verbindungen zu der Romantik bestehen. Dabei wird vor allem die romantische Bedeutung von `Reise , die als Motiv in Maerchen und in vielen Dichtungen der Romantik vorkommt, herausgestellt, ein kurzer Ueberblick ueber den Gebrauch des Reise-Motivs in der deutschen Literaturgeschichte wird damit verbunden. Aus den Untersuchungen ergibt sich, daß die Aufzeichnungen des allgemein menschlichen Unbewußtseins und Unterbewußtseins sind und daß die Maerchen Vorstellungen von den geschlechtlichen Rollen, die aus dem patriarchalischen System hergekommen sind, enthalten. In den Sammlungsprozessen und in eher Edition des Maerchen spiegeln sich die Vorstellungen der Gebrueder Grimm und ihre erzahlerischer Stimme wider. ; 본 논문의 목적은 독일 낭만주의 작가 야콥 그림(Jacob Grimm 1785-1863)과 빌헬름 그림(Wilhelm Grimm1786-1859)이 수집, 출간한 『어린이와 가정의 동화 Kinder- und Hausmarchen (1857)』의 연구와 분석에 있다. 먼저 그림형제의 문학사적 위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 모음집에 대한 평가 및 현재의 연구 경향을 살펴본 다음, 이 동화들이 수집되었던 낭만주의 문학의 경향과 시대적, 사상적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동화수집의 동기와 그 의미를 유추해 보았다. 그리고 여러 차례의 수정 작업을 거치며 발행된 동화의 변천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이 동화를 동화연구에서 가장 많이 행해지고 있는 심층심리학적 방법과 페미니즘적 방법에 의해 고찰해 보았다. 심층심리학적 방법에 있어서는 프로이드와 융의 관점을 도입하여, 남성 주인공의 동화『세 가닥의 황금머리카락을 가진 악마(Nr.29 Der Teufel mit den drei goldenen Haaren)』와 여성 주인공의 동화『백설공주(Nr.53 Schneewittchen)』를 중심으로 줄거리의 전개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여기서는 이러한 줄거리가 단순히 여행의 전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래동화 속에 내재하는 인간의 무의식, 정신적 갈등과 그에 대한 해결의 표현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즉, 동화의 발단이 되는 주인공과 가족 구성원간의 갈등구조는 인간의 억압된 무의식의 표출로서, 주인공이 여행이나 모험을 통해 겪게 되는 고난 후에 오는 사회적 신분의 상승과 이상적 배우자와의 결혼은 그러한 무의식의 해소와 문제 해결이라는 측면을 지닌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줄거리의 전개 과정이 주인공의 성적, 사회적 성숙 과정과 일치함을 규명하였다. 등장인물의 유형분석에서는 널리 알려진 동화의 주인공에는 여성이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 페미니즘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사회 통념적인 여성과 남성의 이분법적 시각에 대해 살펴본 후, 선과 악으로 대비되는 공주와 마녀의 이원론적 여성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동화 속에서 긍정적 여성주인공이 되는 조건으로서 요구되는 여성의 역할과 미덕이 무엇인가를 추론해 보되, 내용 면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것만이 아니라 화법에 의해 간접적으로 주어지는 요구에 대해서도 고찰해보았다. 이러한 분석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다른 낭만주의 작품과의 연관성을 찾아보려 시도하였다. 또한 동화 전개의 주요 모티브로서 등장하는 “여행”이 지닌 의미를 고찰해보았으며, 이러한 여행 모티브가 독일 문학사의 다른 작가 및 작품들에서는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그 대표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본고는 이상의 작업을 통하여 그림 형제가 『어린이와 가정의 동화』를 수집, 정리한 것은 인류의 무의식 및 잠재의식의 의식화 작업이자 의식의 기록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동화가 이처럼 전승되어오는 인류의식의 기록이기에 동화에는 과거 가부장제도 사회의 산물로서의 성의 고정관념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림동화의 수집과정에서 그림형제의 가치관이 해설자적인 목소리로 각 동화 속에 투영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독어독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