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혜옥-
dc.creator이혜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6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0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5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031-
dc.description.abstract우리 나라에서 결장 및 직장암의 발생은 남·녀 모두 발생 순위 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소화기계 암 중에서 위암은 줄고 있으나 대장암은 늘고 있는게 우리나라의 큰 특징으로 보고되고 있다(보건복지부, 1998; 한국경제신문, 1998). 영구적 결장루형성술은 대장과 직장의 종양, 대장의 염증성 질환 또는 외상 등으로 인하여 항문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경우에 실시하게 되며, 통상적으로 <수술 후 2주일> 경 대상자들은 신체적인 불편 뿐 아니라 심리적인 충격에서 회복하지 못한채 자가 간호가 거의 불가능한 상태에서 대부분의 간호를 의료진이나 가족에게 의존한 상태로 퇴원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장루보유자들에게는 병원을 떠나는 순간이 치료의 종결을 의미하지 않는다. 퇴원 후 이들은「신체·심리·사회 적응」에 많은 문제를 지니고 있어, 퇴원후 가정에 돌아가면서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고, 부적응시에는 삶의 만족도에 변화를 초래한다(Wilson, 1981). 최근까지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자가간호, 삶의질, 가족지지, 생활적응, 등에 관한 양적 연구와 장루협회 회원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가 있을 뿐 영구적 결장루보유자에 관한 실제적인 경험을 다룬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므로 대상자 중심의 실제적인 문제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수술 후 2주일부터 일년>까지의 영구적결장루보유자들의 일상적인 생활 탐색을 통하여 수술 후 생활에의 적응과정을 탐색하고, 관련문제를 파악하여 대상자들이 빠른 시일 내에 정상적인 생활로 복귀하도록 그들을 돕고 더 나아가 결장루보유자의 간호중재 방안과 교육지침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험적 자료를 분석·종합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한 1개 종합병원인 A병원에서 직장암으로 복회음절제술을 받은 영구적 결장루 보유자 12인으로 남자 5인과 여자 7인으로 하였다. 자료는 영구적 결장루 수술 후 본 연구자가 직접 장루 간호와 교육을 실시하였거나, 퇴원 후 대장 종양 클리닉을 통하여 2회 이상의 면담과 관찰 및 전화상담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외래의 추후 방문시 대상자들의 면담 내용을 기록한 대상자 면담기록부와 1998년 5월 1일부터 1998년 9월 20일까지 총 173일에 걸쳐 별도의 비구조적 개방형 질문에 따른 개별 면담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과정은 크게 4단계로, 일단계는 상담과 관찰한 내용을 개인별로 분류·기록하고, 둘째 단계에서 대상자와의 1·2차 개별 면담에서 얻어진 녹음 테이프의 내용을 옮겨 적은 다음, 개인별로 컴퓨터 워드 문자로 디스켓에 저장하였다. 셋째 단계에서는 개인별 자료를 수술 후 경과 기간에 따라 일차적으로 분류하여 이를 토대로 수술 후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문제점을 수술 후 적응과 관련하여 체계적으로 정리 한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대상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적응해 가고 있는지, 그리고 적응상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표를 만들어 가면서 정리·분석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영구적 결장루보유자들이 일반적으로 퇴원하는 시기인 <수술 후 2주일~1개월>, 회음부 상처가 치유되면서 방사선 치료 또는 항암 치료가 시작되는 시기인 <수술 후 1개월 ~2개월>, 방사선 치료가 종료되는 시기인 <수술 후 2개월~6개월 > 그 이후 기간인 <수술 후 6개월~1년>으로 나누어서 대상자의 신체, 심리, 사회적응에 대해 탐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체적응」 중 [지식부족]에 있어 장루관리, 식이 는 수술 후 2개월을 넘어서 해결되었고, 배설과 관련된 지식부족은 수술 후 2주 부터 시작되어 6개월 까지에 걸쳐 나타났으며 그 이후 기간부터 적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합병증에 대한 지식부족은 수술 후 다소 안정된 기간인 수술 후 2개월~ 6개월에 걸쳐 지식의 탐구가 이루어지면서 6개월 이후부터 해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불편함]은 장루관리에 따른 불편과 회음부 불편, 복부불편, 및 수면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특징적인 점은 대상자 모두에게 복회음절제술이 적용됨으로써 수술 후 1년까지도 계속적으로 불편함을 경험하면서 적응하고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합병증]은 피부, 출혈, 협착, 탈장 등을 수술 후 6개월이전에 경험하였는데 의료인의 도움으로 수술 후 6개월 이후에는 해결 또는 완화되었다. 특히 신체적 [불이행]은 수술 후 2개월~1년에 걸쳐 나타나고 있었는데, 이는 합병증 중의 하나인 탈장과 관련한 것으로 복압상승 유발행위와 관련된 예방교육의 불이행에 따른 결과 탈장이 발생되고 있었고, 또한 지지자원의 결여와도 관련되어 나타났다. 