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7 Download: 0

사회복지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

Title
사회복지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
Authors
이민영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강철희
Abstract
The social worker s attitudes toward the poor are crucial factor in the way he/she will find client problems, intervene to address them, and subsequently, deliver service to the poor. There is no attention, however, to what social workers attitudes toward the poor are in Korea. This study is the first such study to sample social work students-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nd assess their attitudes toward the poor in Korea. This study focused on Korean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poor and identifies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might predict which students attitudes would be more positive/favorable to the poor, for recommending practical implication in social work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examined in this study are: How is the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poor? Which variables affect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2-1. Do social value variables affect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2-2. Do socio-economic status variables affect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2-3. Do social work education variables affect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2-4. Do demographic character variables affect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The disguised structured instrument for the assessment of attitudes toward the poor and poverty from Antherton et al.(1993), which improvised to suit Korean situation for this study, assessed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poor and poverty in Korea(favorable/positive-neutral-unfavorable/negative). A 24-item questionnaire gathered social value, socio-economic status, social work education, demographic character independent variables categories. The above independent variables could be specified as follow ; (1)Social value factors: social orientation, political orientation, work orientation, (2)socio-economic status factors: past and present social class, individual/family income, (3)social work education factors: motivation, social work idealism, field experience, period of work experience, curriculum, importance of poverty problem in the curriculum, (4)demographic character factors: age, marriage, religion, region, year of major in undergraduate, level of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90 students which were 87 seniors in undergraduate, 114 graduate school students(day classes), and 89 graduate school students(night classes) from seven major universities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A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 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1. For the dependent variable,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poor and poverty, the mean score was 109.8(range of 31-155) with standard deviation of 9.6. A score of more 93(the median score) indicates comparatively more positive/favorable attitudes. ANOVA discovered significant effects on variables: year of major in undergraduate, year of work experience, family-income level. 2. In order to address , a Pearson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18 independent variable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attitudes to the poor. 4 social value factors for 9.7%, 2 socio-economic status factors for 5.3%, 2 demographic character factors for 4.3%, 10 social work education factors accounted for 34% of variance in the attitudes. For finding more influencing factor among 18 variables, fin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Political orientation, the non-voluntary motivation, the macro-social work idealism, Community organization in curriculum, and the importance of dealing poverty problem in curriculum accounted for 36.6% of variance in the attitudes to the poor.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was social work education variables. The implication that the above research results give to social work education is as follow. First of all, the educators have to understand social work education consumers need. They must assess students social and political orientation, motivation, social work idealism, and field interest. It can help lead the students to become profession throughout the courses. Secondly, the educators have to review the curriculum closely. In order to form/reform desirable attitudes to the poor as social worker, courses such as Social work value and ethic will be mandatory to discuss any conflicts or prejudice of the subject. Social policy and Community organization courses are also necessary to give students macro practice perspective and strategies of social work. Internship with systemic supervision will help the students to explore their belief and knowledge from school in field practice. Through education and field linkage, student will (re)form their professional attitudes based on the reality of the poor as well as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social workers who are already out in the field will manage and reform. More practical following studies should take place in order to apply the above results and implications in social work education. The concept, variables, and scales that were used in this study should be reapplied to various social work students/workers and others. This will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education and the consumers attitudes as generalization. Keyword : attitude toward the poor, social work education, social work student, social worker, social work profession, attitude, poverty ; 빈곤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는 빈곤한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선택하고 제공하는 전문적인 개입 활동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여왔다. 