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연희-
dc.creator이연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8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5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5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34-
dc.description.abstract中國의 少數民族은 중국에서 수 천년의 역사와 전통을 지키며 살아왔으므로 그들의 口碑神話에는 고대 민간의 풍습과 사상이 원형 그대로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과거의 중국신화 연구는 기록된 漢族의 文獻神話만을 위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소수민족의 구비신화는 대부분 간과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이 점에 유념하여 그동안 집중적인 조명을 받지못했던 소수민족의 구비신화가 중국신화에서 점유하고 있는 가치와 의의를 재검토해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고의 제 Ⅱ장에서는 소수민족의 기원 및 역사와 문화를 살펴보았다. 그들은 주로 변방지역을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어서 분포지역을 東北·內蒙古·西北·西南·中東南 지역으로 나누었는데 대체로 북방지역에는 肅愼과 突厥을 기원으로 한 민족이, 남방지역에는 苗蠻과 百越에서 發源한 민족이 주로 거주하고 있다. 소수민족의 문화 또한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그들의 언어문자와 종교 그리고 문학 등을 고찰해 보았다. 그들의 언어 상황은 다양한 민족 구성으로 인하여 다소 복잡하였으며 蒙古族과 哈尼族 그리고 藏族 등 몇 개 민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스스로의 문자가 없어서 문학은 구비문학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그들의 종교는 샤마니즘과 도교 그리고 불교가 주류를 이루고 그들의 풍습과 생활도 이들 종교의 영향을 받았다. 제 Ⅲ장에서는 소수민족의 구비신화를 지리문화권과 주제별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지리문화권에 따른 소수민족의 신화는 앞서 분류하였던 지역들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기후가 낮고 강수량이 적은 동북·내몽고 지역에서는 불과 물을 갈망하는 신화가 많았으며 이슬람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는 서북지역은 이슬람 경전인 《코란경》을 차용한 신화가 대부분이었다. 서남지역은 강수량이 많아 홍수 신화가 이 지역 신화의 특색을 이루고 있으며 벼농사를 주요 생활 수단으로 삼고있는 중동남 지역은 가뭄에 대한 두려움을 射日 神話에 담고 있다. 주제별 분류에서는 創世·英雄·自然·其他 神話를 중심으로 그 특징들을 알아보았다. 창세 신화에서는 우주 태초의 형상이 주로 기체와 액체로 묘사되며 인류의 탄생을 주로 造人 모티프로 표현하였다. 영웅 신화는 주로 영웅의 탄생과 업적 및 죽음에 관하여 논하면서 그 행적을 탐색하였고 사일 신화는 그 형성 시기를 初·中·末期로 나누어 각 시기에 따른 射日의 도구와 射日者의 특징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기타 신화에서는 穀物 起源 및 生命·死亡 神話를 다루었다. 제 Ⅳ장에서는 앞서 언급한 주제별 분류를 바탕으로 각 신화의 주요 모티프와 구조를 분석한 후 소수민족 신화의 예술적 특징에 대해 論究하였다. 창세 신화에 사용된 홍수와 혼돈 모티프 분석을 통하여 고대인들의 사유 방식에 대해 논한 후 세계 창조의 과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였고 영웅 신화에서는 입문에서 묘사된 영웅의 심리 상태와 함께 그의 탐색 과정을 살펴보았다. 태양과 달을 주요 모티프로 한 자연 신화에는 자연에 대한 고대인들의 두려움과 경이감이 표현되었으며 자연 재해의 해결과정이 신화구조에 반영되었다. 기타 신화에 포함되는 곡물 기원신화와 생명·사망 신화에는 각각 고대인들의 식물 애니미즘과 不老不死 관념이 나타나 있으며 이들 신화구조에서도 미지의 세계에 대한 고대인들의 접근 방식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모티프와 구조로 이루어진 소수민족 신화의 예술적 특징으로는 인물의 생동적인 형상 묘사를 위한 첩어 사용과 산문과 운문을 혼용한 서사기교 등을 들 수 있다. 제 Ⅴ장에서는 소수민족의 구비신화와 한족 문헌신화 사이의 상호영향 관계를 고찰해 보았다. 먼저 소수민족 신화와 한족 신화의 특성을 비교해 보았는데 신화의 完整性과 생동감은 소수민족 신화의 주요 특징이 되었고 간결성과 질서 개념은 한족 신화의 특색을 이루었다. 左思의 <蜀都賦>에 나타난 金馬 모티프는이族이 주로 거주하는 四川省과 雲南省에서의 금마 유적과 司馬彪가 기록한 史書의 내용을 볼 때 ?族의 신화로부터 차용한 것이고, 盤古 神話는 苗族과 한족의 역사를 비교하여 본래 소수민족의 신화임을 밝혔다. 그러나 毛南族의 <盤古的傳說>에서 나타난 陰陽의 개념과 土家族의 <射太陽>에서 보이는 太陽神의 지위 격하 현상은 모두 한족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이것은 한족 신화가 소수민족 신화에 영향을 끼친 것이다. 이러한 현상들을 볼 때 소수민족 신화와 한족 신화 사이의 상호영향 관계로 인하여 두 신화의 모티프와 구조가 풍부해졌음을 알 수 있다. 중국문학을 논할 때 한족의 문학만을 대상으로 삼는 것은 편협한 중원중심주의의 所産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수민족의 구비신화에서 사용된 모티프와 구조가 한족의 문헌신화에 미친 영향은 결코 간과할 수 없다. 즉 중국문학이란 한족의 전유물이 아닌 중국 내에 거주하고 있는 55개 소수민족과 한족 전체의 공유물로서 중국문학이 이루어낸 문학적·예술적 성취의 이면에는 이들 소수민족의 공헌이 크게 자리하고 있음을 想起해야 할 것이다. ; Minor ethnic groups of China have kept their traditions in thousands of years history, and accordingly their orally inherited myths still contain ancient folks customs and ways of thinking. In the Past, however, the studies on Chinese myths were done only with Han race(漢族) s myths recorded in writting, and the orally inherited myths of minor ethnic groups were neglected. This study intends to re-examine on the value and meaning such orally inherited myths of the minor ethnic groups of China supposedly deserve to occupy in the Chinese myths. Chapter II of this thesis covers the origin, history and culture of the minor ethnic groups.