다음 「심리적응」은 수술 후 2주~1개월에 걸쳐 [충격]을 겸험하면서 수술후 1~2개월에는 [정서적 혼란], 2~6개월에는 죄책감을, 그 이후에는 체념을 통한 질병을 수용하기 시작하면서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리적응 중 [불안]은 전 시기에 걸쳐 나타나는 정서적 경험으로 적응이 일어나는 6개월 이후에는 재발과 생명예후에 대한 불안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의료인으로부터 대상자의 심리적 이해가 요구되고 퇴원 후 가정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계속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응」은 수술 후 2주~1개월 에는 이전 [생활양식의 지속성에 대한 의문]이 일면서 1~6개월에 이르러서는 [대인관계 및 사회접촉의 제한]을 경험함과 동시에 [활동범위의 제한]을 경험함으로써 6개월 이후부터는 신체, 심리 적응과 관련하여 사회적 상황을 조정하는 능력이 향상됨으로써 적응이 이루어 졌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 교육적 측면 장루간호에 대한 교과내용은 임상과 장루보유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구체적인 문제들을 포함시켜, 장루보유자에 대한 지식의 폭을 넓혀나가야 할 것이다. 2. 간호실무 측면 1) 수술 후 경과 기간과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환자의 신체·심리·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한 개별화된 간호중재를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2) 수술 후 경과 기간과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환자의 신체·심리·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한 장루보유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3) 장루보유자의 가족은 퇴원 후 직접간호 제공자임을 감안할 때 가정내의 간호제공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요구된다. 3. 간호연구 측면 1) 수술 후 경과 기간과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환자의 신체·심리·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2) 장루보유자와 가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 The main purpose of this empirical study was to provide understanding of adjustment of patients with permanent colostomy during post-operative 2weeks to 1 year. Multiple strategies for data collecting were used: direct observation, counseling, in depth face-to face interview. In-depth interviewing was done from May through September, 1998 with 12 patients with perment colostomy who were being cared for at A Hospital Colorectal Clinic. Patients with permanent colostomy have variou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The problems were related knowledge deficit, diet, elimination, comfort, skin integrity and noncompliance. The problems of patients with colostomy are provoke whole range of problems in an extended period of time.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level of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it might be helpful to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counseling and life-long surpervision from the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 strategies of promotion of patient s adjustment should be: Properly designed patient education when a patient has an early sign of interaction. Provide close supervision, education and skill for colostomy care. Arrange meetings with the people who also experienced the same disease. Provide post-hospital followup and life-long surpervision. Future nursing program for the patient may need well designed educatoon program in-patients and out-patients to help adjust to their daily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I.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2 C. 용어정의 = 3 II. 문 헌 고 찰 A. 대장암 및 영구적 결장루보유자 현황 = 4 B. 결장루형성술이 결장루보유자에게 미치는 영향 = 5 C. 결장루보유자의 적응 = 7 III. 연 구 방 법 A. 연구설계 = 11 B. 연구대상 = 11 C.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12 D. 자료분석 과정 = 13 IV. 연구결과 및 논의 A. 연구대상자의 특성 = 14 B. 영구적 결장루보유자의 적응 = 15 V. 결론 및 제언 = 33 참고문헌 = 36 부록 = 41 영문 초록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562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영구적 결장루보유자의 수술 후 적응에 관한 경험적 연구(empirical study)-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