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민정-
dc.creator이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6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26-
dc.description.abstract연습 및 공연 장면에서 발생하는 무용상해는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을 저하시키고, 불안정한 정서 상태를 야기함은 물론 심할 경우 무용수로서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이러한 심각한 영향에 따라 무용상해의 본질과 무용상해를 일으키는 기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나마 진행되어 왔다. 그 동안은 무용상해를 연구하는 과정이 주로 연습형태나 신체적 요소 그리고 환경적 요소(예: 신체적 조건, 컨디션 수준, 설비의 결함, 운동환경, 과도한 훈련 등)에 문제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장비의 안정성, 지도기술 향상, 상해안전교육 및 의료적 지원의 보살핌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무용수에게 일어나는 상해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외적요인들만으로 무용상해 발생의 원인을 설명할 수 없을 것으로 여겨지며, 즉 심리적 요인을 포함한 다른 요인들이 무용상해 취약성에 한 몫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무용수의 상해를 방지하며 궁극적으로 무용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해발생의 내적요인데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용상해가 생활스트레스, 대처기술 및 사회적지원과 같은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의해 예상될 수 있는 지를 규명하고, 만일 그렇다면 주요 부정적 생활스트레스에 의한 상해발생 위험의 증가에 대하여 대처기술이나 사회적지원간의 연합적 상관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무용수들의 무용상해 경험유무간 생활스트레스, 대처기술, 사회적지원의 차이 검증, 각 변인과 무용상해와의 관계, 대처기술에 따른 생활 스트레스와 무용상해 시간손실과의 관계, 사회적지원에 따른 생활스트레스와 무용상해 시간손실과의 관계, 두 중재변인에 따른 생활스트레스와 무용상해 시간손실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8곳의 무용단(국립 무용단, 유니버셜 발레단, 서울 시립 무용단, 국립 발레단, 경기 도립 무용단, OO개인무용단등)을 선정하여 단원 281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PC+ 의 하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무용수들의 무용상해 경험유뮤간의 생활스트레스, 대처기술, 사회적지원은 차이가 있었으며, 생활스트레스는 무용상해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대처기술이 낮은 집단, 사회적지원의 낮은 두 가지 중재변인에 모두 해당하는 집단은 단독적 변인보다 더 많은 상해 시간손실과 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보면 생활스트레스는 무용상해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무용상해가 주요 부정적 생활스트레스 영향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의 대처기술과 사회적지원간의 연합적인 관계에 대한 강한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 Dance injury occurring in the place of practice and performance decreases dancer s performing ability and causes unstable emotion and, if worse, it gives fatal influence, with this serious effect. The necessity of study on the essence of dance injury and the device causing dance injury is raised, and research on it has been progressed even though it is not enough. Until so far, the process of studying dance injury mainly focused on the shape of practice or physical factor or environmental factors (For instance : physical condition, condition level, lack of equipment, exercise environment, excessive training etc.). However, in spite of the improvement of equipment stability, training skill, care for injury stability education and medical support, the number of dancer s injury keeps growing. Therefore, exterior factors are not considered to explain the cause of dance injury, that is, other factors including psychological effect should be part of the weakness of dance injury. To prevent dancer s injury occurrence, this study identifies what dance injury can produce by psychological-social factors that life stress, coping skill, social support, and inspects interrelationship between coping skill and social support concerning the increase of injury occurrence by mainly negative life stress. For this purpose, I identified several relationships that include dance injury and each factor, life stress and dance injury hour, social support and dance injury hour, and life stress and dance injury according to the two intervening factors. The subject of this survey are 281 members of a dance groups (National dance theatre, Universal ballet theatre, Seoul city dance theatre, National ballet theatre, Kyounggi province dance theatre, OOindividual dance theatre) and distributed and collected questionnaires. Collected materials are analyzed by the sub program of SAS/PC+. In result, life stress is directly related to dance injury, and group with low coping skill or low social support is also linked with injury hour than single factor. Based on the result written above, life stress is related to dance injury, and dance injury provides strong evidence on interrelationship between coping skill and social support in increasing the weakness of dance injury to the influence of negative life str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목차 = ⅴ 그림목차 = ⅵ 논문개요 = ⅶ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연구의 가설 = 6 D. 연구의 제한점 = 7 E. 용어의 정의 = 7 II. 이론적 배경 = 9 A. 상해의 개념 및 발생원인 = 9 B. 상해에 대한 심리 생리적 기제 = 12 C. 스트레스 개념 및 기제(Mechanism) = 13 D. 무용수들의 집단활동에 따른 심리적 고찰과 스트레스원인 = 21 E. 생활스트레스, 대처기술 및 사회적지원과 무용상해와의 관계 = 24 III. 연구 방법 = 36 A. 연구대상 = 36 B. 측정도구 = 37 C. 연구절차 = 39 D. 자료처리 = 39 IV. 연구 결과 = 41 A. 무용수의 상해경험 유무집단간의 생활스트레스, 대처기술, 사회적지원의 차이 = 41 B. 각 변인과 무용상해의 관계 = 42 C. 각 중재변인을 통한 생활스트레스와 무용상해 시간손실과의 상관 관계 = 43 D. 두 중재변인을 통한 생화라스트레스와 무용상해 시간손실과의 상관 관계 = 46 V. 논의 = 50 VI. 결론 및 제언 = 54 A. 결론 = 54 B. 제언 = 55 참고문헌 = 59 부록(설문지) = 67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401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대처기술과 사회적지원을 중재변인으로 한 직업 무용수의 생활스트레스와 무용상해와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