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0 Download: 0

중년 여성의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건강 신념과 자기 효능감간의 관계 연구

Title
중년 여성의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건강 신념과 자기 효능감간의 관계 연구
Authors
강영미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과학 기술의 발달과 함께 경제 수준이 향상되고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질병의 양상과 건강 요구는 종전의 질병 중심 개념에서 건강 증진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여성의 건강 증진은 다른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때 중요하며, 여성의 인생 주기 중 중년기는 다른 연령 대에 비하여 유방암, 심장 질환, 골다공증 등 여러 가지 질병의 발생률이 높은 시기이다. 최근 골 밀도의 감소로 초래되는 골다공증은 중년 여성의 건강을 위협하는 건강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의학, 영양학, 스포츠학 등 여러 분야에서 골다공증의 위험 인자 그리고 운동, 식이, 흡연, 음주와 같은 생활양식에 관한 예방 측면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자가 고찰한 국내 골다공증에 관한 간호학 연구 5편도 골다공증의 위험 인자, 생활양식의 변화 그리고 골다공증 예방 행위가 주를 이룬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골다공증 예방과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및 건강 사정에 필요한 지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A병원에 건강 검진을 목적으로 골 밀도 측정을 위해 방문한 중년 여성 113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일반적 특성 10문항과 세 가지 측정 도구 즉,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측정 도구 24문항,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 측정 도구 42문항,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 측정 도구 12문항(Kim, Horan와 Gendler, 1991), 총 8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도구의 Cronbach s r값은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55,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 .77,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 .87이었다 자료 수집은 면접을 통하여 자가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AS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 ANOVA와 Pearson 상관 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46세에서 50세가 27.4%로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는 유배우가 93.8%이었으며, 종교는 기독교가 37.2%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고졸이 4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중졸이 18.8%이었으며, 월수입은 100만원에서 300만원이 67%로 가장 많았다. 폐경 상태는 폐경 전 41.6%, 폐경 후가 58.4%로 나타났고, 출산 횟수는 1-3회가 77.9%로 가장 많았다. 수유 방법은 모유가 64.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모유와 우유 혼합 21.0%, 우유 14.5% 순이었다. 경구 피임약 복용 여부는 15%가 복용한 적이 있었고, 모계 골절력(母系 骨折歷.)은 19.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건강 신념, 자기 효능감 정도 1)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정도 본 연구 대상자의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점수는 평균 14.31점이었고, 총점에 대한 백분율은 59.8%로 중간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 정도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의 평균 점수는 민감성 14.77, 심각성 17.35, 운동의 유익성 23.65, 칼슘 섭취의 유익성 23.60, 운동의 장애성 14.43, 칼슘 섭취의 장애성 13.97, 건강동기 21.55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 중 운동의 유익성 이 가장 높았고, 칼슘 섭취의 장애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 정도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 점수는 평균 41.17, 평균 평점 3.43으로 나타나 중간 이상의 자기 효능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건강 신념, 자기 효능감과의 차이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연령에 따른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F=3.96, P=.0048), 연령이 높을수록 지식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에 따른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F=10.47, p=.0016), 배우자가 있는 경우 사별한 대상자에 비해 지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F=4.64, p=.0007), 학력이 높을수록 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 상태에 따른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F=3.24, p=.0016), 폐경 후 대상자보다 지식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유 방법에 따른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F=6.90, p=.0015), 모유와 우유를 혼합해 수유한 대상자의 경우 모유 또는 우유를 먹인 대상자보다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 연령은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 중 민감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F=3.65, p=.0079), 51-55세 대상자의 골다공증에 관한 민감성이 가장 높았고, 46-50세 대상자의 골다공증에 관한 민감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 중 칼슘 섭취의 장애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9F=4.18, p=.0035), 연령이 높을수록 칼슘 섭취의 장애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 중 칼슘 섭취의 장애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F=9.23, p=.0001), 학력이 높을수록 칼슘 섭취의 장애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 상태는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 중 칼슘 섭취의 장애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F=-3.04, p=.0029), 폐경 전 대상자보다 폐경 후 대상자의 칼슘 섭취의 장애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 연령에 따른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F=5.05, p=.0009), 연령이 높을수록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에 따른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F=22.50, p=.0001),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의 자기 효능감이 사별 대상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F=3.35, p=.0076), 학력이 높을수록 운동과 칼슘 섭취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건강, 신념,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 1)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간의 관계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은 칼슘 섭취의 장애성과 음의 상관관계로 유의하였는데(r=-.3561, p=.0001), 지식이 높을수록 칼슘 섭취의 장애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는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이 높을수록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r=.2267, p=.0158). 