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영주-
dc.creator이영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4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5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15-
dc.description.abstract수학 학습 성취도와 태도에 관한 성별 차이를 발표한 기존의 연구는 남학생에게 유리한 결과를 제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 차이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를 반영한 것으로, 검사의 준거로 교내에서의 척도가 아닌 표준화된 검사도구로 조사되었다. 표준화된 검사에서는 남학생의 성취도가 우수하며, 특히 상위권의 학생들 사이에서 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난다. 한편 성별 차이에 대한 새로운 견해는 교내검사에서 측정된 여학생의 높은 점수와 수업 태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교내검사에서는 성별 차이가 없거나 성별 차이가 발견되더라도 그 차이는 여학생에게 유리하게 나타나며, 중학생에서부터 대학생에 이르는 광범위한 표본에 대해서 일관적이다. 이와 같이 검사도구의 종류에 따라 수학 성취도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가 대조적으로 나타나므로, 교외검사의 결과만을 중요시하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교내검사의 결과를 함께 분석하는 입장에서 동일 표본의 교외점수와 교내점수를 동시에 비교 조사하였다. 또한 동일 학생의 교외점수와 교내점수의 차(差)에 대한 성별 차이를 비교하여 ‘남학생은 교외검사에서 우수하고 여학생은 교내검사에서 우수하다’는 가설이 우리 나라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만약 이 가설이 적용된다면 교내검사의 결과를 중요하게 다룸으로써 여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인 인식 즉, 여학생은 남학생만큼 수학을 잘 해 낼 수 없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교·내외 수학 성취도 검사에서 나타난 성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외점수(X1)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한 1998학년도 학업성취도 평가 성적으로, 교내점수(X2)는 각 단위학교별로 출제한 1998학년도 1학기 기말고사 성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문제는 교외점수(X1), 교내점수(X2), 차이점수(X1-X2)에 대한 성별, 학교급별, 지역별, 성취수준별 차이와 각 변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중학교 3개교와 고등학교 3개교 학생 중에서 남학생 786명, 여학생 779명의 교·내외 수학 성취도 점수를 수집하였으며 SPSS 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남학생은 교외점수(X1)와 차이점수(X1-X2)가, 여학생은 교내점수(X2)가 약간 더 높았다. 둘째, 학교급이 높아짐에 따라 교외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아졌으며, 고등학교 내에서도 인문계열은 자연계열에 비해 낮은 점수를 얻었다. 셋째, 교외점수에 대하여 강남 지역은 강북 지역에 비해 유의수준 0.1%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넷째, 차이점수에 대하여 중학교에서는 여학생이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고등학교 인문계열에서는 남학생이 유의수준 1%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고, 자연계열에서는 남학생이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다섯째, 차이점수에 대하여 강남 지역에서는 여학생이 유의수준 5%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강북 지역에서는 남학생이 유의수준 1%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여섯째, 차이점수에 대하여 강북 지역의 중학교에서는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남학생이 높은 점수를 얻었고 고등학교 인문계열에서는 유의수준 5%에서, 자연계열에서는 유의수준 1%에서 남학생이 높은 점수를 각각 얻었다. 한편 강남 지역의 고등학교 인문계열에서는 남학생이 유의수준 5%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중학교에서는 여학생이 유의수준 1%에서, 고등학교 자연계열에서는 여학생이 유의수준 5%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일곱째, 교외점수에 대하여 상위수준에서는 남학생이 유의수준 0.1%에서, 중위수준에서는 여학생이 유의수준 5%에서, 하위수준에서는 여학생이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높은 점수를 각각 얻었다. 여덟째, 교내점수에 대하여 상·중·하 모든 수준에서 여학생이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성취수준이 낮아질수록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외검사에서는 남학생이 우수하고 교내검사에서는 여학생이 우수하다’는 가설은 약간은 일치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는 없었다. 둘째, 그러나 세부적인 변인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차이점수에 대하여 강남 지역의 여중생과 자연계열 여고생은 남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어 가설에 일치하지 않았으나, 강북 지역에서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 가설에 일치하였다. 한편 수학에 대한 흥미와 수학적 능력이 비교적 낮은 집단으로 볼 수 있는 고등학교 인문계열은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여학생이 교외검사에서는 낮은 점수를 얻고 교내검사에서는 높은 점수를 얻었으므로 가설에 가장 잘 부합되는 표본으로 볼 수 있다. 익숙한 제재를 다루는 중학교 교외검사에서는 여학생의 점수가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남학생보다 높았다. 요약컨대 위의 가설은 성별 변인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학교급 변인과 지역 변인 및 검사도구의 성격에 의해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셋째, 성취수준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교외점수에 대해서는 상위수준의 남학생만이 높은 점수를 얻었고 중·하위수준에서는 반대의 결과를 얻었으므로 전체 표본으로 확대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교내점수에 대해서는 상·중·하 모든 수준에서 여학생의 점수가 높으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수학을 잘 하지 못한다는 선입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 The existing studies of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ttitude on mathematics presented results favorable to boys. Such results reflected traditional views of gender-realted differences. But many researchers used a standardized test as a conformity of studies. The performance of boys is superior to that of girls in standardized tests and in particular, its differences occured largely to students in high grade. Meanwhile, an alternative view of gender-related differences has focused on better girls mathematics grades than boys s in classroom exams and attitude in mathematics courses. Gender-related differences are not found in classroom exams but its