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도시환경의 중간 영역적 공간으로서 보행자 몰 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Title
도시환경의 중간 영역적 공간으로서 보행자 몰 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Authors
문화정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는 인공적 요소가 지배적인 인간의 삶의 터전이다. 도시의 궁극적 목적은 도시내에 기거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필요한 활동을 유지시켜주고 활동에 필요한 시설과 영역을 제공해주는데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현대의 도시는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지만 인구과밀화 현상으로 인해 소음 환경오염 교통의 흔란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인간행위와 미적 경험을 지원해 주는 도시환경은 황폐화되어가고 있으며 도시민들은 정서적인 여유를 주는공간을 필요로 한다. 서울은 도시계획의 미비, 고밀도의 토지이용, 상업이윤의 추구, 자동차 위주의 도로체계 등으로 도시의 이미지를 상실하게 되었고 보행인을 배려한 가로 환경이 너무나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연구자는 서울의 가로환경이 도시생활인에게 쾌적한 공간을 제공할수있도록 보행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서울의 상징성과 인지성을 높일수있다고 보고 보행자 몰로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다학문적인 접근방식에 의한 과학적 준과학적인 방법론으로 연구를 진행시켰다. 1. 문제를 인식하고 연구의 필요성에 따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기술하였다. 2. 도시환경에서 도시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고찰해보고 도시 환경의 중간영역으로서의 가로환경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3. 보행자 몰 디자인의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이에 적합한 대상지를 선정하여 보행자 몰 디자인에 필요한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4. 최종 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시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연구의 결과가 서울의 가로환경을 개선함으로써 그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연구의 결과 가로환경을 개선한다는 것은 단순히 물리적 차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대의 도시 시스템을 재구성하기 위한 포괄적인 계획의 차원에서 의미를 가지며 도시에 활기를 붙어 넣어 이미지를 갖게 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The city is a ground of human life where artificial elements are dominant. Its ultimate aim is to maintain the activities of its members and provide them necessary facilities and spaces. Despite modern cities enjoy material prosperity due to the developments in scientific technology, their environments are being devastated by over population. So the author has conducted a study to design a pedestrian mall as an intermediate domain of city environment and an alternative to over come certain problems of modern city, intensify its symbolic meaning, promote a broad range of citizen s activities, and to contribute to new urban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a pedestrian space on the basis of street design theories by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environment and understanding the human behavioral structural aspects and the historial, symbolic meanings of city street as a base for promoting urban activitie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s follows : · First, definition and functions of pedestrian mall as an intermediate domain of city environment were defined through reference to relevant literature and then its importance was considered to prove the validity of this study. · A scientific design was created in a man-centered direction through pedestrian-oriented theories and studies of street space to improve the quality of street environment. · An alternative was proposed as a visualized result through problem-solv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basic direction of design. The author s conclusion is that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street are great in the realization of city as a space with abundant environmental variables. Also in designing a pedestrian mall for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and consolidating street environments, theoretical studies of visual perception - a key to spatial perception - and resulting behaviors from spatial perception can be strategically used. Consequently speaking, the author thinks that a study of pedestrian mall can be an alternative to solve problems of Seoul City and heighten the degree of our recognition of Seou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