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6 Download: 0

초등학교 무용특별활동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Title
초등학교 무용특별활동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Authors
박선희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무용특별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로서 무용교육의 필요성을 재인식시킴과 동시에 학교 밖의 과외교육을 학교 안으로 유입하여 학교교육에서의 무용교육은 물론 예·체능 및 특기신장 교육 등 방과후 무용특별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무용특별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서울시내 소재 초등학교 학생 200명, 학부모 350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 및 인식정도, 만족정도, 활성화를 위한 요구사항에 대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의 응답결과를 기입한 자료를 회수한 후,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분석 가능한 자료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전산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운영실태 일반현황은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인식정도, 만족정도, 활성화를 위한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집단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조사하였다. 학부모 집단의 경우 저학년과 고학년 집단간의 차이검증(t-test)을 실시하였고, 학생집단의 경우 4, 5, 6학년 세 집단에 대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후 Duncan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1)무용특별활동에 대한 실태조사, 2)무용특별활동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도, 3)무용특별활동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 4)무용특별활동 활성화를 위한 요구사항 등이다. 이러한 방과후 무용특별활동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특별활동의 현황을 살펴보면, 평균적으로 학년분포에 있어서 고학년보다는 저학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내용은 발레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업횟수는 주2회, 1시간 수업에 10명-20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용특별활동에 참여하게된 동기를 살펴보면, 학생의 경우는 순수한 유희적 호기심이나 특기 향상에 대한 관심이 대부분이었으나 학부모의 경우 몸매나 건강관리 등 무용교육의 효과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학생·학부모 모두 본인이 원하여 무용특별활동에 참여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특별활동이 어떤 효과를 주는가 등 무용특별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도에 관련하여서, 학생·학부모 모두 대체적으로 무용특별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부모의 경우 취미활동, 미적욕구와 문화예술교육에 대하여 높게 평가하였으며, 학생의 경우는 재미에 대하여 무용특별활동의 효과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특별활동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 학생·학부모 모두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당수 학생과 학부모들이 무용특별활동에 대해 흥미를 느끼며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며 지속적으로 교육받고 싶어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무용특별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사항을 살펴보면, 무용에 대한 초등학교의 보다 높은 관심과 지원을 요구하고 있고, 무용교사 역시 해당 무용영역을 전공한 전문지도교사에 의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등학교에서의 무용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증가하는 가운데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무용특별활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활성화되어지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다양한 내용을 포괄하는 통합프로그램의 개발, 교육환경 개선, 초등과 중등의 연계적 교육내용, 무용감상 및 무용공연 관람기회의 확대 등이 요청된다. ; This study - a survey of the realities for vitalization of extra-curricular dancing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 has been made in order to make people recognize again the necessity for dancing education and simultaneously draw extra-curricular education out of school in school, thereby exploring an effective operation plan to vitalize extra-curricular dancing activities after school such as art, physical and skill education, let alone dancing education in a school program. Thus I made an investigation into the realities, the extent of recognition including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for vitalization of 200 pupils and 350 parent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here extra-curricular education were carried on. After recovering questionnaires filled in with answers, I excluded data not earnest or unreliable form analysis and computerized the others according to the object of data analysis by using a statistical computerization program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In the analysis of data, this study made a frequency analysis with regard to the general present condition of operation realities, while examined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groups in reference to the extent of recognition,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for vitalization. In the case of parents groups, a t-test between the lower and higher classes was given whereas in the case of pupils groups (3 groups of 4,5 and 6 grades) a Duncan post test was made following one-way ANOVA.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s were 1) A survey of the realities of extra- curricular dancing activities 2) pupils and parents extent of recognition of extra-curricular dancing activities 3) pupils and parents extent of satisfaction 4) Requirements for vitalization of extra-curricular dancing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urvey and study of extra-curricular dancing activities after school are as followas: Firstly, the survey of the realities of extra-curricular dancing activities showed that there were more lower than higher classes in grade distribution on average. The substance of class consisted of ballet-oriented consideration. The times of class are twice a week and an hour-class was composed of 10~20 pupils. As for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dancing activities, pure playing curiosity or interest in the progress of special skill in the case of most pupils, while parents were interested in the effect of dancing education like the figures and health management of pupils. Both pupils and parents said that pupils participated in extra-curricular dancing activities because pupils themselves wanted dancing. Secondly, in connection with the overall degree of recognition of extra-curricular dancing activities, what effects do they have for example, both students and parents in general were of affirmative opinions on such activities. Parents, in particular, valued highly pleasure activities, a desire for beauty and art education. On the other hand pupils valued dancing activities highly for enjoyment. Thirdly,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aid activities, both pupils and parents expressed general satisfaction. Considerable number of pupils and parents proved to have interest in said activities and want to receive continued education, considering said activities to be helpful to the promotion of health. Fourthly, the requirements of pupils and parents for vitalization of said activities being carried out proved to be higher concern over and support to dancing of elementary school and special teachers majored in the corresponding field of d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