differences appear, if any, favorable to girls. Moreover, the differences are quite consistent across samples of varying selectivity for junior high through university mathematics courses. The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is contrasted by the kind of examination means. While Existing studies only make much of the results of standardized tests, this study concurrently compare and examine grades of standardized tests(the following is denominated as X1 ), classroom exams(the following is denominated as X2 ) and gender difference on the difference of X1 and X2(the following is denominated as D ) in the same sample. Therefore, in our country, it will be confirmed an applicability of the hypothesis that "while boys are superior to girls in X1, girls are superior th boys in X2". If it can be applied, by deal importantly with the results of X2, we maybe give help to girls in overcoming the negative fixed idea that girls can t be as good as boys at mathematics To analyze the gender-related differences occurred in standardized tests and classroom exams, the data of this study are sampled as follows. As the grades of standardized test(X1) are choosed the mathematics scores of National Achievement Evaluation tested in 1998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s the grades of classroom exam(X2) are selected the mathematics scores of the first term exam tested at each school in 1998. This study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gender, school, district and achievement grade and the effect of their mutual action in X1, X2 and D. For this study, 3 middle schools and 3 high schools in Seoul are selected. So, the mathematics scores of 786 boy students and 779 girl students in X1 and X2 are sampled. And the analysis is proceeded with SPSS 7.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oy students receive somewhat better grades than girl on X1, girls do better than boys on X2, but the results are not significant in the statistical aspect. Second, as the school grade is promoted, the scores in X1 goes down. In particular, the department of literature gets worse mathematics grades than the science department in high school. Third, the students in Kangnam district get significantly better scores than those in Kangbuk on X1 under Significance Level 0.1%. Fourth, middle school girls score better than boys on D, high school boys do better than girls on the contrary. Fifth, girls receive higher D score than boys in Kangnam district. On the contrary, boys do higher than girls in Kangbuk district. Sixth, in Kangbuk district, boys get higher scores on D than girls without regard to school grade. But, in Kangnam district, boys receive higher scores on D than girls in the literary department of high school, whereas girls do than boys in middle school and the science department of high school. Seventh, in high achievement grade, boys get higher X1 score than girls. But, girls do than boys in middle and low achievement grade. Eighth, girls receive better X2 score than boys in all achievement grades. In particular, as the achievement grade goes down, girls get significantly higher X2 score than boys. By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acquires the conclusion as follows. Statist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not completely significant but somewhat agree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boys are superior to girls in standardized test but girls are superior to boys in classroom exam. To judge them in detail, the truth of the hypothesis is determined not only by gender but also by characteristics of examination tools, school grade and distri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ⅴ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4 3. 용어의 정의 = 5 4.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1. 성별 차이에 대한 연구동향 = 7 2. 성별 차이를 설명하는 원인 = 9 2-1. 생물학적 변인 = 9 2-2. 환경적 변인 = 13 2-3. 학습자 변인 = 19 3. 성별 차이에 대한 상반된 견해 = 22 3-1. 테스트 상황 및 제재의 친숙함 정도(程度)에 관한 가설 = 23 3-2. 학습 양식(style) 차이에 관한 가설 = 27 3-3. 경험 차이 가설 = 30 4. 국내의 성별 차이에 대한 선행 연구 = 3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6 1. 연구대상 = 36 2. 자료수집 및 분석내용 = 37 Ⅳ. 결과 분석 및 해석 = 37 1. 학교별·성별 평균 및 표준편차 = 37 2. 성, 학교급, 지역 변인에 대한 분석 = 38 2-1. 성, 학교급, 지역 변인에 대한 삼원분산분석 = 39 2-2. 성별 변인에 대한 t검정 분석 = 40 2-3. 학교급 변인에 대한 일원분산 분석 = 41 2-4. 지역 변인에 대한 t검정 분석 = 43 2-5. 성, 학교급 변인에 대한 분석 = 43 2-6. 성, 지역 변인에 대한 분석 = 46 2-7. 학교급, 지역 변인에 대한 분석 = 49 2-8. 성, 학교급, 지역 변인에 대한 분석 = 51 3. 성, 성취수준 변인에 대한 분석 = 53 3-1. 성, 성취수준 변인에 대한 이원분산분석 = 53 3-2. 성, 성취수준 변인에 대한 분석 = 54 Ⅴ. 결론 및 제언 = 60 참고문헌 = 63 [부록Ⅰ] 중학교 학업성취도 평가문제지 = 66 [부록Ⅱ] 고등학교(인문계) 학업성취도 평가문제지 = 73 [부록Ⅲ] 고등학교(자연계) 학업성취도 평가문제지 = 79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493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내, 외 수학 성취도 검사에서 나타난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