그럼에도 빈곤문제를 최일선에서 다루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빈곤에 대한 태도와 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실증적인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가 어떠해야 한다는 것에 관한 논의가 아니라, 그들이 빈곤실태와 빈곤문제에 대한 책임에 대하여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빈곤의 태도 수준은 어떠한가, 그리고 빈곤에 대한 태도의 결정요인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 수준과 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영향요인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해 봄으로써, 사회복지 교육 현장에 실천적인 함의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사회복지 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사회복지 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2-1. 사회적 가치 관련 변수들은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2-2. 사회경제적 수준 변수들은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2-3. 사회복지교육 관련 변수들은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2-4.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들은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먼저 태도 이론과 빈곤에 대한 태도에 관한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사회복지 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 수준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인 근거를 기술하였으며, 빈곤에 대한 태도 측정을 위해 Antherton et al.(1993)이 만들어 사용한 척도를 한국적 상황에 맞게 수정하였다. 그리고 전문적인 빈곤에 대한 태도를 형성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함의를 마련하기 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의미있는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서울 경인지역의 7개 종합대학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부 4학년생, 일반대학원생, 특수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은 1998년 10월 9일에서 11월 3일까지 약 4주에 동안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290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적 통계와 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은 학부4학년생이 87명, 일반대학원생이 114명, 특수대학원생이 89명이었다. 연구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우리 나라 사회복지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 수준은 총 155점 만점에 109.8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 수준을 보였다. 이것은 그들이 비교적 빈곤한 사람들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취하며, 빈곤 문제를 사회구조적인 책임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태도의 수준은 학부전공수준별, 직장 근무 기간, 소득수준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사회복지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보기위하여, 사회적 가치 관련 변수, 사회경제적 수준 변수, 사회복지 교육 관련 변수,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로 구분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가치 관련 변수군은 9.7%, 사회경제적 수준 변수군은 5.3%,사회복지 교육 관련 변수군은 34%,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군은 4.3%의 설명력을 보였다. 다시 세분화하여 사회적 가치 관련 변수는 사회관, 정치적 성향, 일에 대한 태도로 구성하였고, 사회경제적 수준 관련 변수는 성장기와 현재의 주관적 계층 판단, 본인과 가족의 소득수준으로 구성하였다. 사회복지교육 관련 변수는 사회복지를 택한 동기, 사회복지활동의 가치, 활동 경험 내용 및 기간, 교과목 수강 등으로 구성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는 나이, 종교, 결혼 여부, 성장 지역, 학부전공여부, 자격증 소유 여부 등으로 구성하였다. 이들 중 유의미한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최종 회귀분석 결과, 정치적 성향, 사회복지 선택 동기-성적, 사회복지 활동 가치-거시성, 교과목 수강-지역사회조직론, 교과내용에서 빈곤의 중요도 변수들이 36.6%로 빈곤에 대한 태도에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사회복지전공자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사회복지 교육 관련 변수들임이 밝혀졌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들이 사회복지 교육 현장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복지 전공자들의 욕구를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들이 갖고 있는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 수준, 사회복지를 택한 동기, 사회복지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 그리고 관심 분야 등이 어떠한지 파악하고, 수업 내외의 과정을 통해서 보다 바람직하게 변화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교과과정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빈곤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갈등과 편견이 구체적으로 논의될 수 있는‘사회복지 가치와 윤리’과목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사회복지정책’과목이나‘지역사회조직’과목 등 사회복지의 거시적 시각과 방법론에 대한 필요한 지식을 갖출 수 있는 과목들을 반드시 수강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신념과 지식이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제대로 옮겨질 수 있도록, 철저한 수퍼비젼을 기본으로 하는 실습과목이 강화되어야 한다. 학교와 실천현장의 연계는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빈곤 현실과 서비스의 인식 뿐만아니라, 사회복지 기관과 서비스의 한계로 인해 보수화 되어 있는 사회복지사들을 위한 재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 및 함의가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보다 실증적인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개념, 변수, 측정 도구 등이 검토되고, 다양한 특성을 가진 집단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연구된다면, 사회복지 교육과 사회복지사들의 태도와의 관계가 보다 구체적으로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후속연구들이 사회복지 교육의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사회복지 전문가 교육이 이루어지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빈곤에 대한 태도, 빈곤, 사회복지교육, 사회복지전공자, 사회복지사, 사회복지 전문직, 사회복지(사업)학 전공 학생.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