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전통 외부공간 체계의 분석과 축제성의 해석을 통한 놀이공연장 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전통 외부공간 체계의 분석과 축제성의 해석을 통한 놀이공연장 디자인에 관한 연구
Authors
홍혜경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세계는 정치와 경제의 패러다임에서 문화와 문명의 패러다임으로 급속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그리고 서구 근대문명의 보편주의에서 글로벌한 인간 보편주의로 옮겨지고 있다. 이는 앞으로 다가오는 21세기가 문화의 시대로 창의력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의 힘이 국력이 되며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문화의 주체성을 갖기 위해서는 우리의 사상과 문화를 검증하고 연구할 필연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우리의 전통적 가치를 계승·발전시키려는 노력은 특히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전통론의 대두를 가져 왔으며 이러한 현상은 이질적인 외래문화에 대한 지역문화의 반발과 또 하나의 경제적·문화적 자주성을 지키려는 자아의식에서 필연적으로 대두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문화와 건축, 전통은 건축의 문화성(Culture in Architecture), 문화 속의 건축(Architecture in Culture) 그리고 건축의 전통성(Tradition in Architecture)의 개념으로 연속되어 순환되는 상호연계성을 띄고 있다. 인간에 의한 구축환경(built environment)은 그 시대, 지역의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또한 인간이 모든 생활양식(life style)을 포함한 그 시대 지역의 문화요소는 건축환경에 반영된다. 이렇게 형성된 단위문화는 시간과 공간을 통해서 변화하거나 연속 계승된다. 이때 문화의 전통성의 논의되어 지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비가시적이고 추상적인 문화개념과 가시적이고 구체적인 건축행위를 연결시키기 위해서 전통외부공간의 체계분석과 우리민족 문화예술인 놀이문화의 축제성 해석을 통해 전통놀이 공연장의 모형사례를 제시하고 나아가 새로운 한국적 놀이문화와 정서에 맞는 한국적 놀이공연장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으며, 크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전통건축의 외부공간 개념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 외부공간의 특성과 전반적인 여가문화공간으로서의 전통적 외부공간의 형성배경을 고찰하고 이와 관련된 시각적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디자인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모색하여 본 연구 디자인 적용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둘째, 건축의 문화성, 문화 속의 건축의 상호연계성 측면에서 한국전통여가문화 속에 나타난 전통놀이문화와 축제성의 해석을 통해 한국의 전통여가의식과 놀이문화, 축제의 개념을 고찰하고 구체적으로 디자인 모형사례에 적용시킬 공간조형원리를 분석한다. 셋째, 디자인 프로그래밍과 공간에의 적용단계로서 전통놀이 공연장을 설정하고 전 단계에서 제시한 요소 및 도입방법을 토대로 대상지 현황분석을 하고 전통놀이 공연장 계획에 적용할 수 있는 개념들을 추출하여 새로운 모형을 제시한다. 넷째, 지금까지 제시된 문헌이나 자료를 통해 전반적인 이론의 배경에 따른 계획방법의 적절한 적용과 디자인 과정 및 방법의 타당성을 살펴보고, 실제 공간에 전통외부개념과 축제성의 해석이 전통놀이 공연장 공간디자인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통해 연구를 종합·평가한다. 이 연구의 결과로 문화의 세기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환경디자인을 물리적, 물질적이라기 보다는 인간­환경의 관점에서 인간에게 적합한 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디자인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동양의 전통사상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또한 현재의 패러다임의 전환에 의한 새로운 세계관이 우리의 전통사상과 연계되어 있어 우리의 전통문화를 계승·보전·발전시키는 것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인식하고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한국전통문화를 연구하여 환경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문화 건축, 건축 속의 문화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데에 그 의의를 둔다. ; The focus of world s paradigm is changing rapidly from politics and economy to culture and civilization, and from modern universalism of western civilization to globalized human­universalism. In other words, in the upcoming 21st century, the culture, which is based on the creativity, will be the main power of a nation s competitiveness and social development. And in order to maintain cultural independence, we have to review and analyze our ideology and culture. With this backdrop, efforts have been made to inherit and develop the traditional value. In particular, in the space design sector, the effort brought about the emergence of traditionalism. Current development is an inevitable result of the resistance of local culture to foreign cultures and of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people to keep the independence of its economy and culture. Culture, architecture and tradition are closely interrelated and the relations are shown in the form of the Culture in Architecture, the Architecture in Culture, and the Tradition in Architecture. The Built Environment creates a unique local culture of the time, and at the same time, the Built environments reflect the local cultural factor of the time, including life style of the society. The culture changes and also keeps its continuity while being inherited to the next generations. That is why the tradition of culture is discussed. In this paper, in order to link the intangible and abstract concept of culture and the tangible and concrete action of built environment, structural analysis on traditional extermal space and interpretation of Korean play s festive aspect are conducted. On top of that, based on the review of the traditional performance stages, alternative for performance stage that fits to Korean s culture and emotions is suggested. The step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ing. 1st,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n external spac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space and its role as a place for recreation can be figured out. And by presenting visual aids, methodology to be employed in this paper can be chosen. 2nd, considering the interdependence of culture and architecture, Korean s traditional concept of recreation and festival can be examined. Based on the examination, space modeling theory can be analyzed. 3rd, as the level of application, by setting performance stage ad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site, new model for the performance stage can be suggested. 4th, with paper research, planning methodology, designing process and applying methodology will be examined. And finally, evaluate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external space and interpretation of festival to the space design for the traditional performance stag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t the threshold of the culture age, just like the oriental traditional idelogy suggests, environment design should focus more on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than on material aspect. And becauseas newly emerging ideology of the world is closely linked to out tradition, to understand the paradigm shift and set up framework for the future, we need to inherit, preserve and develop our tradition. The most important point in this paper is that an alternative was achieved for Culture in Architecture, and Architecture in Culture by analyzing and applying Korean tradition to environment desig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