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 is classified into the North-East area, the Inner Mongol area(內蒙古 地域), the North West area, the South West area and the Middle South East area according to their actual areas of settlement. In northern area, the ethnic groups which had originated from Sushen(肅愼) and Tujue(突厥) have settled, and in Southern area, those from Miaoman(苗蠻)and Baiyue(百越). Here an attempt is also made for study of their culture including their language, letters, religion and literature, according to these regions of settlement. The situation surrounding their languages are more or less complicated, because of the multiplicity of the ethnic groups in each region. It is noteworthy that, except in the case of a few groups such as Mengguzu(蒙古族), Hanizu(哈尼族) and Zangzu(藏族), literatures of most of the groups have had to depend on oral inheritance, as they have no letters of their own. Their main religions are Shamanism, Taoism and Buddhism, and the religions have greatly influenced their customs and ways of living. In Chapter III, an attempt is made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rally inherited myths,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sphere, as well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Study of the myths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sphere is carried out, depending upon the regions classified for the study in Chapter II.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myths concerning people s craving for water and fire in the Inner Mongol area and the North East area, where the average temperature is low and there is little rainfall, and that the North West area has myths mostly quoting lines from Koran as fits the status of sphere of Islamic culture. Likewise, the South West area where there is much rainfall, the myths there mostly consist of the tales of flood. The myth containing the story of shooting the sun down(射日 神話) was one for the South East area where people s chief means of living is farming, and naturally their main concern was the possibility of drought. As for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study is made of the myths centered on the Creation(創世), Hero(英雄), Nature(自然), Ohers(其他). In those centered on the Creation(創世 神話), the original shape of Universe is described as having been made of gas and liquid, and the origin of the mankind is expressed to have been by the Creation by a super-natural being. The myth about Heroes(英雄 神話) is centered on their birth, life and death, exploring their deeds during their lives. The story of shooting the sun down(射日 神話) is divided into early, middle and last periods, describing the shooting tools used in each period and characteristics of the shooter(射日者). The Others myths(其他 神話) are also myths pertaining to the origin of grain(穀物起源 神話), the origin of universe, life and death(生命·死亡 神話). Those for wishing well for grain harvest tell the stories as if grains have lives, and those for life and death show people s belief that God is in control of those things. Chapter IV is an attempt for analysis of the main motif and structure of each myth inherited by each minor ethnic groups of China, and survey of its artistic characteristics. A guess is also