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현미-
dc.creator유현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6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3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재즈댄스 참여의 심리적인 효과를 구명하기 위한 것으로 무용의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효과 중 자신의 동작을 통하여 느낌을 표현하는 가운데 길러질 수 있는 신체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무용 중에서도 표현의 폭이 가장 자유롭다고 할 수 있는 재즈댄스 참여집단을 대상으로 신체 자신감(physical self-efficacy)을 측정하여 재즈댄스의 무한한 표현 영역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재즈댄스에 전혀 참여하지 않은 집단과 재즈댄스에 참여해 본 경험이 있는 집단 그리고 재즈댄스를 전문으로 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이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재즈댄스 경력에 따라 신체 자신감에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둘째 재즈댄스 주당 횟수에 따라 신체 자신감에 차이가 나타날 것이며, 셋째 재즈댄스 참여 동기여부에 따라 신체 자신감 향상에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실험을 위한 피험자는 무용경험이 없는 20~30대 남녀 100명으로 구성되었고,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재즈댄스를 취미로 하고 있는 남녀 100명, 재즈댄스 전문인 100명을 대상으로 신체 자신감을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신체 자신감 척도(Physical Self-Efficacy Scale)를 우리말로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Self-Efficacy를 우리말로 사용할 경우 자신감 또는 자아효능감으로 이 두 가지로 사용된다. 세 집단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컴퓨터 통계 프로그램인 SAS를 이용하였으며, 분산분석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고, 또한 Tukey 방법으로 비교 검증하였다. 신체 자신감 척도는 지각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이 두 가지 하위변인으로 나누어지며, 두 가지 하위변인별로 상이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먼저 2개의 하위변인 중 첫 번째인 지각된 신체능력(Perceived Physical Ability PPA)에 대해서는 재즈댄스 참여 여부에 대해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두 번째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기 표현 자신감(Physical Self- Presentation Confidence PSPC)에 대해서는 첫째,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전공 집단에 비해 취미 집단의 경우가 신체적 자기 표현 자신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즈댄스 전공자의 경우 지나친 다이어트와 무대 경험시 체격조건 등을 중요시하면서 생겨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주당횟수의 경우 또한 1~2회, 3~4회 또는 5회 이상을 비교해보면 주당 1~2회 재즈댄스에 참여하는 집단의 경우 신체적 자기 표현 자신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유의한 차이는 다른 신체 활동에 비해 1회당 수업시간이 긴 재즈수업의 경우 일반인에게 무리한 강도로 느껴질 수 있으므로 주당 횟수가 더 늘어 날 경우 오히려 역효과를 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재즈댄스 참여동기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재즈댄스에 참여할 경우 신체 자신감 중 신체적 자기 표현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며, 재즈댄스를 주 1~2회 취미로 할 경우에 그 효과가 최대라고 할 수 있다. ; This study is to examine certain psychological effects from participating in jazz dance, which among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effects is expected to play a positive influence upon physical self-efficacy while people express their feelings through their own movements. The author of this study chose a group of people participated in jazz dance which can be said as having the freest choice of expression as the subject, measured their physical self-efficacy to look at the infinite expressional area of jazz dance, and compared physical self-efficacy of three groups. In this study, four hypotheses are set up; first, physical self-efficacy differs by jazz dance career; second, physical self-efficacy differs by the number of dancing a week; thir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jazz dance has an influence up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self-efficacy. Subject were 100 men and women in their twenty or thirty years without any dance experience, and to test the validity of hypotheses another 100 men and women doing jazz dance as a hobby and 100 men and women who are professional jazz dancers were chosen to measure their physical self-efficacy. As a measuring tool, PSE scale was translated into Korean to use.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ree groups, the statistic package SAS was us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ispersion analysis method and compared and tested with Turkey method. Physical self-efficacy after participation in jazz da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ubcultures. First of all, the first subculture, i.e., perceived physical ability (PPA) did not differ by participation in jazz dance and show any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second subculture, physical self-presentation confidence (PSPC),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dance career, that is, compared with professional group, hobby group showed a relatively high physical self-presentation confidence. Second, compared with those who dance above once and twice, three and four times, or five times a week, who dance once and twice a week showed th highest PSPC. Finally,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jazz dance didn t show any difference. Consequently speaking, participation in jazz dance play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PSPC among factors of physical self-efficacy, and dancing once and twice a week as a hobby bring out maximum eff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재즈댄스 = 4 1. 재즈댄스의 역사 = 4 2. 재즈댄스의 가치 및 특성 = 8 3. 재즈댄스의 효과 = 9 B. 자신감(Self-efficacy) = 12 1. 정의 및 개념 = 12 2. 출 처 = 15 Ⅲ. 연구방법 = 19 A. 연구대상 = 19 B. 측정변인 및 측정도구 = 19 C. 절 차 = 21 Ⅳ. 결 과 = 23 A. 재즈댄스 경력에 따른 비교 = 23 B. 재즈댄스 주당 횟수에 따른 비교 = 26 C. 재즈댄스 참여 동기에 따른 비교 = 29 Ⅴ. 논의 및 결론 = 31 참고문헌 = 34 부 록 = 38 ABSTRACT = 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93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재즈댄스 참여변인에 따른 신체자신감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