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3 Download: 0

Presuppositions and the projection problem

Title
Presuppositions and the projection problem
Authors
권소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문장의 의미는 크게 단언과 비단언의 의미로 나뉜다. 비단언의 의미는 단언의 의미에 비해서 쉽게 이해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비단언의 의미는 ‘함축된 의미’ 혹은 ‘전제’로 이해된다. 전제는 의미론에 있어서의 중요한 주제들 즉 의미론과 화용론의 상대적 위치, 부정의 문제, 자연 언어와 논리 언어의 관계, 동적 의미론의 필요성 등과 관계가 있어,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전제는 두 가지 관점에 의해 정의된다. 하나는 ‘의미론적 전제’로서, 전제를 이해하려면 청자는 그 전제를 포함하는 문장이 어떠한 조건 아래서 참이 되는지 알아야 한다는 관점이다. 다른 하나는 ‘화용론적 전제’로서, 전제를 포함하는 문장과 그 문장이 발언되는 문맥과의 관계를 근거로 전제를 이해하는 관점이다. 전제 이론에 있어 가장 핵심이 되는 주제는 전제의 투사 문제이다. 전제의 투사 문제는 복합문을 구성하는 성분 문장의 전제들이 어떻게 작용해서 복합문의 전제가 결정 되는지에 관한 이론이다. Langendeon and Savin(1971)이 복합문의 전제의 복잡성을 최초로 제시했다. 이러한 전제의 투사 문제를 해결하려는 이론들 또한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화용론적 해결 방안으로서, 복합문이 발언된 문맥의 적합성을 고려해서 투사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문맥과 전제를 포함하는 문장에 대한 조건들이 제시되는데, 예를 들어, Karttunen(1974)은 ‘만족 조건(satisfaction condition) 을, Gazdar(1979)는 ’일관성 조건(consistency condition) 을 언급한다. 다른 하나는 역동 의미론에 근거한 해결 방안으로서, 대화가 이루어지면서 정보가 계속 들어오는데, 이때 대화 참여자의 공동 영역(common ground)이 수정된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투사 문제를 해결한다. 동적 의미론에 근거한 전제 투사 연구는 최근에 여러 학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Heim(1983), van der Sandt(1990,1991), 그리고 Beaver(1992) 등이 있다. 이들 이론들은 어떤 표현의 의미가 그것과 연결되어 있는 전후의 다른 표현들의 의미와 동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어 자연 언어 현상 중의 하나인 전제를 우리의 직관에 보다 더 가깝게 설명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학자들의 전제 투사에 관한 화용론적 또한 역동 의미론적 이론들을 제시하고 몇 가지 복합문장을 통해서 이 이론들을 비교, 비판하여 역동 의미론에 근거한 이론들의 이점을 보이고자 한다. ; The meaning of a sentence is divided into two parts, namely, the asserted meaning and the non-asserted meaning. The non-asserted meaning is not easily captured in a straightforward way, compared to the asserted meaning. This non-asserted meaning is generally named as presupposition or implicature . The presupposition of a sentence also could be termed as the second meaning or the hidden meaning of the sentence. In other words, the implicated meaning of the sentence. Presupposition has been defined in two ways. One is the semantic presupposition which defines presupposition based on the truth-conditional semantics. That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i.e. the asserted and the non-asserted meanings) of a sentence, the hearer must know under what conditions the sentence is true or false. The other is the pragmatic presupposition which defines presupposition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a sentence and the context in which it is uttered. Compared to the presuppositions of simple sentences, the presuppositions of compound sentences are more complicated. Langendeon and Savin (1971) first mentioned this complexity of presuppositions in compound sentences, calling it the "projection problem of presuppositions". The projection problem deals with the problem of how the presuppositions of a complex expression are determined compositionally as a function from those of its sub-expressions. The theories that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jection problem are rough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the pragmatic solution and the other is the dynamic solution. As for the pragmatic solution, various theories have been proposed. These theories consider the presuppositions of compound sentences to decide the felicity of the contexts in which the compound sentences are uttered. For example, Karttunen (1974) explains the presuppositions of compound sentences with the satisfaction condition and Gazdar (1979), with the consistency condition . Compared to this, the dynamic solution, which is based on dynamic semantics, accounts for the projection problem in term of the concept of updating the common ground. The Context Change Potential (CCP) theory of Heim (1983)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ynamic theories of presuppositions and the projection problem. This thesis will compare these two groups of theories of the projection problem, and will show the advantages of the theories based on dynamic seman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