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재가 정신질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반응양상에 관한 연구

Title
재가 정신질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반응양상에 관한 연구
Authors
윤영희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급속한 변화가 특징인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는 피할 수 없는 인간경험인 동시에, 인간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해치는 만병의 근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스트레스는 암, 심장병, 고혈압 등의 신체질환은 물론이고 정신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정신질환자들은 스트레스에 취약하기 때문에 정상인보다 사회 환경에 매우 민감하여, 가정, 직장, 사회 등에서 스스로 대처하기 어려운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스트레스 사건에 대하여 더 심각한 반응을 보인다. 이런 이유로 정신질환자들은 퇴원 후에도 작은 스트레스에 악화되어 재 입원을 반복하면서 만성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정신질환자의 스트레스관리는 병의 악화를 예방하고 건강유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이처럼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에 대하여 최근 미국에서는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들이 규칙적 자기관리기술에 의해 조정될 수 있음이 검증되면서 간호연구자들의 관심 속에 다양한 질환별로 스트레스반응 양상과 특성이 규명되고 이를 통해 간호중재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가 정신질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반응 양상을 조사하고, 특성을 규명하여 재가 정신질환자의 스트레스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S대학병원 신경정신과 외래와 낮병동에 다니는 환자, 그리고 경기도와 서울에 있는 6개 기관의 정신보건센터에 참여하는 92명의 재가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999년 3월 22일부터 4월30일까지 약 1개월에 걸쳐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도구는 워싱톤 대학 간호대학 스트레스반응 관리소에서 개발한(1977) SOS(Symptom of stress)척도를 이소우(1991)가 한글로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조사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ANOVA, t-test,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가 정신질환자의 총 스트레스반응 점수는 평균 1.00(표준편차 .74)으로 스트레스 관리 기준치 .70보다 높으므로 스트레스관리가 필요한 상태로 나타났다. 2) 재가 정신질환자의 스트레스반응 하위척도 중에서 특히, 정서적 반응과 관련된 하위척도인 우울증상군, 불안증상군, 정서적불안정군, 인식력장애군에서 평균점수 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1.19~1.42). 3) 재가 정신질환자의 연령과 총 스트레스반응(F=6.87, p<.01)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후검정(Scheffe test)결과 20대, 30대, 40세이상군 중에서 30대가 가장 높은 스트레스반응을 보였다. 4) 재가 정신질환자의 스트레스지각 정도에 따른 총 스트레스반응(F=6.61, p<.001)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스트레스지각 정도가 클수록 더 높은 스트레스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재가 정신질환자들이 지각한 스트레스반응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정서적반응군이 더 높으므로 재가 정신질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의 신체적 반응보다 정서적 반응에 대한 스트레스관리가 더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재가 정신질환자의 스트레스 반응이 높다는 것은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스트레스에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스트레스분야의 여러 학자들은 간호학적 측면에서 정신질환자의 스트레스관리는 스트레스상황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의 스트레스반응을 변화시켜 주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재가 정신질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반응양상에 대한 본 연구는 재가 정신질환자의 스트레스관리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This investigation was designed for identifying stress response of the psychiatric patients in community. The intent of this investigation is to develop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that is providing the data for the management of the psychiatric patients in community. The report of the psychiatric patients about their own physi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symptom that was useful to make nursing plan for them. Symptom of Stress Inventory was adopted as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stress responses. Raw data were collected using a direct survey method of questionnaire, from March 22th to April 30th in 1999. 92 samples were selected from psychiatric patients who were out-patients in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and in six mental health servic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ungki-Province area. SPS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data was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percentile score), t-test, F-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total SOS of the psychiatric patients(M=1.00, S>D=.74) were over .70. This result need to require the management of stress. 2. The mean score of SOS subscales related to emotional response were relatively high(ranging from 1.19 ~ 1.42). 3. Between the age and the mean score of total SO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result of Scheffe test showed the highest stress response in 30 s than 20 s, over 40 s 4. According to the degree of stress perception by psychiatric pati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 of total SOS(p<.001, F=6.61) and the more the degree of stress perception was, the higher was the stress response. These results showed the stress response perceived by psychiatric patients in community was high. With higher emotional response the management for stress is more required than response perceived by psychiatric patients. High stress response of psychiatric patients lies in uneffective taking care for stress and vulnerability of the stress. The specialists in a part of stress insist that on the side of nursing science the stress management of psychiatric patients doesn t change the status of stress, but the stress response of the related. In short, this study of stress response perceived by psychiatric patients in community can be considered as basic data t new direction of stress manag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