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5 Download: 0

거문고 독주곡 [출강] 연구

Title
거문고 독주곡 [출강] 연구
Authors
윤경미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1964년 김용실이 작곡한 북한의 거문고 독주곡 <出鋼>의 음악구조를 분석하고 그 작품에 내재된 새로운 주법을 밝히고자 함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먼저 단악장으로 되어 있는 <출강>의 전체적 구조를 속도, 박자, 조의 변화에 따라 제A부분, 제B부분, 제A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별로 형식, 리듬, 음계, 선율형태 및 구조를 분석하고 곡 전체에 나타나는 주법을 정리하여 연구 하였다. 제A부분은 a + b + c +d +a 로 이루어졌으며, 속도♩=144, 4/4박자이다. 리듬은 拍節的인 리듬을 반복하면서 장단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음계는 C를 주음으로 하는 C , D , E^♭, F , G , B^♭,의 6음 음계이다. 선율 진행 및 구조에 있어서는 선율이 고음역에서 이루어지며 상행진행과 반복법이 사용되었다. 선율의 구성음과 음들의 기능으로 보아 육자백이 토리와 유사한 점이 나타나며, 변청(제32마디-제40마디)되는 특징과 메나리 토리의 선율(제41마디-제48마디)이 삽입되어 나타나고 있다. 제B부분 e + f +coda 로 이루어졌으며, 속도 ♩.=92, 12/8 박자이다. 리듬은 전통적인 3 박자계의 리듬을 반복하고 있으며 음계는 D음을 주음으로 하는 D, E, G, A, B, C의 6음 음계이다. 선율형태 및 구조에 있어서는 반복법, 확대 및 축소, 변형이 사용되었다. 제A 부분은 a +b +c +d +a" + coda 로 이루어졌으며 리듬, 음계, 선율형태 및 구조가 제A부분으로 환원되고 있다. coda부분의 리듬은 32분음표의 빠른 진행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선율형태 및 구조는 ‘스르렁 주법’의 다양한 활용으로 종지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출강>은 제A, A 부분의 拍節的인 리듬형태가 사용되면서 고음역의 상행선율을 반복하는 動的인 선율과 제B부분의 전통적인 리듬의 서정적인 선율은 북한음악의 격정적인 서정성이 잘 나타난 곡이라 하겠다. ; This thesis has the purpose to analyze the musical structure of “Chulgang” composed in 1964 by Yong Sil Kim, North Korean musician and to examine the new rendition technique in his work. First, I classified the whole structure of “Chulgang” which is composed of one movement into Part A, Part B and Part A’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empo, rhythm, and Key and studied the form, rhythm, scale, melody type, structure and rendition of whole movement. Part A is composed of a + b + c + d + a and has the tempo ♩=144, 4/4 measure. It repeats metronymic rhythm and performed the beat. The scale is six-noded with C, D, E^♭, F, G, B^♭. The major notes of part A are C. Considering melody and structure, this part is performed at high register and used upward progress and repeating method and has the variation of center tone (tune 32 ~ tune 40) and shows the melody of MENARI mode between tune 41 and tune 48. Part B is composed of e + f + Coda and has the tempo ♩. = 92, 12/8. The rhythm repeats the traditional 3-beat system and used the scale is six-note, D, E, G, A, B, C with D as a major note. Repeating method, enlarging and reduction, transformation are used in melody type and structure. Finally, part A’ is consist of a’ + b’ + c’ + d’ + a” + Coda and revived the rhythm, the scale, the melody type and the structure into the part A. Rapid progress of thirty-second note is outstanding the rhythm of Coda and this part terminates by using “SEUREURUNG rendition” in melody and structure. Overall, “Chulgang” shows the dynamic melody using metronymic rhythm and repeating upward progress and high-register in part A an A’ and has the characteristic showing the strong emotion and delineative feeling of North Korean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