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한국 기혼 남성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에 관한 일 연구 : 20,30대 기혼 남성을 중심으로

Title
한국 기혼 남성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에 관한 일 연구 : 20,30대 기혼 남성을 중심으로
Authors
이시은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전통사회는 남성 중심의 공식적 정치체제와 부계혈통 중심의 가족제도가 사회의 기본원리로 작용하는 가부장제 사회였다. 여성의 권리행사가 공식적 권위로 이어지지 못하며, 사회의 지배원리와 사회를 유지· 존속하게 하는 이념과 제도가 남성지배를 정당화하는 경우,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효를 최상의 가치로 삼는 가족주의 사회였기 때문에 여성이 어머니로 존재하는 한 상당한 지위와 인정을 받을 수 있었고, 또한 아들을 통하여 권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즉, 공적인 부자관계에 대비되는 가족적 모자관계 또한 매우 중시되었고, 이러한 모자관계는 서구와는 다른 독특한 성질의 것이다. 따라서 여러 도덕규범을 통하여 자녀세대들은 효 개념을 적극적으로 내면화하게 되고, 이는 부모-자녀관계를 유지하는 기반이 된다. 근대사회로의 변화 이후, 부부간의 평등성과 우애성을 강조하고, 부부 중심의 관계가 중시되었다. 근대화와 산업화 이후 부계가족 제도 및 형태는 상당히 변모되었지만 부모-자녀 관계와 부부 관계는 그 내면에 있어 상호 독립적이지 못하며, 밀접한 왕래 및 유대는 계속되고 있어 윗 세대 부모의 영향은 여전히 존재한다. 가부장적 전통하의 모자관계가 잔존하여 평등성을 주장하는 부부중심의 이데올로기와 마찰을 빚고 있는 상황 하에서, 독립성을 강조하는 서구와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는 청년기로서 심리적 분리가 완성된다고 볼 수 없고, 적어도 결혼 초까지 계속되어 젊은 부부간의 적응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한국 가족에서는 자녀의 결혼과 함께 부모 자녀관계가 독립적인 대등한 관계로 재구조화되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전통 가치관과 효 사상은 기혼 자녀들의 독립적이고 심리적 분리를 저해하는 장애 요소가 되기도 하는데, 성인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정적·정서적 유대감과 분리감이 어느정도 이루어져 있고, 이에 영향을 주는 기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애착을 정서적 유대감, 의존성의 하위차원으로 나누어서 각각에 대해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들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 30대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하여 아들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으로 명명되는 정서적 유대감, 의존성의 정도와 그리고 효 사상의 일부가 되는 전통 가치관, 가족주의 가치관을 어느 정도 내면화하고 있으며, 가족주의 가치는 애착의 두 차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부부관계가 친밀하고 동반자적 관계임을 강조하는 시대변화에 따라 부부간 우애성의 기대가 높아지는 상황이 되는데, 부부 우애성의 실제는 어떠하며, 이 부부간 우애성의 정도가 애착의 두 하위 차원에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조사방법은 설문지법을 택하였고, 설문지는 총346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유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음과 같다. 출생순위, 교육수준, 어머니의 결혼관계, 어머니의 정서적 의존, 가족주의 가치관, 부부간 우애성이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동아들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가 현재의 결혼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어머니의 정서적 의존이 높을수록, 가족주의 가치관이 전통적이고 보수적일수록 그리고 부부간 우애성이 높을 경우, 조사 대상자인 기혼 남성의 어머니에 대한 정서적 유대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정서적 유대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변인은 가족주의 가치관 변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기혼 남성의 어머니에 대한 의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정서적 의존, 가족주의 가치관, 부부간 우애성으로 나타났다. 어머니가 정서적으로 의존할수록, 가족주의 가치관이 전통적이고 보수적일수록 어머니에 대한 의존성향이 높았으며, 반면에 부부간 우애성이 높은 경우 오히려 어머니에 대한 의존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존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관계변인으로, 어머니의 정서적 유대 변인이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의 상호호혜성이 부분적이나마 검증되었다는 점이다. 어머니의 정서적 의존성이 아들의 정서적 유대감과 의존성을 증대시키는 기제가 되었다는 점에서 아들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이 클수록 아들은 어머니에게 더욱 애착한다는 애착감정의 상호적인 측면을 볼 수 있다. 또한 조사 대상자인 기혼 남성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의 정도를 보면, 정서적 유대감은 높은 정도를 나타내 어머니에게 좋은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긍정적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의존성이 낮은 정도로 나타나 애착의 하위 범주인 이 두 측면을 함께 고려해 보았을 때, 적절한 심리적 분리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지나친 정도의 애착이 아닌 올바른 애착감이 형성되어 긍정적인 애정적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들째, 가족주의 가치관의 내면화와 함께 가족주의 가치관이 윗세대 부모와의 애정적· 정서적 유대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이다. 조사대상자가 비교적 교육 수준이 높은 중산층이고, 20, 30대라고 하는 세대의 특수성 때문에 전체 가족주의 가치관의 평균은 낮은 정도를 보였다. 이는 기혼 남성들이 내면화하고 있는 가족주의 가치관의 정도는 낮다는 것을 의미하고,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전통적 가치관이 “약화”되어가고 있음을 입증한다. 그러나 이렇게 전통적인 가족 가치관이 약화되었고 가족주의 가치를 더 이상 적극적으로 내면화하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주의 가치관은 어머니에 대한 애착감에 설명력이 큰 변인으로 작용하였다는 점이 주목할만 하다. 그리고 효에 관한 부분만을 따로 보지 않았기 때문에 효 사상의 강조가 어머니에 대한 의존성을 강화시키고 효 개념이 어머니와의 정서적 유대관계를 뒷받침하는 기제가 된다고 말할 수는 없다. 단지 가족주의 가치관 가운데 효 개념, 부모공경의식 등이 어머니에 대한 정서적·애정적 유대감에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이라 추측에 그칠 수 밖에 없다. 