made at the ancient people s way of thinking through analysis of the motif behind the stories of the flood and chaos which the Created myth(創世 神話) used. Concerning the Hero myth(英雄 神話), a survey is done of the heroes psychological state and their adventures. The myths of Nature(自然 神話) with the sun and the moon as the main motif show ancient people s fear of and wonder about the nature, and the process of solving natural disasters is reflected in the structure of the myths. Ancient people s plant animism and wish to remain young and escape death are shown respectively in the myths pertaining to the origin myth of grain(穀物起源 神話) and life and death(生命·死亡 神話), from which a glimpse is made of ancient people s way of approaching to the unknown world. Techniques of vividly describing the characters plus mixing the prose and verse are, it can be said, the representativ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myths held dear by the minor ethnic groups, which consist of such diverse motifs and structures. Chapter V deals with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orally inherited myths of the minorities of China and those of the Han race inherited in writing. First of all, those of the minorities are characterized chiefly by their liveliness, whereas, in those of the Han race, brevity and the concept of order are conspicuous. The motif of golden horse(金馬) appearing in Shudufu(蜀都賦) of Zuosi(左思) is, it turns out, borrowed from the myth of the Yi race(이族), judging from the remains concerning the golden horse(金馬) in Sichuan Province(四川省) and Yunnan Province(雲南省), the main settlement area for the Yi race(이族), and Sima Biao s(司馬彪) history book. It also turns out that the Pangu(盤古) myth originated from a minority ethnic group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history of the Miao race(苗族) and that of the Han race. Meanwhile, both the concept of Yin-yang(陰陽) appearing in the legend of Pangu(盤古 神話) of the Maonan race(毛南族) and the attempt for demoting the status of the Sun god(太陽神) in the “shooting-down-the-sun(射太陽)” of the Tujia(土家) race are formed by the Han race, which shows how the myths of the Han race influenced those of minorities. It is concluded accordingly that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myths of the Han race and those of minorities of China worked to make their motifs and structures richer. In discussing Chinese literature, it seems that the scope of studies has been limited to Han race’s literature, which resort from Sino-centralism. As mentioned above, the effects of the motif and structure used in orally inherited myths of minor ethnic groups on Han race myths recorded in writting are too great to be overlooked. Because of their considerable contributions to the literary and artistic achievement of Han race, it can be said that Chinese literature is collaboration of Han race and the 55 minor ethnic groups living in China rather than Han race s own 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요약 Ⅰ. 緖論 = 1 1. 연구목적 및 방법 = 1 2. 연구현황 = 3 Ⅱ. 중국 소수민족 문화개황 = 6 1. 소수민족의 기원 및 역사 = 6 2. 소수민족 문화의 주요 내용 = 13 Ⅲ. 중국 소수민족 신화의 분류 = 22 1. 지리문화권별 = 22 2. 주제별 = 28 Ⅳ. 중국 소수민족 신화의 내용 및 형식 분석 = 33 1. 주요 모티프 = 33 2. 구조 = 46 3. 예술적 특징 = 59 Ⅴ. 중국 소수민족 신화와 한족 문헌신화와의 상호영향 관계 = 64 1. 소수민족 신화가 한족 문헌신화에 끼친 영향 = 65 2. 한족 문헌신화가 소수민족 신화에 끼친 영향 = 77 Ⅵ. 結論 = 90 引用 原文 = 94 參考 文獻 = 109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357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국 소수민족신화 시론-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중어중문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