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희정-
dc.creator이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1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5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94-
dc.description.abstract언어는 다각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고자 할 때, 적절한 어휘로 구성된 내용과, 그 내용을 표현할 적절한 형식이 있어야 하며, 그 형식을 갖춘 내용이 상황에 적절한 기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아동의 언어를 진단할 때 이 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평가하여야 한다. 자연스런 상황에서 아동의 실제 언어능력을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은 언어샘플을 통한 분석이다. 언어샘플분석에서 수치화 가능한 분석에는 발화길이 척도와 어휘다양도 척도 등이 있다. 한국 아동에 있어서 이러한 척도들이 정상 아동과 언어장애 아동을 구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이며, 이러한 척도들이 두 집단을 구별할 수 있다면 언어장애 진단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발화길이 척도들과 어휘 다양도 척도들은 아동의 연령에 따라 증가하며, 아동 언어발달에 대한 민감한 지표로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 네 가지 발화길이 척도(MLU_W, MLU_M, MSL_W, 그리고 MSL_M)와 세 가지 어휘 다양도 척도(NDW, TNW, 그리고 TTR)가 세집단간(언어발달지체 집단, 동일언어연령 집단, 그리고 동일생활연령 집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2) 발화길이 척도와 어휘다양도 척도 중에서 두 집단 간(언어발달지체 집단과 동일생활연령 집단, 언어발달지체 집단과 동일언어연령 집단)의 차이를 판별하는데 기여도가 높은 척도가 어느 것인지를 알아봄으로써 한국 아동의 진단과 치료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이나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4-6세의 언어발달지체 아동 15명,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언어연령을 맞춘 정상 아동 15명과 언어발달지체 아동과 생활연령을 맞춘 정상 아동 15명, 총 45명이었다. 각 아동과 언어임상가와의 상호작용에서 아동의 자발화를 수집하여 각 척도별로 형태소수, 낱말수, 다른 낱말수, 총 낱말수를 계산하였다. 모든 과정은 추후분석을 위해 녹음되었으며, 2명의 평가자가 아동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에서는 각 척도에 대한 세 집단 간의 차이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검증하였고, 동일생활연령 집단 간 및 동일언어연령 집단간의 차이를 판별하는데 기여도가 높은 척도는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네가지 발화길이 척도들(MLU_W, MLU_M, MSL_W, 그리고 MSL_M)은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2) 세 가지 어휘다양도 척도 중 NDW와 TNW는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동일생활연령 집단과 언어발달지체 집단 간의 차이를 판별할 수 있는 척도들은 MLU_W, MLU_M, MSL_W, MSL_M, NDW, 그리고 TNW였으며, 그 중에서 기여도가 가장 높은 척도는 MSL_M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TTR을 제외한 모든 척도가 정상 아동과 언어장애아동을 구별할 수 있었으며, 동일생활연령 집단과 언어발달지체 집단 간, 동일언어연령 집단과 언어발달지체 집단 간의 차이를 판별하는데 기여도가 가장 높은 척도는 MSL_M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언어장애아동을 진단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four measures of utterance length(MLU_M, MLU_W, MSL_M, and MSL_W) and three measures of lexical diversity (NDW, TNW, and TTR) of three groups of subjects, the language-delayed group and two groups of normal children, one being language-age matched and the other being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language-delayed group. Forty-five subjects, each group with 15 children were elicited in the study. Spontaneous utterances from the children were elicited in the free interactions between a child and the researcher and were audio-type recorded. The frequencies of morphemes, words, different words, and all word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our measures of utterance length among three groups, (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hree measures of lexical diversity among three groups, and (3) MSL_M wa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measure which can reliably tell the LD group from each of the other two group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정상 아동의 발화길이 및 어휘다양도 연구 = 7 B. 언어장애 아동의 발화길이 및 어휘다양도 연구 = 13 C. 자발화 수집과 관련된 연구 = 15 Ⅲ. 연구방법 = 19 A. 연구대상 = 19 B. 검사도구 = 22 C. 연구절차 = 22 D. 결과의 분석 = 26 E. 신뢰도 = 27 Ⅳ. 결과 = 28 A. 발화길이 척도에 따른 세 집단의 분산분석 = 28 B. 어휘 다양도 척도에 따른 세 집단의 분산분석 = 33 C. 동일생활연령 집단 간(언어발달지체 집단과 동일생활연령 집단) 및 동일 연령집단 간(언어발달지체 집단과 동일언어연령집단)의 판별분석 = 36 V. 결론 및 논의 = 41 A. 결론 및 논의 = 41 B. 연구의 제한점 = 45 C. 제언 = 45 참고문헌 = 47 부록 = 52 영문초록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774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상 아동과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발화길이와 어휘다양도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