셋째, 부부간 우애성이 애착의 하위 차원인 의존성에 주는 부적 방향으로의 영향력은 사회 변화와 함께 부모-자녀관계가 중시되기 보다 부부관계가 중요시되는 가족내 관계변화의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서구의 평등사상, 낭만적 사랑의 개념 도입 이후 강조되는 동반자적 부부관계 개념은 윗세대 부모에 대한 의존성을 상대적으로 약화시킬 만큼 가족내 관계에서의 중심 이데올기로 자리잡아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Coventional society was patriarchy society which has social basic principle of androcentric formal political structure and the family system of paternal line. Patriarchy society means that the exercise of woman s right can t be continued to formal authority. And society s control principle and ideology and system that supporting and sustaining society justify androcentrism. But suitable status and recognition were given to woman in a case of being as mother, also she can secure power through her son. That is to say, the relations of family mother and son in contrast to the formal relations of father and son was accounted extraordinarily and it is unique property differing from the West. Therefore offspring internalize filial piety actively through many normal rules, and it forms the foundation supporting the relations of parent-offspring. After turning to modern society, equality and companionship marriage were emphasized. And the relation of them was accounted much. After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 paternal family system and its form charged a lot, the effect of the upper generation parent still exists because the relations of parent-offspring and that of husband and wife is not mutually independent, so close intercourse and relation still continued.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remainders of the relations of mother and son in patriarchy society conflicts with husband and wife centered ideology claiming equality. It suggests that with the marriage of offspring the relation of parent-children can not be reconstructed easily to equal relation in Korean family. Because psychological self-support of a youth can not be completed in our country than the west emphasizing independence and it can affect the adaptation of new married couple. Particulary, traditional the sense of value and filial piety thought sometimes act as obstcles blocking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of married offspring. So it is considered that how much adult offspring come into close relation with parent emotionally and what influence on these. For this, attachment is divided into lower rank dimensions - such as emotional relationship and dependence. And it is considered what are the significant variability influening these. This research to some degree internalize emotional relationship named as attachment, dependence, the traditional sense of value, and family view of value, also it examine what influence family value has on the two dimensions of attachment. Moreover it consider what is companionship marriage, and what affect this fraternity has on the attachment of two lower rank dimensions. As a research method, questionary survey was conducted. The sample for the study was 346 married man. The data was analyzed by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s follows ; First, variability influening significantly on emotional relationship is as follows - birth order, education level, marriage relation of mother, emotional dependency of mother, family view of value, companionship marriage. Namely, in case of only son, higher educated level, mother s having a spouse, higher emotional dependency of mother and higher companionship marriage, it shows that married man s emotional relationship is high. At this time, most powerful variability is that of family view of value.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married man s dependence on mother are mother s emotional dependence, family view of value, and companionship marriage. Also, most powerful variability proved that of mother s emotional dependence. The meanings of th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oved partially up the mutual benefits of attachment. It means that the more mother attach, the more son attach to mother. And this research says that if the man has more emotional relationship, he has good feeling to mother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mother. It represents that proper attachment keeps positive affection. Second, the power how family value influence to the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he upper generation parent internerizing the value. The average of entire family value show low degree bwcause the generations tothe research are middle class people of highly educated relatively and in the 20 or 30 s. It proves that married man internalize family value to the little degree and lower age, highly educated and highly income generation has weaked family value. But it showed be noted that family value act as powerful factor to the attachment though family vaue weakened. However, it can be regarded that filial piety strength en dependence on mother and prove emotional relationship because it isn t looked seperately. It can be only estimated filial piety respect to parent etc. among family value have influence on the emotional relationship to mother. Third,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change in the family relationship weighing on companionship marriage rather than parent-children relation. It means that companionship marriage which was emphasized with the eqality theory of the western and the romantic love, take the main ideological role in the family relationship to the degree weakening dependence on the upper generation parents rela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