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영자-
dc.creator오영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1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5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96-
dc.description.abstract청각장애인은 그들의 청각손실로 인하여 말소리의 산출이 건청인의 말소리와 구별되고, 말명료도도 낮다. 이러한 청각장애인의 말소리 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다. 청각장애인의 말소리 산출에 대한 연구들에서는 그들의 조음, 음성, 그리고 운율 등에서 그 요인을 찾는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 중 청각장애인의 말명료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모음과 파열음의 산출이다. 한편, 청각장애인의 말소리에 대한 연구방법은 사람의 귀로 들어서 다르고 같음을 구별하는 방법과 음향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법이 주류를 이룬다. 사람의 귀로 들어서 다르고 같음을 구별하는 방법은 의사소통 상황에서와 같이 귀로 듣고 말소리를 분석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객관성이 결여될 우려가 있다. 음향음성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법은 사람의 귀를 이용한 분석의 주관성을 보완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향음성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어를 사용하는 건청 아동들의 /모음/과 /모음-파열음-모음/ 산출에서의 평균적인 말소리 자료를 제시하고, 이와 비교하여 청각장애아동들의 말소리가 건청아동에 비하여 얼마나 다른 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건청아동 20명과 80dB 이상의 청각장애아동 20명이었다. 연구자는 이들 40명의 아동에게 모음 /이,우,아/ 및 /에-파열음(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에/ 구조를 산출하게 하고, 이들의 말소리를 녹음하였다. 녹음한 자료는 Multi-Speech와 Dr. Speech를 이용하여 모음의 포먼트(F₁, F₂, F₃)와 모음-파열음-모음/의 각 기간(앞모음, 폐쇄, 기식, 뒷모음, 전체)의 지속시간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내재설계를 이용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장애집단과 건청집단 모두 모음의 종류(/이, 우, 아/)에 따라 포먼트가 변화하고, 또 파열음의 조음방법에 따라 /모음-파열음-모음/의 각기간의 지속시간이 변화하였다. 그러나 청각장애 유무에 따라 변화의 정도가 달랐다. 각 모음의 F₁, F₂를 좌표상에 표시하면 건청집단에 비해 청각장애집단의 모음이 좁은 공간을 나타냈다. 이는 각 모음이 목표조음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중앙화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모음-파열음-모음/에서는 각 기간을 건청집단보다 길게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 연음과 경음을 구별하는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앞모음과 폐쇄구간에서 앞모음이 차지하는 길이비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모음 사이에서 경음을 산출할 때 청각장애집단이 나타낸 길이비율이 건청집단보다 컸다. 이 길이비율이 클수록 연음의 특성과 가까워진다는 것을 고려하면, 청각장애집단은 경음을 산출하기는 하되 연음과 가깝게 산출한다고 하겠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것은 청각장애인의 모음산출과 파열음 산출이 음향음성학적으로 건청인과 다르다는 것이다. 청각장애인의 말소리 산출은 모음과 모음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고, 파열음과 파열음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았다. 이러한 청각장애인의 말소리 산출은 청자로 하여금 말을 이해하기 어렵게 한다. 파열음의 폐쇄기간과 기식기간은 우리말 파열음을 구별하게 하는 중요한 특성이다. 따라서 파열음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산출하지 못하면 말명료도가 낮아질 것이다. 따라서 청각장애인의 언어치료에 모음 및 파열음 산출연습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고,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치료효과 비교에 본 연구에서와 같은 음향분석자료가 사용된다면 언어치료의 객관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Twenty normally-hearing and 20 with severe-to-profound hearing-impaired subjects age matched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Each subject made a recoriding of three vowels of /i/, /a/, and /u/, and 9 VC_plosiveV(hereafter, VCV) disyllables of /epe/, /ep e/, /ep^h e/, /ete/, /et e/, /et^h e/, /eke/, /ek e/, and /ek^h e/, each five times, Formant frequencies of F₁, F₂, and F₃ were measured for the three vowels, and four measures were made for the disyllables. The six measures were (1) the total duration of the disyllable, (2) the duration of the first vowel, (3) the duration of the closed period, (4) the ratio of the first vowel over the first vowel plus the closure period of the consonant, (5) the duration of the aspiration, and (6) the duration of the second vowel.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rrived: (1) each of the three formant frequenci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of subjects, (2) in the hearing-impaired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F₁frequencies between /i/ and /a/, and between /u/ and /a/, and in F₂frequencies between /i/, /u/, and /a/, (3) in the normally-hearing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three formant frequencies between /i/, /u/, and /a/, except for the F₃frequencies between /i/ and /u/, (4) the duration of each segment of VCV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subject groups, those for the hearing-impaired than the normally-hearing when the consonant was a tense plosive, (6) for both groups of subjects the three consonant characteristics of laxness, tenseness, and aspiration effected differences in the durations and in the duration ratio, and finally (7) the differences of places of articulation between bilabials and velars were found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when the consonants were aspira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질문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말소리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 4 1. 모음의 포먼트 = 4 2. 소리의 길이 = 7 B. 청각장애 인의 말소리 특성 = 9 1. 청각장애인의 일반적 말소리 특성 = 9 2. 청각장애 인의 모음산출의 특성 = 13 3. 청각장애인의 소리의 길이 특성 = 15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 17 B. 목표음소의 선정 = 18 C. 자료수집 = 19 D. 음향음성분석 = 20 E. 자료의 처리 = 23 F. 신뢰도 = 24 Ⅳ. 결과 = 26 A. 청각장애 유무 및 모음의 종류에 따른 포먼트의 분석 = 26 1. 청각장애 유무에 따른 포먼트 분석 = 26 2. 모음의 종류에 따른 포먼트 분석 = 30 B. 청각장애 유무, 파열음의 조음방법 및 조음위치에 따른 소리의 길이 = 33 1. 청각장애 유무에 따른 소러의 길이 및 길이비율 = 33 2. 조음방법에 따른 VC_파열음V 산출 = 44 3. 조음위치에 따른 VC_파열음V 산출 = 51 Ⅴ. 결론 및 논의 = 57 A. 결론 및 논의 = 57 B. 연구의 제한점 = 60 C. 제언 = 61 참고문헌 = 63 영문초록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826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모음 및 파열음 산출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