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경옥-
dc.creator이경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1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2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5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285-
dc.description.abstract지금까지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마다 생물교과의 교육과정 목표와 내용면에서 많은 변천이 있었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제7차 교육과정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는데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인지발달수준에 맞추어 3학년에서부터 10학년까지 연계성 있는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시간수 감소에 따른 학습량 축소에 따라 교육과정 재편성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그래서 재편성된 교육과정을 학년별로 또 전체맥락에서 학습주제와 개념들 사이의 구조가 잘 연결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개념도를 이용하여 과학과 생물영역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상세화해 봄으로써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일선 교사들의 이해를 돕고, 교과서 개발의 참고자료가 되며 성공적 시행을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여 학교 생물교육의 보다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먼저 3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학년별 개념도를 그려보고 이를 토대로 전체 개념도를 작성한다. 또 11학년과 12학년에 해당하는 선택중심교육과정인 <생활과 과학>, <생물I>, <생물II>의 각 대단원의 개념도를 그린 후 각각의 전체 개념도를 작성한다. 작성된 개념도를 토대로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6학년 학생들에게는 생물의 분류개념이 어려울 것이므로 과학의 대단원 e주변의 생물u을 고학년으로 이동시키거나 6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맞게 현상과 개념설명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2. 사람은 척추동물 중에서도 포유류로 분류가 되므로 먼저 척추동물에 대한 개념학습을 한 후 사람의 몸의 속구조와 기관에 대해 학습하는 것이 개념형성에 좋을 것 같다. 그러므로 6학년 과학의 소단원 e우리 몸의 생김새u와 e주변의 생물u의 학년내 교육과정 순서를 바꾸는 것을 고려해볼 만하다. 3. 6차의 5학년에 e식물의 구조와 기능u이 한 단원으로 조직되었던 것이 7차에서는 3학년에 e식물의 줄기 관찰하기u, 4학년에 e식물의 뿌리u, 5학년에 e꽃과 열매u, e식물의 잎이 하는 일u로 각각 나누어져 있다. 식물전체에 대한 개괄적인 개념설명이 필요하다. 4. 5학년 과학의 e작은 생물 관찰하기u가 땅위의 작은 생물과 물위의 작은 생물로 조직되었다. 서식장소에 따라 생물을 분류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오개념을 일으키기가 쉽다. 그러므로 식물, 동물과 같은 생물학적 분류기준으로 나누는 것이 좋겠다. 5.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6차 10학년에 편제되어 STS수업을 반영하고자 했던 <공통과학>이 빠지고 선택중심교육과정에 <생활과 과학>이라는 과목이 신설되었다. 선택형 교과이므로 선택을 안한 학생은 STS적인 수업을 접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교과서를 조직할 때 STS요소를 반영해야 할 것이다. 6. 제7차 교육과정은 교과과정이 다양해짐에 따라 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 시간 배정에 있어서 융통성있는 조절이 있어야 할 것이다. 7. 3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은 중복되는 내용없이 교육과정을 편제하였다. 반복학습의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는 방법을 간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8. 감소된 수업시수에 따라 교육과정 내용이 축소되었으므로 축소된 학습량과 시간수와의 적절성에 대한 연구와 고려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Lots of transitions in objectives and contents have been made whenever there were changes in science curriculum. Facing the 21th century, the 7th curriculum has been studied for implementations.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 it will be executed in 2000, middle school in 2001 and high school in 2002. The 7th curriculum consists of 10 years of national common curriculum and 2 years of selective curriculum.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help the teachers understand the 7th curriculum and find the primary flow in biology education through Concept-Map which is analyzing and detailing the science curriculum. From this study, total concept maps have been driven from each grade’s partial concept maps from 3rd to 10th grade and drew concept maps of main chapters such as <Life and Science>, <Biology I>, <Biology II> which will be included in selective curriculum for 11th and 12th grades. And from the standpoint of Concept-Map, every effort has been made to analyze contents of concept-maps. Following are summarized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1. The main chapter < The peripheral Living things> needs to be moved to higher grade or properly presented with appropriate methods which are acceptable to cognition level of 6th grade students, because the concept of classification of living things itself is difficult to understand for 6th grade students. 2. It will be better for students to learn the inner structure of the body in advance of learning the vertebrate animal because the human is classified into the mammalian of the vertebrate animal. Therefore the curriculum order for the 6th grade needs to be rearranged between <Appearance & Structure of the body> and <The peripheral Living things>. 3. In the 6th curriculum, <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lant> was one of the chapters in the 5th grade. But in the 7th curriculum, it is divided into < Observation in the stem of plant> in 3rd grade, <The roots of plants> in 4th grade, <Flowers and seeds>, <The functions of the leaves> in 5th gra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overall concepts of the plants. 4. <Observations of the small living things> in 5th grade is composed of <The small living things on the ground> and <The small living things under water>. The classification by the habitat leads students to misconception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lassify the livings things on the basis of biological standards such as animals and plants. 5. In the 7th curriculum, <The common science> which was intended to reflect STS in the 6th curriculum will be excluded, but <Life and Science> will be newly inserted in the selective curriculum. <Life and Science> is a selective subject, so if not selected, students might lose the chance of experiencing what STS has. Therfore, the textbook of the national common curriculum should include the components reflecting STS. 6. The teachers’ organizations and assignments need to be flexibly self-adapting, since so many diversities are expected in the 7th curriculum. 7. The national common curriculum is eatablished a sequential continuum without overlapping from grade to grade and from school level to school level.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s of 7th curriculum, the chance of having repetitive learning should be offered. 8. Reduction of assigned classes will result in decrease of students’ learning loads.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s from that, correlations between amounts of classes and learning loads should be pre-studi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자료 = 3 C. 연구 방법 = 3 D. 연구의 제한점 = 4 E. 선행연구 고찰 = 5 II. 이론적 배경 = 6 A. 과학과 교육과정 = 6 1. 과학교육의 성격 및 목표 = 6 2.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국제적 동향 = 7 3.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방향 = 12 B. 개념도 = 17 1. 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 = 17 2. 개념도와 과학 학습지도에의 적용 = 18 3. 개념도의 구성 = 19 4. 개념도의 종류 = 19 5. 개념도 작성법 = 20 III. 연구결과 및 논의 = 23 A.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 23 1.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생물영역의 내용체계 = 24 2. 개념도를 이용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학년별 분석 및 상세화 = 27 3. 개념도를 이용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전체의 상세화 = 51 B. 선택중심교육과정 = 52 1. <생활과 과학>의 개념도를 이용한 분석 및 상세화 = 52 2. <생물 I>의 내용체계와 개념도를 이용한 분석 및 상세화 = 54 3. <생물 II>의 내용체계와 개념도를 이용한 분석 및 상세화 = 74 IV. 연구 결론 및 제언 = 87 참고문헌 = 90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715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개념도를 이용한 제7차 과학과 생물영역 교육과정의 분석 및 상세화-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