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유치원 원감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

Title
유치원 원감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
Authors
박양인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the vice-principals of kindergarten think are important and what they actually perform as job-tasks, to analyze the gap between their perception and performance, to review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ir role perception and performance depending upon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r not. The specific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erception of vice-principals of kindergarten about their role, and what are th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o the perception of vice-principals of kindergarten? 2. What is the performance of vice-principals of kindergarten as a role, and what is th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o the role performance of vice-principals of kindergarten? 3. What is the discrepancy between role perception and role performance of vice-principals of kindergarten, and what is th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o that discrepancy? The universe of this study is the 75 person who are working in kindergarten of Seoul and Kyunggi province as a vice-principal. The model used in this study i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me with another expert refer to "Needs analysis for vice-president s job-tasks of primary school" -Yongsik Choi (1988) and "Evaluation model for performance ability of role of vice-principal s" - Yonghyun Chung (1990).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gone through face-to-face validity with 7 specialis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id a factor analysis. Completed model is composed of total 39 questions that have 4 subordinate sections such as administrative role, leadership role, role of harmony, external role (related with out of kindergarten activity). Each of role expectation and degree of performance has 5 scal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is study. 1.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Kindergarten vice-principal s role in 4 job-task area is relatively high. Among them, vice-principals think role of harmony with others is the most important task, next is leadership and administrative role. External role related with out of kindergarten activity is the least important one. Reviewing the degree of role perception by question, the most important one is educational plan and operational plan of kindergarten , and the least important one is various internal/external entertainment and participation in external activities . These role perceptions of vice-principal of kindergarten are not affected by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2. Role performance of vice-principal of kindergarten about 4 job-task area is much lower than role perception. Administrative role is well done mostly. Next are leadership role, role of harmony and external role by order. Reviewing degree of role performance about 4 job-task sections by question, mostly well performed item is "class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of children s entrance and changing school". The worst performed item is "guidance of utilization of kindergarten s facility for community". Examining the factors, which affect to the role performance of vice-president of kindergarten, age and job career as a vice principal affect to leadership role. 3. The study about difference between role perception and actual performance of vice-principal of kindergarten reveals that role of harmony with other has the biggest gap between perception and performance, and next are external, leadership and administrative role by order. Reviewing difference by question, "recommendation and reformation of system for teacher s welfare and working condition" has the biggest gap between perception and performance, and “receipt of tuition fee" has the least difference. Reviewing whether vice-principal s personal o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s discrepancy between role perception and performance, age of vice-principal affects to the gap between perception and performance in the role of harmony with other, career of vice-principal affects to the gap between perception and performance in leadership role, whether vice-principal take charge of own class or not affects to the gap between perception and performance in both leadership and harmony role. And, whether average educational background of teachers those who work with vice-principal exceed 16 years or not affects to the gap between perception and performance in external role of vice principal. ;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원감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직무와 실제 수행하고 있는 실태를 알아보고, 지각과 수행간의 차이를 분석함과 동시에, 이들 역할 지각과 수행이 개인의 특성이나 조직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원감의 자신의 역할에 대한 지각은 어떠하며, 이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조직적 특성은 무엇인가? 2. 유치원 원감의 현재 역할 수행은 어떠하며, 이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조직적 특성은 무엇인가? 3. 유치원 원감의 역할 지각과 수행간의 차이는 어떠하며, 이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조직적 특성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직중인 원감 7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최용식(1988)이 초등학교 교감의 직무에 대한 요구 분석을 위해 제작한 것을 정용현(1990)의 교감의 역할 수행능력 평가 준거 모형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유아교육 전문가 1인과 수정, 보완한 것이다. 완성된 도구는 총 39문항으로 4개의 하위요인( 관리적 역할, 지도적 역할, 인화적 역할, 대외적 역할)으로 구성되었으며, 역할 기대와 수행정도가 각각 5점 척도로 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원감의 4개 직무영역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은 모두 높은편이었다. 그중에서도 원감의 직무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인화적 역할이었으며, 다음이 지도적 역할, 관리적 역할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성 인식에서 가장 점수가 낮은 직무는 대외적 역할이었다. 관리적 역할중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반편성 및 유아의 전입학 관리’였으며 중요성 인식이 가장 적은 것은 ‘교육비 수납 관여’였다. 지도적 역할중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유치원 교육계획 및 운영방침 기획’이었으며 중요성 인식이 가장 적은 것은 ‘보결수업 및 수업 보조’였다. 인화적 역할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교직원 과업 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정과 격려’였으며 중요성 인식이 가장 적은 것은 ‘’교직원의 불만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친목 모임 주최였다. 대외적 역할중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유치원 홍보물의 제작과 관리’였으며 중요성 인식이 가장 적은 것은 ‘교내외 각종 접대 및 대외행사 참여’였다. 이러한 원감의 역할지각은 개인의 특성이나 조직의 특성 여하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원감의 4개 직무영역에 대한 역할 수행은 모두 역할지각 정도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는 것은 관리적 역할이었고 다음에 지도적 역할, 인화적 역할, 대외적 역할의 순서로 나타났다. 관리적 역할 수행에서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은 ‘‘반편성 및 유아의 전입학 관리’였으며 가장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에산편성 참여 및 제 집행의 관리’였다. 지도적 역할에서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는 것은 ‘견학, 행사 등 교육행사 기획 추진’이며 가장 수행하지 못하는 것은 ‘장애아, 부적응아 지도였다. 인화적 역할 수행에서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은 ‘교직원 과업 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정과 격려’였으며 가장 수행하지 못하는 것은 교직원의 복지 후생 및 근무조건 개선을 위한 제언 및 제도 개혁이었다. 대외적 역할에서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는 것은 ‘유치원 홍보물의 제작과 관리’였으며 가장 수행하지 못하는 것은 ‘유치원 시설의 지역사회 활용 유도’였다. 원감의 역할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원감의 연령과 원감 직무경력이 지도적 역할 수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원감의 직무에 대한 역할 지각과 현재 수행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지각과 수행간의 차이가 가장 큰 직무는 인화적 역할이었으며 다음에 대외적, 지도적, 관리적 역할의 순서로 나타났다. 관리적 직무 내용에서 역할 지각과 수행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역할은 ‘에산편성 참여 및 제 집행의 관리’’였으며 가장 적은 차이를 보인 것은 ‘교육비 수납 관여’였다. 지도적인 직무 내용에서 유치원 원감이 역할 지각과 수행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역할은 ‘수업 관찰 및 평가’였으며 가장 적은 차이를 보인 것은 ‘교사 및 직원회의 운영 주관’이었다. 인화적인 직무 내용에서 유치원 원감이 역할 지각과 수행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역할은 ‘교직원 복지 후생 및 근무조건 개선을 위한 제언 및 제도 개혁’이었으며 가장 적은 차이를 보인 것은 ‘교직원간 갈등과 의견 차이의 조정’이었다. 대외적인 직무 내용에서 유치원 원감이 역할 지각과 수행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역할은 ‘교원단체 등 원감회 참가 활동’이었으며 가장 적은 차이를 보인 것은 ‘상급 기관 접촉’이었다. 원감의 역할 지각과 수행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이 원감의 개인적, 혹은 조직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원감의 연령은 인화적 역할에서, 원감의 원감직무 경력은 지도적 역할에서 지각과 수행간의 차이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감의 학급담당 유무는 지도적 역할과 인화적 역할 모두에서 지각과 수행간의 차이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함께 근무하는 교사들의 평균 학력이 원감의 대외적 역할의 지각과 수행간의 차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