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윤우-
dc.creator이윤우-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4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5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16-
dc.description.abstract2000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될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은 “수학적 힘”을 신장하기 위해 개인의 능력 수준 고려, 학습자의 활동 중시, 구체적 조작물의 적극적 활용,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의 활용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러 가지 구체적 조작물을 활용하여 학습 부진아를 위한 기하 수업방안을 소개하고, 교사들에게 학습 부진아를 위한 수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자료와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구체적 조작물을 활용한 학습 부진아를 위한 기하 수업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습 부진아를 대상으로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으로 나누어 보충 수업을 실시하고, 평면·입체도형 단원의 학업 성취, 흥미, 태도에 대한 변화를 연구하였다. 통제 집단은 전통적인 지필 수업을 실시하고, 실험 집단에서 직접 사용한 구체적 조작물은 기하판(Geoboard), 쌓기 나무(Cubes), 디스틱 (D-stick), 폴리드론(Polydron), 플렉시건(Flexigons)이다. 연구의 결과 학업 성취, 흥미,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효과를 얻지는 못했다. 연구 대상의 수가 작고, 연구 기간이 짧고 동일한 기간에 실험을 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검증된 결과 이상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학습 부진아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갖게 하기 위하여 교사가 올바른 인식을 갖고 실정에 맞게 적절히 적용시킨다면 현장에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학습 부진아를 위해서 기하뿐만 아니라 함수, 방정식, 통계 단원에 대하여 구체적 조작물을 사용한 활동지향적 수업 방안을 연구하고 또한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 A basic direction of the seventh mathematics department s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will be gradually put into operation in 2000, suggests considering level of individual learning ability, attaching importance to activities of learner, an active using of manipulative materials and using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s in order to expand power of mathematics . This article shows a Geometry s teaching programs using various manipulative materials for the slower learners in order to offer mathematics teachers the idea of using various materials for active mathematical instruction of them. This article shows the development of Geometry s teaching of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for the slower learners. To examine it, I divide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executed a developed teaching method intended for the slow learners of the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and a control group, which was executed an conventional teaching of paper and pens. And I carried out supplementary lessons. Then I researched the change of schoolwork s achievement, interest, attitude of Plane-Solid figure section. The manipulative materials used the experiment directly was Geoboard, Cubes, D-stick, Polydron and Flexig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I did not get positive effect of the statistical meanings in schoolwork s achievement, interest, attitude. There could be other meanings except my results because of the study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the short period of the study and no experiment for the same period. I believe that activity-based instruction which made use of manipulative materials in actual instruction will be of benefit in the field if teachers exactly understand meaning of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and correctly apply them to real-life circumstances for positive effect of the slow learners. Further more, we will have to study teaching program of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in teaching function, equation, statistics as well as geometry. It s also necessary to study on effect of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in actual instru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연구 방법 = 5 D.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7 A. 활동주의와 구체적 조작물 = 7 1. 구체적 조작물의 정의 = 8 2. 구체적 조작물의 종류 = 10 (1) 기하판 (Geoboard) = 10 (2) 쌓기 나무 (Cubes) = 11 (3) 디스틱스 (D-stick) = 11 (4) 폴리드론 (Polydron) = 12 (5) 플렉시건 (Flexigons) = 13 3. 구체적 조작물의 활용과 주의점 = 15 B. 학습 부진아 = 19 1. 학습 부진아의 정의 = 19 2. 학습부진의 요인 = 19 (1) 교과 변인에 의한 요인 = 20 (2) 학생 변인에 의한 요인 = 22 (3) 환경적인 요인 = 22 3. 학습 부진아의 특성 = 24 C. 기하교육의 동향 = 26 D. 중학교 기하교육의 목표와 내용 = 28 E. 선행연구 = 31 Ⅲ. 연구 설계 및 과정 = 34 A. 연구 설계 = 34 1. 연구 대상 = 34 2. 연구 기간 = 34 3. 설문지 및 검사지 제작 = 35 4. 수업 계획 = 36 5. 수업 지도안 = 37 6. 검사 결과 분석 도구 = 41 B. 연구의 과정 = 41 1. 과정 = 41 2. 제한점 = 4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4 A. 인지적 영역의 검사 결과 및 논의 = 44 1. 사전 검사 결과 = 45 2. 사후 검사 결과 = 46 B. 정의적 영역의 검사 결과 및 논의 = 47 1. 흥미 검사 결과 = 48 2. 태도 검사 결과 = 50 Ⅴ. 결론 및 제언 = 53 A. 요약 = 53 B. 결론 = 55 C. 제언 = 55 Ⅵ. 참고문헌 = 57 <부록-1> 수학에 대한 흥미, 태도 조사 = 60 <부록-2> 사후 학업 성취도 검사지 = 64 <부록-3> 수업 지도안 = 70 <부록-4> 질 문 지 = 81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408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1학년 학습 부진아를 위한 구체적 조작물을 활용한 기하 수업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