3)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간의 관계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은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 중 운동의 장애성과 음의 상관관계로 유의하였는데(r=-.3533, p=.0001),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운동의 장애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은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 중 칼슘 섭취의 장애성과 음의 상관관계로 유의하였는데 (r=-.3269, p=.0004),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칼슘 섭취의 장애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 연구 측면 본 연구는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 골다공증에 관한 건강 신념, 골다공증에 관한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반복함으로써 제 변수들 사이의 양, 음의 상관관계가 실제 골다공증 예방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는 연구의 기초가 될 것이다. 이는 최종적으로는 골다공증 예방 행위를 증진시키는 골다공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2. 간호 실무 측면 본 연구 결과는 간호사들이 실무에서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를 수행함에 있어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과 자기 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운동의 장애성, 칼슘 섭취의 장애성을 최소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3. 간호 교육 측면 이 연구의 결과는 간호 학생들로 하여금 대상자에게 골다공증의 치료와 병태 생리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일차 예방을 강조하는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osteoporosis health belief and osteoporosis self-efficacy of middle age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3 middle aged women who visited for health examination at hospital in seoul. These data were collected by posing questionnaire that included Osteoporosis knowledge Test, Osteoporosis Health Belief Scale and Osteoporosis Self-Efficacy Scale. This three tools were originally developed by Kim, Horan & Gendler(1991) and were done translation, backtranslation by expert that have competency in Korean, Englis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AS computer program that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osteoporosis knowledge, osteoporosis health belief, osteoporosis self-efficacy 1) The mean of osteoporosis knowledge was 14.31 in a range of 0 to 24, showing a relatively higher score than mean score. 2) The mean of osteoporosis health belief variables that susceptibility 14.77, seriousness 17.35, benefits of exercise 23.65, benefits of calcium 23.60, barriers to exercise 14.43, barriers to calcium 13.97, health motivation 21.55 in every range of 6 to 30. The mean of benefits of exercise was highest in other variables and the mean of barriers to calcium was lowest in other variables. 3) The mean of osteoporosis self-efficacy was 41.17 in a range of 12 to 60, showing a higher score than mean score. 2. The osteoporosis knowledge, osteoporosis health belief and osteoporosis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characteristics 1)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osteoporosis knowledge according to age(F=3.96, p=.0048), marital status(F=10.47, p=.0016), school age(F=4.64, p=.0007), menstrual state(F=3.24, p=.0016), feeding method(F=6.96, p=.0015). 2)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usceptibility (F=3.65, p=.0079), according to age.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barriers to calcium according to age(F=4.18, p=.0035), school age(F=9.23, p=.0001). 3)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osteoporosis self-efficacy according to age(F=5.05, p=.0009), marital status(F=22.50, p=.0001), school age(F=3.35, p=.0076). 3. The relationships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osteoporosis health belief and osteoporosis self-efficacy 1)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and barriers to calcium (r=-.3561, p=.0001) of the osteoporosis health belief. 2) There wa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and osteoporosis self-efficacy(r=.2267, p=.0158). 3)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osteoporosis self-efficacy and barriers to exercise(r=-.3533, p=.0001), barriers to calcium (r=-.3269, p=.0004) of the osteoporosis health belief. In conclusion, further extensive research might be needed to repeat for showing relationships osteoporosis knowledge with osteoporosis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and relationships osteoporosis health belief with osteoporosis self-efficacy. And finally, this results will contribute to enhance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 of middle aged wom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